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species in Korea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5초

Systematic Studies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Order Cypriniformes) in Korea: I. Three Unrecorded Species and Subspecies of the Genus Cobitis from Korea

  • Kim, Ik-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9-250
    • /
    • 1980
  • 1974년부터 1979년까지 남한의 주요 하천에서 채집한 기름종개속 어류의 표본을 동정한 결과 Cobbits taenia striata Ikeda, 1936, C. taenia lutheri Rendahl, 1935의 2아종과 C. granoei Rendahl, 1935의 1종이 한국미기록이었으므로 그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지리적 분포와 검색표에 대하여 보고한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기름종개속 어류는 모두 4종 3아종이 된다.

  • PDF

한국산 Raja속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 정충훈;이영철;김재흡;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2호
    • /
    • pp.207-221
    • /
    • 1995
  • 남한해역에서 채집된 Raja속 어류를 Ishihara(1987)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Raja(Okamejei) meerdervoortii Bleeker(오동가오리), R.(O.) acutispina Ishiyama(국명신칭:무늬홍어), R.(O.) kenojei Muller et Henle(홍어), R.(Dipturus) kwangtungensis Chu(국명신칭: 참홍어), R.(D.)pulchra Liu(눈가오리)등 5종이 확인되었다. 5종 10집단 165개체에 대한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동위효소 분석 결과 13개의 효소 및 비효소성 단백질에서 24개의 유전자를 검출하고 대립인자 빈도를 산출하여 종간 비교를 실기하였다. 5종 중 R.(O.) kenojei 집단은 4집단 간 평균 S = 0.966으로 매우 가까운 유전적 근연치를 나타냈으며, R.(O.) meerdervoortii와 R.(O.) acutispina는 유전적 근연치가 S = 0.749였으며, R.(O.) kenojei와 R.(D.) kwangtungensis는 S = 0.829였으나, R.(D.) pulchra는 다른 4종과 S = 0.597의 값을 나타내어 유전적 근연관계가 제일 멀게 나타났다. R.(D.) kwangtungensis의 경우 동일 아속인 Dipturus 아속에 속하는 R.(D.) pulchra와는 유전적 근연치가 S = 0.648로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나, Okamejei 아속에 속하는 R.(O.) kenojei와는 S = 0.829의 가까운 유전적 근연치를 나타내어 주목된다. R.(O.) acutispina와 R.(D.) kwangtungensis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다.

  • PDF

한국산 Caprella 속 (Crustaces: Amphipoda, Caprellidae)의 분류 (Faunal Studies on the Genus Caprella (Crustaces: Amphipoda, Caprellidae) in Korea)

  • Kim, Hoon-Soo;Lee, Kyung-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5-126
    • /
    • 1975
  • 1955년, 1964년 그리고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동해, 남해, 서해의 여러곳에서 채집된 바다대벌래(Caprella)를 동정한 결과 11종을 얻었다. 이것들중 다음의 9종은 한국 미기록 종이다. Caprella californica Stimpson, 1857, C. danilevskii Czerniavski, 1868, C. decipiens Mayer, 1890, C. equilibra Say, 1818, C. kroeyeri De Haan, 1849, C. polyacantha Utinomi, 1947, C. scaura Templeton, 1836, C. tsugarensis Utinomi, 1947, C. verrucosa Boeck, 1871

  • PDF

갯벌 조간대에서 발견한 국내 미기록 규조류 (Newly Recorded Diatoms from the Tidal Flats of Korea)

  • 김병석;김소연;진정융;김별;박종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9권1호
    • /
    • pp.42-55
    • /
    • 2024
  • 국내 해역에 출현하는 미기록 규조류를 발견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5개 조간대 해역에서 해수, 모래, 자갈을 채집하였다. 채집 시료에서 규조류를 분리 배양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세포의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3목 5과 7속으로 구성된 국내 미기록 규조류 7종을 발견하였다: Gomphoseptatum aestuarii, Rhoiconeis pagoensis, Seminavis exigua, Plagiolemma distortum, Staurotropis seychellensis, Biremis sigmoidea, Liriogramma sarcophagus. 이 중 4개 속, Rhoiconeis, Plagiolemma, Staurotropis, Liriogramma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속이다. L. sarcophagus는 중심돌말류 Asteromphalus에서 분리되어 Liriogramma으로 이동하였지만 아직 그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서양쐐기풀 (New Record for Alien Plant, Urtica dioica L. (Urticaceae) in Korea)

  • 심선희;김진석;진동필;이웅;현창우;김중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0-108
    • /
    • 2022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인 서양쐐기풀(쐐기풀과)를 한강 수계에서 발견하였다. 서양쐐기풀은 유럽, 온대 아시아, 서북아프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의 여러 지역에 도입되어 있는데 특히, 동아시아(일본),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에서 외래종으로 보고되었다. 본 분류군은 단성화이며, 자웅이주를 가지는 특징에 의해 근연분류군과 구분된다. Neighbor-Joining 계통수에서 국내 난지한강공원과 양재천에서 채집된 서양쐐기풀은 U. dioica s.s.군으로 유집되었다.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문과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충남 논산천과 삽교호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Freshwaters and Soils in Nonsan Stream and Sapgyoho in Chungcheongnam-do, Korea,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장지은;박선정;문정수;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7-349
    • /
    • 2021
  • 본 연구는 금강 하류 지천으로 전북 완주와 충남 논산으로 이어지는 논산천과 충남 아산만의 인공 담수호인 삽교호 주변 환경의 야생 효모들의 효모 종 분포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미발표된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북 완주군의 장선천과 충남 논산의 입촌천 주변 물과 토양 95점에서 101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C. panamericana JSC6-3 (JSL-GGU-011), P. eucalypti JSC23-6 (JSL-GGU-012), F. chernovii JSC39-1 (JSL-GGU-013), Sir. intermedium JSC7-3 (JSL-GGU-014), C. fructus JSC72-1 (JSL-GGU-015), C. stauntonica JSC20-1 (JSL-GGU-016)등 6균주들을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로 선별하였다. 또한, 삽교호 주변 환경에서 채취한 시료 58점으로부터C. tritomae SG 55M-3등 65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C. tritomae SG 55M-3 (JSL-KSS-003) 균주와K. mangrovensis ASG 21W-2 (JSL-KSS-004) 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야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 C. fructus JSC72-1외에 모두 난형이었고F. chernovii JSC39-1 균주만이 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모든 균주들이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다. P. eucalypti JSC23-6 균주만이 vitamin-free배지에서 생육하지 못했고C. panamericana JSC6-3등 3균주들은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하는 호염성 균들이었다. 선별된 미기록 효모들은 Ca, Cu, Li, Mg 이온들에 대하여 800 ppm까지 내성을 보였고 모두 포도당과 fructose, sucrose들을 자화시켰으며 특히 F. chernovii JSC39-1등 3균주들은 lactose를, C. panamericana JSC6-3 등 5균주들은 전분을 자화시켰다.

제비꽃속(제비꽃과)의 미기록 변종: 흰들제비꽃(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 (Nakai) F. Maek. & T. Hashim.) (An unrecorded variety of Viola (Violaceae): 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 (Nakai) F. Maek. & T. Hashim.)

  • 한경숙;조현;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3-177
    • /
    • 2015
  • 전라북도 전주, 임실, 진안에서 제비꽃속의 미기록 변종인 흰들제비꽃 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 (Nakai) F. Maek. & T. Hashim.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흰들제비꽃은 꽃이 흰색이고 잎이 긴삼각형이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화경은 녹색이고 꽃받침 부속기가 짧고 끝이 둥글어 그동안 흰제비꽃과 혼동되어 왔다. 그러나 흰들제비꽃은 엽병 상부의 좁은 날개 가장자리와 엽신 표면에 짧은 털이 있고 꽃잎중 상판에 줄무늬가 있으며 상판기부에 털이 흔히 있고 저지대에서 자라는 반면에, 흰제비꽃 V. patrinii Ging.은 엽병 상부의 날개 가장자리와 엽신 표면에 털이 없고 꽃잎중 상판에 줄무늬가 없으며 상판기부에 털이 없고 고지대에서 자라 구별된다. 또한 근연종인 흰젖제비꽃 V. lactiflora Nakai은 엽병에 날개와 털이 없으며 화경은 적색이며 꽃받침 부속기는 길고 끝에 거치가 있어 흰들제비꽃과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금강 중류 공주시 주변 물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from Water and Riverside Soils of Geumgang Midstream in Gongju City, Korea)

  • 한상민;김지윤;이향범;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8-104
    • /
    • 2018
  • 우리나라 3대 강의 하나인 금강의 물과 주변 토양들의 야생효모들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금강 중류지역인 공주시 청벽대교 밑을 흐르는 금강의 물과 주변 토양들을 2017년 10월에 45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금강 중류 시료들로부터 24종 51균주가 분리되었고 이들 중 가장 많이 분리된 야생효모는 Cryptococcus magnus 7주를 포함한 Cryptococcus속 균으로 11주가 분리되었고 Rhodotorula속 균과 Hanseniaspora속 균들이 우점균으로 많이 분리 되었다. Candida chauliodes WJSF 0201, Candida oleophila WJSF 0202, Candida catenulata WJSF 0203, Candida jaroonii WJSF 0204 등 4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선별되었고 이들 야생효모들은 구형으로 출아법으로 영양증식하였다. 모든 미기록 효모 균주들이 비타민을 함유하지 않은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배지에서도 잘 생육하였고 5% NaCl를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내염성 효모들이었다. 특히, Candida oleophila WJSF 0202는 $37^{\circ}C$에서도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로 내열성 효소 등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 있어서 임목에 기생하는 선충조사 I. 묘목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with Forest Trees in Korea I. Studies on Nematodes Associated with Saplings)

  • 최영렬;조명래;문일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68
    • /
    • 1992
  • 전국 8개도 림업시험양의 묘포장을 대상으로 묘목기생 선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119수종에서 2목 11화 20속 35종의 선충이 검출되었으며 이중에 Xiphinema insigne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Geaeenamus n. sp. 는 신종으로 발견되었다.. 묘포장에서 선충검출율을 보면 남부임시묘포장에서만 Tiiehodorus sp.의 검출율이 71.4%로 Tylenehorhynehus claytoni의 57.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T. claytoni의 검출률이 각 포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밀도 또한 매우 높았으므로 묘목에 기생하는 선충 중 하?점종임이 밝혀졌다. 각 모포장별 T. claytoni의 검출율은 충남임시묘포장에서는 15종의 묘목에서 전부 검출되어 100 %의 검출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강원 87.5%, 경북 66.6%, 전북 58.3%, 충북 4 48.1%, 경의 41.3%, 전남 40% 등의 순이었다. 주요 기생선충별 검출율을 보면 전북림시에 서는 Crieonemella morgensis가 검출율이 37.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전남림시에서는 Helicotylenehus digonicus 의 검출율이 3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고, 충남림시에서는 Pararotylenehus pini 의 검출율이 37%로 밀도가 높았고, 경의림시에서는 Tylenehorhynehus nudus와 Crieonemella infarmis의 검출율이 각각 37.9, 27.5%로 밀도가 높았고, 강원림시에서 는 Meloidogyne sp.의 검출율이 12.5로 밀도가 매우 높았다.

  • PDF

국내 미기록 진균 5종 보고 (A Report of Five Unrecorded Fungal Species of Korea)

  • 안금란;김보영;이근식;현민우;이찬중;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40-246
    • /
    • 2016
  • 2015년 찐고구마, 저장 마늘,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칩, 버섯재배 배지용 농업부산물 등의 식물재료로부터 진균을 조사하던 중 5종의 진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정된 Geomyces pannorum, Neopestalotiopsis javaensis, Ophiognomonia setacea, Penicillium allii, Penicillium chermesinum 등 5종 진균을 국내 미기록 진균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 미기록 균류에 대한 배양 배지에서의 집락 형성 특성과 광학현미경 관찰을 의한 미세구조 특성, 그리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 region 또는 calmodulin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반한 분자계통학적 관계에 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