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uideline for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_2$ Emissions: A Case Study for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Project

$CO_2$ 배출 특성을 고려한 건설폐기물 관리방안 수립기준: 고층 주거건물 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As the amount of $CO_2$ emission in Korea is ranked 9th and the increasing rate of $CO_2$ emissions highest in the world, it is strongly necessary to devise methods to decrease the amount of $CO_2$ in each industry as the basis of establish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_2$ emissions from construction wastes throughout the simplified LCA (Life Cycle Assessment) and suggest the strategic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plan to decrease $CO_2$. As a result of LCA on the case of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project, total sum of $CO_2$ emission generated from construction wastes appeared as 6,818,123kg-$CO_2$ and $CO_2$ emission per unit floor area as 21.01kg-$CO_2/{\beta}{\ge}$. The principal waste materials generating more than 95% of $CO_2$ are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 temporary materials, cement, ready-mixed-concrete, concrete products, and tile, which have relatively high unit emission rate of $CO_2$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Besides, more than 92% of $CO_2$ was generated from the activities such as structure work, plaster work, temporary work, and tile and stone work, which are generally executed in the early phase of the whole construction period. Reflecting these results, the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plan was recommended. If the waste management plan is established considering the guideline suggested, there would be high potential to decrease the amount of $CO_2$ generated from construction wastes.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 온실가스가 이산화탄소임이 공표되고, 이의 배출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국내외적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 건설산업에서도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는 심각한 이산화탄소 배출원 중 하나인 건설폐기물에 대해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여 건설폐기물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건설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과정평가(LCA) 결과, 자재별로는 철근류, 가설자재류, 시멘트류,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타일 등의 자재가 폐기물로 인한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95% 정도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자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원인은 폐기물 발생량보다는 자재 생산에 필요한 단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종별로는 철근콘크리트공사, 미장공사, 가설공사 등과 같이 전체 공정 중 초중반에 걸쳐 수행되는 공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체 공종 중 92%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폐기물 관리자들은 공정 중후반에 수행되는 마감공종의 폐기물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서 폐기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과정평가(LCA) 결과를 반영한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폐기물 관리방안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건축물의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04
  2. 구해식, 허길양, 건설공사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권 1호, 2001
  3. 기후변화협약대책위원회,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한 제2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2003
  4. 김지혜, 차희성, 신동우, 고층 주거건물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발생패턴 및 발생 유발 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3호, 2006
  5. 송태협, 이세현,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방안 도출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호, 2002
  6. 신동우, 윤종일, 건축공정과 연계한 현장폐기물 발생패턴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권 6호, 2000
  7. 양극영, 윤여완, 이형택, 유현주, 김용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실태 파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권 2호, 1999
  8. 이건모, 허탁, 김승도, 환경 전과정평가(LCA)의 이론과 지침,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 1998
  9. 이종일, 신승상, 건설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관리 및 처리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권 3호, 1998
  10. 임정수, 박선규, 김상규, 이도헌, 김무한, 아파트 건설현장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호, 1998
  11.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해설', 2004
  12.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in US),' Solid waste and management and greenhouse gases: A life-cycle assessment of emissions and sinks', 2002
  13. Lee, K.M. and Inaba, A., 'Life Cycle Assessment: Best practices of ISO 14040 series', Committee on Trade and Investment of Korea, 2004
  14. OECD, 'Carbon dioxide emissions embodied in international trade of goods', STI working paper 2003/15, 2003
  15. OECD/IEA, '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s', 2004
  16. OECD, 'OECD Input-Output tables (edition 200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