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t Shape Part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형 고속전철 동력차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KHST Power Car)

  • 손재용;조한범;권영규;김현철;박광복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4-475
    • /
    • 1998
  • The study was carried out about the design of Power Car for Korean High Speed Train of maximum operating speed of 350㎞/h. At 350㎞/h, air resistance accounts for by far the greater part of overall resistance to forward motion. So, The Power Car's shape has to be largely determined by aerodynamic considerations. In a multiple unit such as the KHST, the two power cars assume the role of a locomotive. They accommodate all the machinery for providing traction. The train is controlled and monitored from power cars. The mechanical portion of KHST Power Car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which focuses on aerodynamics, mass balance, the car body and the layout of the equipment that is fitted into power car.

  • PDF

광원 트래킹 기법을 이용한 수경재배기 제어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Water Culture Device using Solar Tracking Method)

  • 박성균;정세훈;오민주;심춘보;박동국;유강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31-242
    • /
    • 2014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단위 면적당 작물의 생산성 향상 및 고품질 작물 재배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담액 수경방식이나 인공광원을 이용한 수경재배 방식이 아닌 광원 트래킹 기법을 적용한 양액 순환 방식의 수경재배기 제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수경재배기는 일정한 양의 양액과 물을 수로로 흘려보내 순환시키는 형태인 양액 순환 방식과 수경재배기 하단 부분의 작물도 지속적인 광합성 작용이 가능 하도록 피라미드 형태의 다단구조식으로 설계한다. 아울러 광원 트래킹 기법은 기존 2축, 4축 센서 방식이 아닌 태양광의 그림자를 추적하기 위한 중심축 센서 방식의 5축 센서 방식으로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경재배기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소개되지 않은 광원 트래킹 기법은 작물에 지속적인 광합성 작용으로 작물의 생장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피라미드형태의 다단식구조로 상, 하단 구분 없이 모든 작물이 동일한 형태의 생육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어 단위 면적당 높은 작물 생산량이 예상된다.

픽셀화 이미지의 조형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ing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 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4호
    • /
    • pp.13-2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ixe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tituting a digital image,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expressed through non-digital media, and develop fashion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by involving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and dissertations on the pixel and pixelation image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ases that borrowed pixelation images in non-digital media like contemporary art and design, etc., an attempt was made to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ion image. Apparently, six fashion design looks are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ion image include: first, the repeatability that repeats the minimum unit; second, the incompleteness of the shape appearing through the phenomenon of alias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 and third, the combination that completes the shape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independent pixels. The results of the expression through reflecting them in fashion design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hose one small geometric formative element and presented repeatability by repetitively expressing that element in a textile pattern; second, for incompleteness, this study expressed an incomplete form, handling the edge part of the shape with the method of disentangling the strand; and third, the combination by completing a single look through overlapping of independent textiles 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independent individuals is expressed.

압축식 제습기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II) 열전달 (Numerical Analysis of A Compressor Type of Dehumidifier : (II) Heat Transfer)

  • ;;김규목;정재동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92-99
    • /
    • 2018
  • A numerical analysis of a compressor dehumidifier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air side heat transfer, which is a part of a series research on the dehumidifier. The moving reference frame was applied to the fan modeling, and the porous model was used for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modeling. Curve fitting obtained the inertial and viscous resistances parameters to the results of the physical model of the unit cell with actual shape of a fin tube. The porous model was validated within a reasonable computation time for the range of practical inlet velocity of a dehumidifier. A para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fin number, fan speed (i.e., air flow rate), and evaporator/condenser tube arrangement. ANOVA analysis showed the dependency of each parameter on the velocity and temperature uniformity, which are desirable for high performance of the dehumidifier.

컴퓨터수치제어(CNC) 플라즈마 아아크 절단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lasma-arc cutting system with computer-numerical control)

  • 노태정;나석주;나규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8권3호
    • /
    • pp.60-69
    • /
    • 1990
  • Plasma arc cutting is a fusion cutting process in which a gas-constricted arc is employed to produce a high-temperature, high-velocity plasma jet on the workpiece. This process provides some advantages such as increased cutting velocity, excellent working accuracy and the ability to cut special materials (widely used stainless steels and Al-alloys, for example), when compared with iconventional oxyfuel gas cutting. From the view point of price and reliability of the power source, plasma arc cutting has also some distinct advantages over laser beam cutting. High-speed machines with NC or CNC systems are needed for the plasma arc or laser beam cutting process, while for oxyfuel gas cutting, low-speed machines with copying templates or optical-shape tracking sensors can be applied. The low price and high flexibility of the microprocessor arc contributing more and more the application of CNC system in the plasma arc cutting process, as in other manufacturing fields. From these points of view, a microprocessor-based plasma arc cutting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a reference-pulse system, and its performance was tested. The interpolating routines were programmed in the assembly language for saving the memory volume and improving the compouting speed, which h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available cutting velocity.

  • PDF

A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ANALYSIS IN LIGHT RAIL TRANSIT BRIDGES: FOCUSED ON SUPERSTRUCTURE

  • Lee Du-heon;Kim Kyoon-tai;Kim Hyun Bae;Jun Jin-taek;Han Choong-h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0-40
    • /
    • 2007
  • The demand for light-rail construction project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and they are mostly supervised by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Therefore, a private construction company that aim to raise gains from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during the contract period greater than what they invested should b a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costs from the aspect of Life Cycle Cost (LCC). In particular, a light-rail transit bridge that has a heavier portion from the aspect of the cost of light-rail transit construction requires a more accurate calculation method than the conventional LCC calculation method. For this, an LCC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and a cost breakdown structure was sugges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construction costs by shape of the upper part of a light-rail transit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cost breakdown system presented in this paper, and the cost generation cycle and cost unit pri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records on maintenance costs, rehabilitation and replacement. In addition, after forming some hypotheses in order to perform the LCC analysis, economic evaluation was conducted from the aspect of the LCC by using performance data by item.

  • PDF

지반조사에 의한 함안군 도항리 6호 고분 특성 규명 (Characterizing Hamangun Dohangri 6th Tumulus Using Ground Survey)

  • 이현재;함세영;박삼규;이충모;오윤영;웨이밍량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4호
    • /
    • pp.351-360
    • /
    • 2015
  • 지질학적, 물리탐사기법, 지질공학적 방법을 통하여 함안군 도항리 6호고분의 축조 형태, 고분 축조에 사용된 재료의 원산지와 공학적 성질, 봉분과 석실부에 대한 안정성 등을 고찰하였다. 고분의 기반암인 함안층은 풍화를 받아 인력으로 굴착이 용이한 암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전기비저항 탐사에 의하면 봉분은 토사부를 나타내는 저비저항대와 암석편의 함량이 많은 암석부의 고비저항대로 구분되었다. 대부분의 석실부 개석은 함안층과 동일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개석의 일부는 연구지역의 최남단에서 산출되는 흑운모화강암과 동일하다. 토질 시험에 의하면, 봉분의 토사부는 낮은 함수비, 낮은 간극비, 적정한 단위중량으로 보아 다짐 정도가 매우 높은 재료임을 지시한다. 또한 봉분의 암석부의 강도는 일반적인 암반의 전단강도를 초과하고 있어 매우 안정성 있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과집진기의 탈진 성능 향상을 위한 충격 기류 분사 시스템 최적화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design of pulse air jet system to improve bag-filter performance)

  • 홍성길;정유진;박기우;정문헌;임기혁;서혜민;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792-37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을 이용하여 산업체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충격기류형 탈진시스템의 탈진 특성을 규명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탈진부 유니트(unit) 형상을 개조한 경우의 탈진 성능을 비교하였다. 탈진부 각 형상별로 탈진 공기량과 기류 분포, 유입속도 분포 등을 검토한 결과, 블로우 튜브에 노즐을 설치한 경우(Case 3)와 벤츄리에 이중 유입관을 설치한 경우(Case4, 5)가 현재 현장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구조(Case 1)에 비해 탈진 공기량의 증폭 효과 및 기류 폭의 확장 현상이 우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선정된 Case-5를 상용 백필터의 사양(직경 150 mm)에 적용하기 위해 벤츄리 제원을 결정한 결과, 내측 유입관의 직경 50 mm, 외측 유입관의 직경 90 mm의 제원을 적용하면 탈진 공기량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T 조사를 통한 청화백자투각연당 초팔괘문연적의 3차원적 구조와 제작방법에 대한 고찰 (Computed tomography investig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of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with Openwork Lotus Scroll Design and Eight Trigram Design in Cobalt-blue Underglaze)

  • 나아영;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1-8
    • /
    • 2021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청화백자투각연당초팔괘문연적(수정147)을 대상으로 CT 조사를 실시하고 복제품을 제작하여 구조와 제작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CT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접합선이나 기공이 없는 것으로 보아 하부 동체부 틀을 사용하여 한 번에 찍어 빼낸 후 상부 틀로 찍어 뽑아낸 상부 뚜껑을 서로 접합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하부 동체부의 내기 상면과 연접한 뚜껑 하단면이 서로 접합이 잘 되도록 내면 가운데를 대나무 칼로 거칠게 돌려 깎아 접합면이 누수 되지 않도록 처리하였다. 처음 제작할 당시 물을 담는 연적의 내기(內器)는 도량형 규격에 맞고 틀을 뽑아내기에도 용이한 원통형(圓筒形)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짐작되나 상부면과 동체부를 붙이는 과정에서 형태가 사다리꼴로 변형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실리콘 복제를 이용하여 원통형 내기로 다시 제작한 후 내기의 용량을 비교 측정한 결과, 3D프린팅을 이용해 복제한 유물 내기의 용량이 152.5㎖인데 반해 원통형 내기의 용량은 대략 168.6㎖로 조선시대 도량형 기준인 '량(量)'의 단위로 3홉(약 174㎖)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원통형 내기의 용량이 조선 후기 도량형 기준과 부합하므로 실제 도공이 팔괘문연적을 제작할 당시 원통형내기를 가진 연적으로 제작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싸이클론과 배플 및 백필터 원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집진기의 최적화 설계를 위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an Optimum Design of a Hybrid Collector Coupled with the Principle of Cyclone, Baffle and Bag-Filter)

  • 홍성길;정유진;임기혁;유정근;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83-9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장치 내에서 "싸이클론-관성충돌-여과포 집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멀티 집진기의 집진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설계 조건을 검토하였다. 먼저 싸이클론의 입구 형상에 대한 수치 해석 결과, 접선 유입식 입구에 가이드 베인을 추가로 설계한 경우 선회류의 회전수가 많고 강하게 형성되어 사이클론부에서 조대입자의 유선 이탈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사이클론의 하단부가 벤츄리 모양이기 때문에 약 4~5 m/s의 강한 하향 흐름이 호퍼 하단까지 지속되어 분진의 재비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이클론부 하단의 벤츄리를 제거하며 분진 재비산 문제는 해소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충돌 차단형 배플의 간격을 조정하여 통과유속을 빠르게 한 결과, 충돌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탈리 분진이 간섭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예상되어 배플은 기본 설계안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