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species in Korea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9초

목본식물의 잎에서 분리된 국내 미기록 내생균: Neofusicoccum mangiferae and Thyronectria cucurbitula (Neofusicoccum mangiferae and Thyronectria cucurbitula: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Leaves of Woody Plants in Korea)

  • 이종철;박혁;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5-4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및 여수에 서식하는 목본식물의 잎을 채취하고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배양 특성과 분생포자 등의 형태성 및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large subunit 영역, 그리고 β-tubulin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미기록 내생균 2종을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Neofusicoccum mangiferae과 Thyronectria cucurbitula이다. 확인된 미기록종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계통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한국(韓國) 소나무류(類)에 잎떨림병을 일으키는 Lophodermium 속(屬) 균(菌)의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Lophodermium Species Associated with Needle-cast Disease of Pines in Korea)

  • 이승규;이경준;나용준;양성일;이창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18-227
    • /
    • 1989
  • 소나무류(類)의 잎떨림병(病)을 일으키는 Lophodermium 속균(屬菌)을 동정(同定)하기 위하여 1987년 2월부터 1988년 10월 까지 전국(全國)의 9개(個) 조사지역(調査地域)에서 자낭성(子囊盤)이 형성(形成)된 옆을 채집(採集)하여, 자낭성(子囊盤)의 해부(解部) 및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이 연구(硏究)의 결과(結果), Lophodermium pinastri, L. australe, L. durilbrum, L. nitens, L. pini-excelsae, L. Pini-pumilae 등(等) 6종(種)이 동정(同定)되었으며, 기존(旣存)의 문헌보고(文獻報告와) 일치(一致)하지 않는 종(種)을 가칭(假稱) L. sp-1으로 명명(命名)하였다. L. pinastri는 적송과 테다소나무에서 L. australe는 리기다, 테다, 리기테다 소나무류(類)에서, L. pini-excelsae는 섬잣나무와 스트로부스잣나무에서, L. durilabrum, L. nitens, 그리고 L. pini-pumilae는 잣나무에서, L. sp-1은 해송에서 각각 관찰(觀察)되었다. 특(特)히, L. sp-1은 해송 유묘(幼苗)의 생엽(生葉)에서, L. durilabrum은 잣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생엽(生葉)에서 각각 발견(發見)되었으므로 이 균(菌)의 병원성(病原性) 및 포자비산(胞子飛散) 시기(時基)에 대(對)한 시험(試驗)이 필요(必要)하다고 생각된다.

  • PDF

A new distribution record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Lamiaceae) and an erroneously identified Scutellaria in Korea

  • LEE, Yoonkyung;KIM, Jung-Hyun;LEE, Byoung Yoon;KIM, Jin-Seok;KIM, Sangt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3-128
    • /
    • 2018
  • Earlier taxonomic studies of Korean Scutellaria reported a new record of Scutellaria hastifolia L. in Korea based on three herbarium sheets. During a reexamination of these specimens, we found that the leaf characters of these specimens differ from those in the type specimen of S. hastifolia.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and confirmation of the type specimen, the specimens identified as S. hastifolia thus far were a misidentification of S. barbata D. Don. S. hastifolia is clearly different from S. barbata by single conspicuous teeth on both sides of the leaf margins and larger leaves.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 sites of the three specimens used in the previous study, a distribution site of the S. barbata was newly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distribution of S. barbata in Korea, correct a previous report of S. hastifolia,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 barbata, and suggest a taxonomic key to Korean Scutellaria including S. barbata.

Euryhelmis squamula (Digenea: Heterophyidae) Recovered from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 Kim, Hyeon Cheol;Hong, Eui Ju;Ryu, Si Yun;Park, Jinho;Cho, Jeong Gon;Yu, Do Hyeon;Chae, Joon Seok;Choi, Kyoung Seong;Park, Bae Ke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303-309
    • /
    • 2021
  •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scribe an unrecorded species of heterophyid trematode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a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A total of 13 small flukes were collected from a deceased Korean raccoon dog which was found in Chuncheon-si, Gangwon-do, Korea in May 2017. The trematode body were covered with many small spines, rectangular, broader than long, 807-1,103 ㎛ long and 1,270-1,550 ㎛ wide. Oral sucker in the anterior end slightly smaller than acetabulum. Pharynx muscular and well developed. Esophagus relatively long and sigmoid. Acetabulum small and located at median in anterior 2/5 portion. Ceca bifurcated at the anterior of genital pore and acetabulum and terminated at testis level. Testes larger, deeply lobed and located at the near of posterior end of body. Ovary small, triangular and located at the slight left of median and the anterior of left testis. Vitelline follicles dendritic and extend from the middle level of esophagus to the posterior portion of body. Eggs embryonated, operculated, small and 33-35×15-16 ㎛ in size.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mall heterophyid flukes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s of Korean raccoon dog, N. procyonoides koreensis, were identified as Euryhelmis squamula (Digenea: Heterophyidae). Accordingly, this species of heterophyid flukes is to be a new trematode fauna in Korea by this study.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전호아재비(산형과)와 봄나도냉이(십자화과)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South Korea,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Umbelliferae) and Barbarea verna (Mill.) Asch. (Cruciferae))

  • 홍정기;박수현;이유미;오승환;정수영;이봉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77
    • /
    • 2012
  •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산형과)와 Barbarea verna (Mill.) Asch. (십자화과) 2종을 서울과 부산에서 각각 발견하였다. 전호아재비로 이름붙인 C. tainturieri는 서울 상암동의 월드컵공원에서 확인되었다. Chaerophyllum속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미기록속이다. 형태적 유사종인 무산상자속(Sphallerocarpus Besser ex DC.) 식물과 비교하여 열매가 통모양이고, 분과의 갈라지는 틈에 1개의 유관이 있다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봄나도냉이로 이름붙인 Barbarea verna는 부산 금사동의 수영강 둔치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 식물인 나도냉이(B. orthoceras)와는 근생엽의 길이가 4-8 cm이고, 근생엽이 4-11쌍으로 갈라지며, 종자의 길이는 1-2 mm라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독도 왕호장근 근권 토양에서 분리된 미기록 균류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of Fallopia sachalinensis in Dokdo Islands)

  • 유영현;성한중;Manh Ha Nguyen;박종명;홍지원;지원재;김보미;김대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1-257
    • /
    • 2023
  •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인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의 근권 토양에서 다양한 균류를 분리하였다. 분리균들의 형태적 특징과 rDNA-ITS와 LSU 또는 beta-tubulin 영역 분석을 통한 분자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Penicillium striatisporum, Gongronella sichuanensis 종들이 분리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미기록 종들의 형태적 특징과 분자적특징을 본문에 기술하였다.

꼬마초롱이끼(Mnium heterophyllum)와 가는털깃털이끼(Hypnum plumaeforme)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내생균: Biscogniauxia petrensis, Cercophora thailandica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Mnium heterophyllum and Hypnum plumaeforme in Korea: Biscogniauxia petrensis and Cercophora thailandica)

  • 최현숙;박혁;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5-61
    • /
    • 2020
  • 꼬마초롱이끼의 헛뿌리와 가는털깃털이끼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Beta-tublin 영역 및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gene의 분자적 분석을 토대로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인 Cercophora thailandica와 Biscogniauxia petrensis를 확인하였다. 분리된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확인 및 계통 분석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대청도(옹진군)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aecheong Island, South Korea)

  • 양종철;박수현;하상교;이유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47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과 2010년에 걸쳐 3차례 식물상을 조사하였으며, 전체 조사된 분류군은 90과 269속 351종 3아종 43변종 6품종등 4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들로 특산식물이 서울제비꽃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이 대청부채(CR) 등 8분류군,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은 금방망이(V) 등 3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지리학적 분포특성에 있어 남방계 식물과 북방계식물이 함께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대청가시풀 등 40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한반도 미기록종인 대청지치가 새로이 발견되었다.

토양에서 분리한 Diaporthe tectonae에 대한 보고 (First Report of Diaporthe tectonae Isolated from Soil in Korea)

  • 박상규;이승열;이재진;백창기;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3-89
    • /
    • 2017
  • 전북 전주시 완산구의 토양으로부터 국내 미기록종인 균류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 및 ITS영역, ${\beta}-tubulin$, $EF1-{\alph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 결과, 토양에서 분리한 균류는 Diaporthe tectonae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D. tectonae가 국내에 존재함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한국 해오라비난초속(난초과)의 미기록 식물: 큰해오라비난초 (A new record of Habenaria (Orchidaceae) to Korean flora: H. dentata (Sw.) Schltr.)

  • 이혜정;양종철;이유미;양형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3-226
    • /
    • 2013
  • 국내 미기록 식물인 큰해오라비난초[Habenaria dentata (Sw.) Schltr.]를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과 가회면에서 확인하였다. 큰해오라비난초는 해오라비난초와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종으로, 꽃받침이 꽃잎보다 크고 흰색이며, 입술꽃잎 곁갈래 가장자리에 얕게 갈라진 톱니가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새로운 국명은 해오라비난초에 비해 개체가 크며, 많은 꽃이 달리는 특징에 따라 '큰해오라비난초'로 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유사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