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manned Stor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5초

비주얼 머천다이징 관점에서의 무인 편의점 운영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manned convenience Store Oper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Merchandising)

  • 서정화;양회창;박철주;윤명길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2호
    • /
    • pp.45-53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operation system of current convenience store and competing retail store and to find out development of unattended convenience store. Operators can save labor cost and solve labor seeking when opening shop under suitable environment and commerce area, and assure of employee's safety. Customers are allowed to select commodity comfortably without disclosure of face and to shorten standby time at simple store opening, buying and paying and to produce convenient living environment by financing, delivery and goods control. This study examined effect and problems of operation of existing and unattended convenience store from point of view of visual merchandising to find out model of unattended convenience store and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convenience store busin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search procedure of accomplishment of goal of the study was: The study investigated state of distribution business, and role and definition of VMD. First, VMD played an important role of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of unattended convenience stores.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d research and cases of unattended convenience stores 14 months, that is to say, from August 15, 2017 to October 15, 2018. Third, the author investigated on-the-spot three of common convenience stores, three of unattended convenience stores and three of retailers one month, that is to say, June 1, 2018 to July 1, 2018. The subject was convenience stores and retailers selling similar type of products at Seoul and metropolitan area. Results - Layout, selling place, brand identity, goods assortment, authentication system, product information cognition and control, buying and payment system, security system, salesmen, promotion and other services should be improved from point of view of merchandising. Structure, furniture, lighting, voice, façade, VP, PP, IP and POP should be developed. Conclusions - Unattended convenience stores saved operating cost and lessened labor and gave visitors convenience and comfortable shopping and made use of resources effectively. Further studies with quantitative analysis shall find out strategic conditions for promotion of unattended convenience stores.

쇼핑가치에 따른 무인패션점포 이용의도 -기술수용모형의 적용-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서상우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140-15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o verify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cluding the shopping value as consumers' characteristic.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626 consumers as participants, was conducted from March 13 to 19.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is study us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was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which thereby affects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attitude.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cluding the shopping value a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consumers showed that the hedonic shopping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attitude.

항공기 내부무장 분리특성 분석을 위한 풍동시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ircraft Internal Store Separation Characteristics)

  • 안은혜;조동현;김종범;장영일;정경진;김상진;이호근;류태규;정형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stor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generic stealth configuration over unsteady flow of an internal bay. Free-drop wind tunnel tests are conducted to simulate bomb releases from an internal weapons bay while high-speed camera images are taken. The images a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low velocity, angle of attack, flap deflection and the ejector force application on the store separation trajectories. For the free-drop wind tunnel tests, Froude Scaling is applied to match the dynamic similarity for the bomb model, and the ejector force is simulated by using small pneumatic cylind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st bomb model safely separates from the internal bay at the given test conditions and configuration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effects of the flow velocity and ejector force application have greater impacts on the separation trajectories than those of angle of attack and flap deflection.

HMR 무인매장 서비스 품질 분류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Service Quality for HMR unmanned store business)

  • 이종원
    • 서비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41-61
    • /
    • 2023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편적 삶의 형태는 비대면이라는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소비 활동 측면에서도 점차 대면 접촉이 최소화되는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키오스크(kiosk)와 로봇 등을 통한 비접촉 서비스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사회 구조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는 식생활과 연관된 외식산업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정 내에서 직접 조리하는 노동이 줄어들고, 대체할 수 있는 식품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가정간편식 (HMR: Home Meal Replacement)시장이 큰 규모로 성장하였다. 시장의 규모가 커지며 상품을 제공하는 비즈니스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기술의 발전, 비대면 문화 그리고 기업의 경영 효율성이 맞물리며 최근 무인매장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츰 경쟁이 심화되는 HMR 무인매장의 서비스 품질 속성을 분류하여 고객만족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경영 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Kano model을 활용한 서비스 품질 분류 및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상품(메뉴) 다양성' 등이 매력적 품질로 분류되었으며, '매장 내부/외부 청결성' 등이 일원적 품질로 분류되었다. 또한 '셀프 계산 과정의 편리성'은 당연적 품질, '매장 내 통행의 편리성' 무관심 품질로 분류되었다. 나아가 만족계수가 가장 높은 요소는 '상품(메뉴)다양성'으로, 불만족계수가 가장 높은 요소는 '셀프 계산과정의 편리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HMR 무인매장의 서비스 품질 관리에 있어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관련 비즈니스에서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상처리 AI기술과 QR인증을 이용한 지능형 방범 솔루션 (Intelligent Security Solution Using Image Processing AI Technology and QR Certification)

  • 송근영;김성호;김윤호;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4-396
    • /
    • 2022
  • 코로나19 이후 특정 시간대에 무인 매장으로 운영되는 하이브리드 매장이 확산되고 이들 매장에 대한 절도 범죄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상점의 심야시간대에 발생하는 범죄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무인상점 장치를 충분히 활용한 지능형 방범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화장품 무인매장의 서비스품질과 방문의도의 관계 연구 : 친숙성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Visit Intention in a Cosmetics Unmanned Store : Moderating effect of familiarity)

  • 신동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3-1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무인매장의 서비스품질과 방문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친숙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총 190부를 수집하여 통계패키지 SPSS 26.0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무인매장의 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인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 모두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숙성 또한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장품 무인매장의 서비스품질과 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친숙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친숙성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친숙성을 높이기 위해 화장품 무인매장의 홍보나 광고를 강조한 마케팅을 제시하여야 한다.

대학 캠퍼스 내 무인 식품 매점 운영에 대한 고객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customer needs for the operation of unmanned food stores on a university campus)

  • 김세은;박민서;배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5호
    • /
    • pp.587-600
    • /
    • 2022
  • 대학구성원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 24시간 운영하는 '무인 식품 매점' 운영에 대한 고객 요구도를 총 3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조사대상자 중 남자는 31.3%, 여자는 68.7%였고, 1인 가구는 전체의 54.1%였으며, 아침식사 결식률은 39.2%였고, 섭취가 부족한 식품군은 과일류 (35.6%), 채소류 (32.8%) 순으로 높았다. 점심식사는 배달음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32.2%로 가장 많았고, 점심식사로 선호하는 메뉴는 한식 (74.2%), 일품요리 (34.3%), 일식 (31.9%), 패스트푸드 (28.0%), 중식 (17.0%)의 순이었다. 점심식사와 점심식사 장소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평균 3.91점/5점이었고, 전체적인 만족도는 직접 조리해서 먹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편의점에서 식사하는 경우가 가장 낮았으며 (p < 0.001), 가족과 식사하는 경우가 친구나 혼자 식사하는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p < 0.001). 무인 매점 이용 의향은 평균 3.98점/5점으로, 직접 조리하는 경우 (3.76점)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고, 편의점에서 식사하는 경우 (4.38점)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p < 0.05). 무인 식품 매점 희망 이용 시간대는 점심시간 (54.1%), 저녁시간 (46.2%), 오후 간식 시간 (41.9%) 순이었고, 구입 희망 식품은 도시락류 (62.0%), 샌드위치류 (56.2%), 컵과일류 (54.4%), 샐러드류 (51.7%), 김밥류 (50.5%) 순이었다. 판매 예정 식품의 구입 희망 평균 가격은 도시락류는 4,991원, 샐러드류가 3,403원, 컵과일류는 2,745원, 샌드위치류는 2,609원, 김밥류는 2,235원이었다. 대학교 내 무인 매점 경영자는 무인 식품 매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고객의 요구를 실시간 파악하여 고객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무인항공기 기반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Routing in UAV based Disruption Tolerant Networks)

  • 김태호;임유진;박준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4호
    • /
    • pp.521-526
    • /
    • 2009
  • DTN(Disruption/Delay Tolerant Network)은 네트워크의 단절성(partitioning)이 높은 환경에서 단절된 지역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이다. 현재 DTN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라우팅 기법에 대한 연구는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분야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절된 애드혹(Ad-hoc)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간의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이용한 DTN의 구성 시 사용가능한 DTN 라우팅 기법을 살펴보고 UAV의 이동 경로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무인순찰로봇 활용 데이터 기록 자동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정의 및 시스템 구축 (Metadata design and system development for autonomous data survey using unmanned patrol robots )

  • 정남철;이기륜;노현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67-268
    • /
    • 2023
  • Unmanned patrol robot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for autonomous data survey in construction sites. As the amount of data acquired by robots increases, it is important to utilize proper metadata and system to manage data flow.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ree materials, metadata design, robot system and web system, in the purpose of automating construction site data survey using unmanned patrol robots. The metadata was mainly designed to represent when and where raw data was acquire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data acquired, localization data from SLAM algorithm was converted to suit the construction drawings. The robot system and web system were developed to generate, store and parse the raw data and metadata automatically. Th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dopted to Boston Dynamics SPOT, a quadruped robot. Autonomous data survey of 360-picture and environment sensor was tested in two construction sites and the robot worked as intended. As a further study, development on the autonomous data survey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will be continued.

  • PDF

DTN에서 UAV 편대를 이용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 (Efficient Network Structure Using UAV Squad In DTN)

  • 도윤형;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7-90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DTN에서 UAV 편대를 이용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MANET에서 불안정한 종단간 연결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DTN은 Store-Carry-Forward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Store-Carry-Forward 방식의 통신은 종단간의 연결 없이도 중계 노드가 확보되면 번들 계층을 통해 메시지를 저장하여 목적 노드까지 손실 없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라우팅 구조는 재해재난 상황이나 전쟁 지역과 같이 네트워크 기반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런 연구의 일환으로 UAV 편대를 이용하여 유동적인 환경에서 더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센서로써 작동하는 이질적인 노드들의 환경 정보 이용해 UAV 분대를 조직하여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