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manned Stor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무인 점포 사용자 이상행동을 탐지하기 위한 지능형 모션 패턴 인식 알고리즘 (Intelligent Motion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Abnormal Behavior Detections in Unmanned Stores)

  • 최영준;나지영;안준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3-80
    • /
    • 2023
  • 최근 최저시급의 가파른 인상으로 인건비에 대한 부담이 늘어남과 함께 코로나19의 여파로 무인 상점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로 인해 무인 점포를 타겟으로 하는 도난 범죄들도 같이 늘어나고 있어 이러한 도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Just-Walk-Out 시스템을 도입하고 고비용의 LiDAR 센서, 가중치 센서 등을 사용하거나 수동으로 지속적인 CCTV 감시를 통해서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고가의 센서를 많이 사용할수록 점포 운영에 있어 비용 부담이 늘어나게 되고, CCTV 확인은 관리자가 24시간 내내 감시하기 어려워서 사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센서들이나 사람에 의지하는 부분을 해결할 수 있고 무인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비용으로 도난 등의 이상행동을 하는 고객을 탐지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알림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영상 처리 융합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mediapipe를 이용한 모션캡쳐, YOLO를 이용한 객체탐지 그리고 융합 알고리즘을 통해 무인 점포에서 수집한 행동 패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알고리즘들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며 다양한 상황 실험을 통해 융합 알고리즘의 성능을 증명했다.

키오스크를 이용한 장애인 및 약자를 위한 음성인식 주문시스템 (Ordering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weak using a KIOSK with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 이효재;홍창호;조성호;윤채원;김동완;최승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44-546
    • /
    • 2021
  • 최근 COVID-19로 인하여 무인점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무인 점포에는 주로 키오스크를 이용해서 결제를 하고 있는데, 일부 신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그 사용이 쉽지 않다. 또한 어린아이들이나 노인들도 나이가 많아질수록 키오스크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오스크와 상호작용을 할 때 시각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음성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음성으로 주문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비대면시대 소비자의 무인점포 지속적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COVID-19 사회적 위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Unmanned Stores in the Non-face-to-face Er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VID-19 Social Risk)

  • 오종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20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새로운 기술들의 등장은 사회전반은 물론 소매업에도 큰 변화를 일으켰다. 소매업에서는 새로운 기술 기반의 무인점포가 등장하여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를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등장한 COVID-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팬데믹은 사회적 위험을 높였고 이로 인해 비대면 시대가 시작되면서 무인점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인점포 이용자가 지각하는 혜택 요인(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경제성, 지각된 즐거움, 상대적 이점)과 희생 요인(지각된 위험, 기술성)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다. 또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이 무인점포를 통한 소비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시대에 무인점포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 연구는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해 무인점포 이용자를 대상으로 총 293부의 데이터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인점포의 지각된 혜택(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경제성, 지각된 즐거움, 상대적 이점)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인점포의 지각된 희생(지각된 위험, 기술성)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인점포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지속적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은 무인점포에 대한 지각된 희생이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매장 도난 감지 시스템 (Unmanned Store Theft Detection System)

  • 홍서정 ;진용훈 ;박가현 ;최필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1-582
    • /
    • 2023
  • 코로나 19 이후 무인매장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빠른 시장 규모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관리자의 부재로 감시가 어렵고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한 환경으로 인해 도난 문제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YOLO 객체인식 기술을 활용한 무인매장 도난 감지 시스템과 실시간 메일 알림 기능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무인매장에서 발생하는 도난 범죄를 예방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무인매장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덕티드 추진체를 사용한 수직 이·착륙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 동향 (The Development Trend of a VTOL MAV with a Ducted Propellant)

  • 김진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8-73
    • /
    • 2020
  • 본 논문은 산악 지형, 도심, 함정, 교량 등에서 수직 이·착륙 비행, 제자리 비행, 고정익기처럼 저속 및 고속비행을 할 수 있는 덕티드 추진체를 사용한 수직 이·착륙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 동향을 기술한다. 이 항공기는 여러 측면에서 헬리콥터와 고정익기와는 비행 특성이 다르다. 미육군 미래 전투 체계와 DARPA의 OAV 프로그램의 목적은 운용자에 안전하고 낮은 음향 특성을 갖는 수직 이·착륙 덕티드 팬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이다. 현재의 초소형 무인 항공기에 영상/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하고 숲이나 언덕 뒤에 숨어 있는 적을 정지비행과 응시로 약 1 시간 동안 감시 및 정찰을 한다. OAV의 Class-I은 개인 병사가 배낭에 담아 운반할 수 있는 크기와 무게의 수직 이·착륙 덕티드 MAV 개발이다. Class-II는 Class-I보다 두 배의 운용 시간과 더 넓은 범위의 비행이 가능한 유기체의 수직 이·착륙 덕티드 팬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이다. 초소형 무인기는 장시간 운용을 위해 현재의 '호버 및 응시'에서 '퍼치-앤-응시'으로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근 미래의 OAV 개념은 유·무인 지상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에 차량의 상부에 자동 이착륙하고, 탑재된 상태로 이동하고, 재급유, 재충전, 재이륙하는 합동 운용으로 임무 능력과 효율성을 확장하는 것이다. 덕티드 MAV는 지상 차량의 착륙 패드에서 자동으로 이착륙하기 위해 저렴한 초소형 GPS를 활용한 고정밀 상대 위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VTOL 덕티드 MAV와 유·무인 지상 차량 간에 유기체의 협업 동작이 가능케하는 공통 명령과 제어 아키텍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무인 무미익 항공기의 무게중심 변화를 고려한 L1 적응제어 비행제어 법칙 설계 및 성능 검증 (Desig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L1 Adaptive Flight Control Law Considering the Change of Center of Gravity for Unmanned Tailless Aircraft)

  • 고동현;강지수;최기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4-121
    • /
    • 2019
  • 무미익 항공기는 꼬리 날개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형태의 항공기에 비해 피탐성 낮으나 안정성이 좋지 않아 제어기를 설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비행 중에 임무장비 투하나 연료 소모 등에 의해 무게중심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제어기 설계는 더욱 더 어렵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L1 적응제어 방식을 제안하며 비선형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어기의 안정성과 성능을 검증하였다. 설계지표 선정을 위해 RPV Flying Quality Design criteria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급격한 관성량의 변화에 대해 설계된 적응제억기가 무미익 항공기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이고, 이득 스케쥴링 기법과 함께 사용 시 계산량이 줄어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Self-Service Technology Quality on SST Satisfaction and SST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AN, Dae-Sun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7-19
    • /
    • 2021
  • Purpos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echnology in the service industry, the interaction service between customer and employee has recently been transformed into between customer and technology by Self Service Technology (SST) requiring direct interaction with customers. In this context, self service technology such as unmanned ordering system installed at the store is actively introduced at the work place to reduce labor costs by food and retail company and the research for self-service technology which is rapidly replacing existing face-to-face service is needed. As the growth speed of SST is rapi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SST, in every sector of business worldwide. Among the characteristics, attributes, Self Service Technology Quality (SSTQUAL) to evaluate SST is important because it may cause the customer's behavior.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s of SSTQUAL on SST Satisfaction and SST continuance usage inten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guidelines for how Restaurant Company should prepare SST and build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that increase the sa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tes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STQUAL of unmanned ordering system, SST satisfaction and SST continuance usage. SSTQUAL divided into four sub-dimensions and two categories, cognitive service attributes (Convenience, Functionality) and affective service attributes (Enjoyment, Assur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24 customers experiencing SST and were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SmartPLS 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SSTQUAL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SST satisfaction. Second, SST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ST continuance intention. Third, cognitive service attributes and affective service attributes had wealth of explanation of service attribute more than a single dimension.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Restaurant Company should manage SSTQUAL consisting of not only cognitive service attributes (Convenience, Functionality) but also affective service attributes (Enjoyment, Assurance) to satisfy customers basically regardless of the type of restaurant.

Digital Signage System Based on Intelligent Recommendation Model in Edge Environment: The Case of Unmanned Store

  • Lee, Kihoon;Moon, Namme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3호
    • /
    • pp.599-614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digital signage system based on an intelligent recommendation model.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server and an edge. The server manages the data, learns 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odel, and uses the trained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odel to determine the advertisements to be promoted in real time. 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odel provides predictions for various products and probabilities. The purchase index between the product and weather data was extracted and refle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a product. First, the user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are input to a deep neural network as a vector through an embedding process. With this information, the product candidate group generation model reduces the product candidates that can be purchased by a certain user. 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odel uses a wide and deep recommendation model to derive the recommendation list by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purchase for the selected products. Finally, the most suitable advertisements are selected using the predicted probability of purchase for all the users within the advertisement range. The proposed system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erefore, it determines the advertisements using a model trained at the edge. It can also be applied to digital signage that requires immediate response from several users.

매장 무인화를 위한 주문 시스템 설계 (Design of Drive Thru for Unmanned Order System)

  • 이효상;김준형;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0-242
    • /
    • 2021
  • 최근 대부분의 매장에서 직원과 고객이 직접 대면하여 주문 하는 시스템이 사라지고 무선 주문 시스템인 키오스크가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매장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Drive-Thru는 아직까지 직원과 고객이 직접 소통을 하여 주문 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rive-Thru의 직원과 고객이 직접 소통하는 부분을 QR-Code를 이용하여 고객이 직원과 대면하지 않고 주문을 하는 Drive-Thru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비대면 Drive-Thru 시스템은 매장 내의 직원을 최소화하여 더욱 자동화 된 시스템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더욱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 받으며 소비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 PDF

로봇을 활용한 지능형 물건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Study on Intelligent Item Management System using Robot)

  • 고현;박성진;김경준;이다엘;박정후;최지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0-392
    • /
    • 2018
  • 우리는 가끔 물건을 보관한 위치를 잊고 나서 찾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물건을 보관하고 위치를 알려주며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물건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물건을 정리하는 방식은 사람이 로봇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로봇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물건의 이름을 선택하면 비어있는 보관 장소를 확인한 후 이동하여 보관한 뒤 보관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우리가 집에서 관리하는 물건을 잊지 않고 쉽게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무인 창고관리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