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t care

검색결과 2,100건 처리시간 0.033초

자발순환 회복된 병원 외 성인 심정지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와 혈청 칼륨 및 젖산 농도와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serum potassium and lactic acid with neurologic outcome in out-of 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 이용헌;김원희;강구현;장용수;최현영;김재국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3-49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rum potassium and lactate on neurologic outcomes in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e recruited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from 2011 to 2017. Primary outcome was good neurologic outcome at discharge. To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serum potassium and lactat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5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was 19 (33.3%). In the univariate analysis, good neurologic outcome patients showed a higher smoking rate, shorter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higher rate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lower severity score (all P<0.05). The good neurologic outcome patients also presented higher pH, lowe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and lower potassium regarding laboratory findings on the first hospital day (all P<0.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ndependent factors favoring good neurologic outcome wer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djusted odds ratio [aOR], 0.82;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0.97; P=0.019) and lowe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on the first hospital day (aOR, 0.95; 95% CI, 0.91-0.99; P=0.034). Conclusion: Serum potassium and lactat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in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The prognostic factors for good neurologic outcome wer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nd initial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비외상센터에서 외상센터로의 전원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terhospital transfer on outcomes for trauma patients: impact of direct versus non-direct transfer)

  • 양욱태;민문기;류지호;이대섭;이강호;신진욱;염석란;한상균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5-422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compared the prognosi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trauma center directly (direct visit group) with those transferred from the non-trauma center (transferred group). Methods: The patients, who were 18 or older with Injury Severity Score of 15 or more in the trauma center at Busan, were studied from October 2015 to October 2016. To compare the treatment time between the direct visit and transferred group, first treatment time, final treatment time, and time to visit the trauma center were examined. To compare the prognosis, this study compared the 48-hour, 7-day, and in-hospital mortality rate as well as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ICU) and total hospital sta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transferred group, the physician's level and procedures that had been performed at the non-trauma center were examined. Results: The mortality was similar in the direct visit and transferred group (48-hour 7.6% vs. 4.6%, P=0.111; 7-day 11.1% vs. 7.2%, P=0.89; and in-hospital 14.6% vs. 11.3%, P=0.214). The length of ICU and total hospital stay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The mortality was higher in the patients in the transferred group when using intubation, transfusion, and pressure intensifier. The intubated patients showed higher mortality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Conclusion: The mortality, length of ICU, and hospital stay were similar but the time to visit the trauma center and the final treatment time were longer in transferred group. Stabilizing the patient at the near non-trauma center may be more helpful for some patients.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

  • 이준기;조은영;이현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66-81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2021년 7월 15일 기준으로 1.88억명 이상의 확진자와 406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소아청소년에서는 성인에 비해 비교적 중증 감염 발생이 낮으나, 일부에서는 SARS-CoV-2 감염 약 2-6주후소아다기관염증증후군(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라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MIS-C는 어린영아부터 청소년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발열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기와 관련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소화기 및 신경계 증상이 흔하며, 많은 경우 가와사키병과 유사한 피부점막증상 등이 나타난다. 특히 심장관련 증상으로 좌심실 기능저하, 심근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관상동맥확장 및 관상동맥류가 나타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저혈압, 쇼크를 동반하며, 중환자실 치료 및 기계환기요법을 요하나, 적절한 치료 후 대체로 회복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와 같이 MIS-C는 소아청소년에서 SARS-CoV-2 이후 드물게 발생하는 중요한 합병증으로, 임상증상을 잘 인지하고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MIS-C의 역학 및 임상 증상, 추정되는 병태생리, 진단적 접근 및 치료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Intravenous Fluid Selection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Clipping : Balanced Crystalloid versus Normal Saline

  • Kang, Jian;Song, Young Joo;Jeon, Sujeong;Lee, Junghwa;Lee, Eunsook;Lee, Ju-Yeun;Lee, Euni;Bang, Jae Seung;Lee, Si Un;Han, Moon-Ku;Oh, Chang Wan;Kim, Tacke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4호
    • /
    • pp.534-542
    • /
    • 2021
  • Objective : While balanced crystalloid (BC) could be a relevant fluid regimen with buffer system compared with normal saline (NS),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optimal fluid for surgery of an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luid regimens between NS and BC on the metabolic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UIA.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pensity score matched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and included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UIA clipping. Patient groups were categorized as NS and BC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pre-operative fluid and the amount of fluid administered during surgery. The primary outcomes were defined as electrolyte imbalance and acidosis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secondary outcomes were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duration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xtubation. Results : A total of 586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ith each of 293 patients assigned to the NS and BC groups,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surgery, serum chlo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 group. Compared to the NS group, the BC group had lower incidence rates of acidemia (6.5% vs. 11.6%, p=0.043) and metabolic acidosis (0.7% vs. 4.4%, p=0.007). As compared to NS group, BC group had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xtubation (250±824 vs. 122±372 minutes, p=0.016) and length of stay in ICU (1.37±1.11 vs. 1.12±0.61 days, p=0.001). Throughout multivariable analysis, use of BC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 for favorable post-operative result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who received BC during UIA clipping had lower incidence of metabolic acidosis, earlier extubation and shorter ICU stay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NS. Therefore, using BC as a peri-operative fluid can be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undergo surgery for UIA.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정신건강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Mental Health of Registered Nurses)

  • 주정민;구애진;김성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2020
  • 연구목적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신 증상 위험의 관계를 확인하여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임상 근거를 창출하고, 신체화 증상의 의미에 대해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서울시 내 1개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70명에게 자가기입형 도구(Perceived Stress scale, Fatigue Severity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ion)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 중 12.9%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고 피로, 낮은 에너지, 생리통, 허리 통증이 나타났다. 신체화 증상과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불안한 느낌이나, 자신감의 감소는 신체화 증상의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신체화 증상이 심한 집단은 우울,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신체적 피로가 높은 집단은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통제력이 감소되는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피로 수준의 증가는 불안과는 관련이 없었고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화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 증상 중 강박과 적대감이 증가하였다. 선형회귀모형에서 스트레스, 우울, 불안은 신체화 증상을 39.3%, 신체적 피로 증상을 16.1% 설명하였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문화에서 신체화 증상의 특징으로 스트레스 인지 증상의 감소, 우울과 불안 경험, 강박 및 적대감의 동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신체화와 정신 증상은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상호관련성이 관찰되어 향후 중재 전략 마련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Prenatal Antibiotic Exposure on Neonatal Outcomes of Preterm Infants

  • Kim, Hyunjoo;Choe, Young June;Cho, Hannah;Heo, Ju S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49-159
    • /
    • 2021
  • 목적: 산모의 산전 항생제 사용은 여러가지 면에서 태아 및 신생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이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5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출생한 재태주수 32주 미만 또는 출생 체중 1,500 gram 미만인 신생아 및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에 따라 미투여 군, 7일 이하 군, 7일 초과 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산모의 특성, 환아의 특성 및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5명 중 93명의 환아가 산전 항생제에 노출되었으며, 그 중 35명(37.6%)는 7일 이하 군, 58명(62.4%)는 7일 초과 군이었다. 7일 초과 군은 미투여 군에 비해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score가 교란변수 보정 후에도 유의미하게 높았다(beta, 0.258; standard error, 0.149; P<0.00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7일 초과 군은 사망(adjusted odds ratio [aOR], 8.9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82-53.775), 그리고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aOR, 2.375; 95% CI, 1.027-5.492). 결론: 산모의 장기간 산전 항생제 투여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 score을 증가시키며, 사망 뿐 아니라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초기 경장영양 공급 수준과 다발성 외상 중환자의 임상 경과와의 상관성 연구 (Association of the initial level of enteral nutrition with clinical outcomes in severe and multiple trauma patients)

  • 양수영;정승연;이지현;권준식;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85-10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발성 외상 중환자에게 있어 급성 단계에서의 이화학적 상태 및 경장영양 공급 수준이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 302명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비율이 높으며 다른 중환자실에 비해 연령이 낮게 나타났으며 과체중의 체격을 가지고 있었다. 입원 후 7일간의 경장영양 공급 수준에 따라 일반적 결과와 합병증 발생률, 영양 관련 생화학적 지표를 비교한 결과, 초기 경장영양이 가장 적극적으로 공급되었던 High EN 그룹에서 사망률, CRP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질소 평형을 기준으로 이화상태가 양호한 그룹에서는 경장영양 공급 기간이 길수록 HAIs 발생률이 높았으나, 이화상태가 불량한 그룹에서는 적극적인 경장영양 공급에도 여러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지 않았다. 생화학적 검사 결과에서는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경장영양 공급 수준에 따른 사망률 감소 추세는 두 그룹 모두에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망률 감소, 염증 수치의 감소 등에서 초기 경장영양 공급 일수가 증가할수록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단, 후향적 관찰연구라는 제한점을 미루어 보아 향후 연속적으로 이화상태를 모니터링 및 평가하며 기본 특성의 차이가 없는 그룹 간에서 경장영양 공급 수준을 차별화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겠다.

Risk factors for cancer-specific survival in elderly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curative gastrectomy

  • Liu, Xiao;Xue, Zhigang;Yu, Jianchun;Ma, Zhiqiang;Kang, Weiming;Ye, Xin;Li, Ziji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5호
    • /
    • pp.604-615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ancer-specific survival (CS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elde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SUBJECTS/METHODS: EGC patients (≥ 70 yr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at our hospital were include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data were collect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used to extract the best cutoff point for body mass index (BMI).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CSS. RESULTS: In total, 290 EGC patients were included, with a median age of 74.7 yr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31 (1-77) mon. The postoperative 1-yr, 3-yr and 5-yr CSS rates were 93.7%, 75.9% and 65.1%, respectively.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risk factors for CSS, including age (hazard ratio [HR] = 1.0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15),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 (HR = 1.73; 95% CI, 1.08-2.79), nutritional risk screening (NRS 2002) score ≥ 5 (HR = 2.33; 95% CI, 1.49-3.75), and preoperative prognostic nutrition index score < 45 (HR = 2.06; 95% CI, 1.27-3.33). The ROC curve showed that the best BMI cutoff value was 20.6 kg/m2.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a BMI ≤ 20.6 kg/m2 (HR = 2.30; 95% CI, 1.36-3.87), ICU admission (HR = 1.97; 95% CI, 1.17-3.30) and TNM stage (stage II: HR = 5.56; 95% CI, 1.59-19.43; stage III: HR = 16.20; 95% CI, 4.99-52.59)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SS. CONCLUSIONS: Low BMI (≤ 20.6 kg/m2), ICU admission and advanced pathological TNM stages (II and III)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SS in EGC patients after curative gastrectomy. Nutrition support, better perioperative management and early diagnosis would be helpful for better survival.

Unexpected Aggravation of COVID-19 After Recovery in Three Adolescents With Chronic Neurologic Conditions: A Case Series

  • Dayun Kang;Seung Ha Song;Bin Ahn;Bongjin Lee;Ki Wook 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47-154
    • /
    • 2022
  • 코로나바이러스-19 (COVID-19)는 일반적으로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임상적으로 경한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의 소아에서 약 7일간의 격리가 끝나면 증상이 호전되어 특별한 이벤트 없이 퇴원하게 된다. 우리는 통상적인 임상경과와는 다르게, 격리 해제시점 또는 퇴원을 고려하고 있는 시점에 갑자기 악화된 임상증상을 보이는 3명의 청소년 환아들을 경험하였다. 세 명의 아이들은 공통적으로 신경학적 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가지고 있었다. Case 1은 울리히 선천성 근디스트로피로 진단받고 밤에만 이중양압기로 호흡보조를 받던 17세 남환의 경우로, 첫 COVID-19 증상 이후 9일이 지나고 증상 호전되어 퇴원을 준비하던 중 심폐정지가 발생하였다. Case 2는 뇌출혈 및 뇌경색 이후 병상에 누워 지내며 기관절개관 삽입 후 가정용 인공호흡기로 호흡보조를 받던 12세 여자 환아로,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나 첫 COVID-19 증상 이후 11일이 지난 후 심폐정지가 발생하였다. Case 3의 경우 조산아로 출생하여 뇌실출혈 및 수두증 진단받고 병상에 누워 지내나 호흡보조는 받지 않았던 12세 남자 환아로, 첫 증상 이후 호전추세였으나 10일 후 다기관 기능부전 확인되어 입원 진행하였다.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제, 경험적 항생제가 투여되었고 중환자실 치료를 시행하였다. 세 환아들 중 2명 (case 1, 3)은 치료를 통해 호전되었으나, 1명 (case 2)는 심부전 진행하여 사망하였다. 이러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COVID-19 격리 기간이 끝나고 퇴원 가능한 시점이라도 갑작스러운 증상 악화를 보일 가능성이 있기에, 긴장을 놓지 않고 임상 증상의 변화를 확인하고 필요시 빠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신경학적 또는 호흡기적 만성 질환을 갖는 아이들에게 주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산아의 발육성 법랑질 결함의 위험 요인 평가 (Assessment of Risk Factors for Developmental Defects of the Enamel in Preterm)

  • 박상연;이제호;최형준;강정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2-204
    • /
    • 2023
  • 본 연구는 조산아 유치의 발육성 법랑질 결함을 정량화하는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조산아의 재태기간, 출생 시 체중, 다양한 합병증 및 치료 이력에 따른 발육성 법랑질 결함의 심각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산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및 퇴원 기록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여 출생 정보, 합병증 진단 여부, 비경구 영양 및 기관내 삽관 기간을 조사하였다. 기존의 발육성 법랑질 결함 평가지표를 수정하여 Preterm Developmental Defects of Enamel (PDDE) index를 고안하였으며, 평가자는 기준에 맞추어 조산아 유치의 발육성 법랑질 결함을 법랑질 저광화와 저형성으로 구분하여 점수화하였다. 재태기간 28주 미만, 출산 시 체중 1000 g 미만인 군의 PDDE score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관지폐이형성증, 구루병, 뇌실내출혈, 괴사성 대장염 진단 이력이 있는 군, 기관내 삽관 일수가 50일 이상인군, 비경구영양 일수가 20일 이상인 군 역시 PDDE score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발육성 법랑질 결함의 위험인자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산아 발육성 법랑질 결함 위험인자를 파악하여 조산아의 구강 상태를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