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t floor Pla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41초

그린 프레임 합성 PC부재의 양중공정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ifting Progress for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mbers of Green Frame)

  • 주진규;김신은;이군재;김선국;이성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4-42
    • /
    • 2012
  • 국내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수월성 및 이에 따른 장수명화를 위해 그린 프레임 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린 프레임 공법은 합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로 벽식 구조와는 달리 양중 및 설치가 골조공사의 주공정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그린 프레임에 의한 적정 골조공사 공기 산정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양중계획이 필요하다. 그러나 양중계획은 그린 프레임을 구성하는 요소인 합성 PC 부재(기둥, 보)의 단위 양중공정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린 프레임 합성 PC 부재의 양중공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합성 PC 기둥과 보의 양중절차와 시간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사례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기준층의 양중 사이클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그린 프레임에 의한 골조공사 양중계획 시 핵심자료로 사용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일본 소규모 단독주택의 공간특징 분석 - 국내 아파트 평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mall Houses based on Space Syntax Theory in Japan - Focusing on Comparing with Domestic Apartment Unit Plan -)

  • 신미옥;윤춘섭;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87-94
    • /
    • 2015
  • To analyze the space features of small-sized detached houses, this study has compared the floor plan types of detached houses and apartments. Currently small-sized detached houses are popular in Korea.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focused on common residential patterns and the apartment plan. The results of space syntax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ur types of apartments and twelve types of small-sized detached houses were deduced by the relative spatial depth analysis. Among the sixty-seven house samples, only two of them showed the same pattern as those of apartments, which showed that each room of detached houses had distinct difference with those of apartments.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and control analysis, each space of apartments showed difference within narrow range, while the space of detached housed showed difference within wide range. In addition, the detached houses showed distinct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of space and the surroundings, and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easier layouts for access rooms and difficult ones. Moreover, the living rooms of detached houses somewhat exist under the low integration condition, and they cannot be standardized in the center of house, which are different with those of apartments. The master bedrooms of detached houses exit at the surrounding space same as those of apartments. Nevertheless the toilet is in the master bedroom which made its control lower than those of apartments.

$CO_2$ 배출 특성을 고려한 건설폐기물 관리방안 수립기준: 고층 주거건물 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 (A Guideline for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_2$ Emissions: A Case Study for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Project)

  • 김지혜;신동우;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150-158
    • /
    • 2007
  •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 온실가스가 이산화탄소임이 공표되고, 이의 배출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국내외적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 건설산업에서도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는 심각한 이산화탄소 배출원 중 하나인 건설폐기물에 대해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여 건설폐기물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건설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과정평가(LCA) 결과, 자재별로는 철근류, 가설자재류, 시멘트류,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타일 등의 자재가 폐기물로 인한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95% 정도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자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원인은 폐기물 발생량보다는 자재 생산에 필요한 단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종별로는 철근콘크리트공사, 미장공사, 가설공사 등과 같이 전체 공정 중 초중반에 걸쳐 수행되는 공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체 공종 중 92%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폐기물 관리자들은 공정 중후반에 수행되는 마감공종의 폐기물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서 폐기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과정평가(LCA) 결과를 반영한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르세이유 거대 주거동의 건축설계 특성(特性)과 단면 3층 단위체 기원(起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 of Three-story Section in the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s)

  • 윤재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4호
    • /
    • pp.61-75
    • /
    • 1998
  • The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s was an experimental project that Le Corbusier had been waiting for since 1920s in order to explore his ideals and visions in mass housing and city planning. As a leader of the first generation members in CIAM, Le Corbusier tried to give a new form and an order to the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s in both building design and city planning lev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s in three different levels of built environment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an original form is derived from its contextual settings. In the level of city planning, Le Corbusier aimed to reshape traditional low-rise urban housing by deploying several Unites spaciously. Le Corbusier believed that the spacious deployment of Unites would bring us both the functional economy in the city and the natural amenity in the suburbs. As Unite d'Habitation would be called frequently as vertical garden city, the influence of suburban garden city on Unite d'Habitation is apparent. In the building level, the binomial harmony of individual-collectivity was pursued by providing three different public floors and by combining 23 different family unit types in the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s. In order to visualize the concept of object-type, family units were prefabricated and inserted into the structural frame of the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s. Two family units are combined to make a three-story section with street corridor in the middle. This three-story section unit is very original as it has access corridor every third floor and each unit could have considerable depth with the help of the living space of two story height. In consideration of formal and plan similarity as well as contextual edivdence, it is concluded that the three-story section of the Unite d'Habitation is derived more from Narkomfin Apartments than from the monastery at Ema or Immuble Villas.

  • PDF

조선시대 성곽 장대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Jang-Dae of Castle in the Joseon Dynasty)

  • 김기현;장헌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120-141
    • /
    • 2015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곽 축성의 기술적 변화 가운데 하나인 장대를 중심으로, 장대의 건축적 특성을 시론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장대는 장수의 지휘시설 및 장졸들의 훈련시설로 성내에 마련된 건물이다. 장대가 최초로 건립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18세기를 전후로 하여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왜란과 호란을 거치며, 장대의 실효성에 대한 인식이 대대적인 축성사업에 적용되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장대는 조망의 기능이 최우선시 되었기 때문에 높은 지형에 개방적인 형태로 설치되었다. 또한 강변 경사지에 위치한 읍성 누각의 높고 개방적인 형태는 내부에서의 유관(遊觀)과 더불어 장대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었다. 또한 장대는 병사들의 교련과 사열이 이루어지는 장소였기 때문에 병사들을 소집하기 위한 넓은 대(臺)가 전면에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시대 장대의 공간구성에서 정형화된 형식으로 나타나며, 지형적인 제약으로 인해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없는 곳은 대의 형태만을 갖추었다. 한편, 장대에는 지휘관이 위치하는 장소로서의 위계성이 다양한 건축적 특성으로 나타난다. 높이차를 통해 지휘관의 공간에 위계성이 부여되고, 건물의 격을 높이고자 여러 장식적인 요소들이 가미되었다. 장대 건물의 평면은 크게 장방형과 정방형으로 구분되는데, 장방형 평면은 건물의 규모에 따라 $5{\times}4$칸과 $3{\times}2$칸이 일반적이다. 이 중 $5{\times}4$칸의 건물은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평지성이나 읍성에서 나타나며, 비교적 소규모인 $3{\times}2$칸은 주로 산성에서 나타난다. 정방형 평면의 건물은 모두 $3{\times}3$칸의 형태를 가지며, 어칸 길이는 협칸의 약 두 배가 되어, 내부 중앙칸이 넓게 마련된다. 이는 내부 중앙칸이 상층의 바닥 면적이 되기 때문에 상층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의도로 파악된다. 장대의 일부는 내부에 층을 두어 상부공간을 구성한다. 하층이 개방되고 상하층에 처마를 달아낸 중층누각형식은 장대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건축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건물들은 하층의 내진주가 그대로 연장되어 상층의 변주가 되는 온칸물림방식을 보여주며, 내진주에 멍에창방을 끼우고, 귀틀을 결구하여 상층마루를 구성하였다. 또한 읍성에 위치한 누각은 상부에만 지붕이 구성되어 중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높은 누하주를 세우고 상부에 청방을 결구하여 상층마루를 구성하였다.

삼척지역 농촌재래주택의 주거유형과 공간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Type and Space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Samcheok Region)

  • 최장순;김진원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5-3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space composition and extension of Jeonja-jip and Dureong-jip in Samcheok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appears three residential plan types - Jeonja-jip with Anmaru(a room made of wooden floor), Jeonja-jip without Anmaru and Dureong-jip with Anmaru- in survey region. It was needed the extension of residential space at Jeonja-jip(a house type with two-row rooms which be composed of 田type under one roof) and Dureong-jip(a house type with inner floor which be surrounded by rooms under one roof) because of shortage of sleeping space, working space and keeping space owing to growing large family. The solutions of these shortages will be the extension of space in houses. Jeonja-jip's basic type which is the Kyup-Jip(a house type with two-row rooms under one roof) of 一 type with 6 Kans(Kan, a unit to count room to divided with four posts) is transformed and extended to 田shaped house with 11 Kans toward X-axis orientation. Dureong-Jip's basic type which is ㄱ type with 7 Kans is transformed and extended to the Sekyup-Jip with 9 Kans and the Nekyup-Jip(a house type with four-row rooms under one roof) with 12 Kans toward Y-axis orientation by insertion and addition. Jeonja-jip was developed into Kyup-Jip with front 4 or 5 Kans and side 2 Kans instead of being done into Sekyup-jip or Nekyup-Jip with insufficient day lighting and ventilation problems. Jeonja-jip and Dureong-jip were stronger than any other traditional houses in tendency to reserve Magu(cowshed) and Chikkan(toilet) in a house.

연구중심병원 의생명연구원의 실험실 구성 사례 조사 (Case Study on the Building Organization of Medibio Research Laboratory Facilities in Research-driven Hospital)

  • 김영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95-104
    • /
    • 2018
  • Healthcare technology has been growing and fostering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university and hospitals as growth engines in korea. So, the medibio research institutes in hospital have been constructed to promote research an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on healthcare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ses of research institutes in hospitals, and 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organization of medibio research laboratory facilities. Case study is investigated by floor plan, homepage and site visits about five research institutes selected in research-driven hospitals. The facility title and size of research laboratory is originated from site area and research building location. The building function include not only the research lab and business office reflecting on the development platform, and but assembly and meeting room in the ground level. Laboratory floor plans have three types, rectangular, rectangular+linear and linear type, one is traditional and efficient, the others are people and friendly. And building core types are correlated with lab space unit modules, single and double side core are shown in rectangular type. All the laboratories are open lab, composed with laboratory bench and research note writing desk facing the lab service and enclosed lab-support area. And they have communication space looking as warm and cozy common area for the innovation,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As the high risk of contamination and high standard for safety and security,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well managed with bi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BSC, fume hood, PCR classification, eye washing and emergency shower.

음영조건을 고려한 공동주택 옥상 태양광모듈의 배치계획 평가 연구 (Evaluation on the Photovoltaic Module Arrangement Planning Considering Shading Conditions in Apartment Buildings)

  • 이겨레;이윤선;임재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5호
    • /
    • pp.169-179
    • /
    • 2019
  • During the initial design stage of apartment complex, the photovoltaic(PV) system has been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of renewable energy system and planned to install at the rooftop floor level in general.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can be influenced by the block layout, building orientation and roof top structure because of azimuth angle, tilt angle, and partial shad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 system in apartment buildings by considering the partial shading conditions due to the block layout, building orientation and roof-top structures. For the photovoltaic module arrangement planning in rooftop floor level, shading areas were firstly analyzed due to the adjacent building structure. And the annual and seasonal power generation of PV system were analyzed through the PVsyst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shading period at the roof top surface can be increased due to the parapet and water tank. Initial design power capacity can be decreased by considering the daily insolation period and distance between PV modules through the shading simulation. As the number of PV modules decreases, the annual power generation can be decreased. However annual power generation per unit area of PV modules can be increased and performance ratio can be increased above 80%. Also the power generation of PV system can be critically affected by building orientation and the performance ratio can be drastically decreased in east-oriented buildings due to the shading problems caused by adjacent structures at roof top level such as parapet and water tank.

대전시 상업지역 주거복합건축물 사례 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Residential Complexes in Commercial Areas in Daejeon)

  • 류경수
    • 지역연구
    • /
    • 제39권2호
    • /
    • pp.63-76
    • /
    • 2023
  • 최근 대도시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입지로 인해 도시기능이 상업기능에서 주거기능으로 전환되고 있다. 대전광역시 상업지역 내 용도용적제를 개선하기 위해 특·광역시의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사업대상지 8개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거복합건축물의 용도 분류의 명확화, 둘째, 상업지역의 기능 상실에 대한 도시 계획적 불균형, 셋째, 개발밀도의 차이로 도시환경의 훼손이다. 이에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주거기능과 용도복합의 비율을 최소 10% 이상 확보하고, 둘째,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융·복합화된 시설을 유도하여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 용도용적제 폐지를 통한 공동주택의 일괄적인 용적률을 적용하며, 셋째,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자문을 통한 개발밀도를 제시하였다.

중량충격음 평가방법 변화에 따른 단일수치평가량 기여 주파수 대역 사례 분석 (Case study on frequency bands contributing the single number quantity for heavy-weight impact sound based on assessment method changes)

  • 신혜경;박상희;김경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65-571
    • /
    • 2023
  • 사후확인제 도입으로 현장에서의 바닥충격음 성능 측정이 의무화되고, 평가 방법이 변경되었다. 제도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성능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평가방법에 따라 중량충격음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과 바닥구조가 동일한 하나의 아파트 건물에 위치한 59세대를 대상으로 충격원 및 평가지표에 따라 단일수치평가량을 결정하는 주파수 대역의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단일수치평가량에 따른 주파수대역별 기여도 산출방법이 상이하여 단순 비교는 어려우나, 사후확인제 도입 이전 평가방법(뱅머신 측정 및 L'i,Fmax,AW으로 평가)에서는 63 Hz가 미치는 기여율은 평균 80.8 %로 나타났으며, 125 Hz가 미치는 기여율은 평균 19.2 %으로 나타났다. 현행 평가방법(고무공 측정 및 L'iA,Fmax으로 평가) 에서는 기여율은 50 Hz ~ 80 Hz에서 평균 33.1 %, 100 Hz ~ 160 Hz에서 평균 58.7 %, 200 Hz ~ 315 Hz에서 평균 6.9 %, 400 Hz ~ 630 Hz에서 평균 1.3 %으로, 63 Hz 대역의 기여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상 공동주택에 대한 사례 분석 내용으로, 더 다양한 공동주택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