• 제목/요약/키워드: Unstable mandibular posi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무치악 환자에서 치료의치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치료 증례 (Using treatment denture and digital technology in patient with unstable mandibular movement: a case report)

  • 오은지;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3호
    • /
    • pp.168-175
    • /
    • 2023
  • 부적합한 보철물을 장기간 사용하면 습관성 폐구위나 불규칙한 하악 운동을 보이는 경우가 빈발하다. 이러한 환자는 고정된 중심 위로 유도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치료의치를 이용하여 근육과 TMJ를 안정 시키고 치료위로써 악간 관계 채득을 해야한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의치 제작은 전통적인 방식과 비교하여 치아 배열이 까다로운 증례에서 안정화된 치아 배열을 재현하여 수작업에 의한 오차를 최소로 하고, 의치 제작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치료의치로 안정된 치료위, 수직고경 및 구순 지지도를 디지털 방식으로 이행하여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치료의치와 CAD-CAM 기술을 이용한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edentulous patient with unstable mandibular position using flat table treatment dentures and CAD-CAM technology)

  • 김유연;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30-338
    • /
    • 2022
  • 과두 골절 및 형태 이상으로 인해 불안정한 하악 운동 및 비정상적인 안모를 갖는 무치악 환자의 경우 환자의 안정된 하악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flat table 치료의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개선, 하악 운동의 안정, 의치의 안정성이 향상시켰다. 또한 flat table 치료의치의 수직고경 및 구순 지지도를 유지하고자 CAD-CAM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한 총의치 수복을 통해 환자의 불편감을 개선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oronoidectomy for reduction of superolateral dislocation of mandible condyle

  • Seok, Hyun;Ko, Seung-O;Baek, Jin-A;Leem, D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3호
    • /
    • pp.182-187
    • /
    • 2022
  • Superolateral dislocation of the condyle is a rare mandibular fracture. The treatment goal is to return the dislocated condyle to its original position to recover normal function. This study reports on superolateral dislocation of the condyle with mandibular body fracture. The mandibular body was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medial pole of the condyle head was fractured. The condyle segment was unstable and easily dislocated after reduction. The temporalis muscle on the condyle segment might have affected the dislocation of the condyle. A coronoidectomy was performed to disrupt the function of the temporalis muscle on the condyle seg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reduce the dislocated condyle. Coronoidectomy is a simple procedure with minimal complications. We successfully performed a coronoidectomy to reduce the superolateral displaced condyle to its original position to achieve normal function. Coronoidectom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reduction of superolaterally displaced condyles combined with severe maxilla-mandibular fractures.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with an unstable mandibular position)

  • 육동휘;이영후;홍성진;배아란;노관태;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08-315
    • /
    • 2023
  •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하고 잔존치들이 엇갈린 교합을 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의치의 하중시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의치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유지, 지지, 안정 요소의 보강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환자의 고령과 수술에 대한 거부감 및 골소실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지 않고,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한 환자의 경우 수직, 수평 악간관계 모두 새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는 잔존치들로 저작하던 습관을 가지고 있어 수복을 위한 올바른 하악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Gothic arch tracing을 이용하여 환자의 안정적인 하악위를 설정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수직고경이 붕괴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치험례 (Orthognathic surgery on Skeletal Class III patiens with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case report)

  • 최윤경;김용덕;박수병;김용일;김성식;손우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70-79
    • /
    • 2016
  • 치주 질환이나 치아 우식으로 인해 구치부 치아가 상실된 환자들은 대합치 정출 및 인접치 경사가 발생하여, 교합평면의 붕괴나 수직 고경의 상실로 하악골 위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악교정 수술 환자에서, 이런 증상이 나타날 경우 하악과두가 관절와 내에서 안정화된 위치에 존재하여 술 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술 전 수직 고경을 재설정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철, 교정, 구강악안면외과 등 다분야에서 진단 및 치료 계획에서부터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A removable partial denture treatment with the Dahl concept applied to a patient with a deep bite)

  •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10-120
    • /
    • 2020
  • 모든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를 병적인 상태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전치부에 교합접촉이 불안정하거나, 전반적인 교합 부조화가 동반된다면 과개교합은 하악 전치에 대한 지속적인 마모와 정출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증례는 72세 남성환자로 상악과 하악의 전치가 잔존해 있지만 골격성 2급 부정교합으로 인하여 안정위 상태에서 교합접촉이 불가능하고 교합지지가 완전히 상실되어 수직고경의 증가가 필요한 환자였다. 이 증례는 보철 수복을 위해 수직고경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로 수평피개를 더욱 심화시켜 교합의 부조화를 유발할 수 있기에 정밀한 진단을 통한 수직고경 증가량 결정이 필요하였다. 이 증례에서는 Dahl concept를 응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보철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을 완성하였으며 적절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임프란트로 지지된 하악 켄티레버 보철물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MANDIBULAR CANTILEVERED PROSTHESIS SUPPORTED BY IMPLANTS)

  • 조철;신상완;권종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4-743
    • /
    • 2000
  • One of the biggest clinical problems of osseointegrated implant prosthesis is the excessive stress caused by bite forces which are transfered directly into the bone through the osseointegrated implant fixtures. So several biodynamic problems occur when there is an excessive fatigue stress. The factors of stress distribution are the number, kind, position, arrangement of the impla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s, and the kind, quality of superstructure prosthesis and connection type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Recently, a distal short additional implant, socalled rest implant, is employed to reduced the stresses in conventional cantilevered prosthes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stresses transfered by osseointegrated implant cantilevered prostheses depending upon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implants, the presence of rest implant, and the type of their connection.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ANSIS ver. 5.3 program under IBM INDIGO compu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est implant influenced on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on the anterior area of the mandible and the superstructure. 2. In the group employing the rest implants, the fixed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was more stable than the ball attachment type on the stress distribution. 3. In the group employing the ball attachment between the rest implant and the superstructure, the case with 4-implants(on canine, premolar) was little more stable than the case with 6-implants and the case with 4-implants(on incisor, premolar) on the stress distribution. 4. In the cantilevered group, the case with 4-implants(on incisor, premolar) and the case with 6-implants were more stable than the case with 4-implants(on canine, premolar) on the stress distribution. 5. In all of the group, the case with 6-implants and the fixed type of connection was the most stable and the case with 4-implants (on canine, premolar) was the most unstable on the stress distrib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