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lateral cleft lip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2초

최근 11년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내원 현황에 관한 연구(1988.3 - 1999.2) (The study on the cleft lip and/or palate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last 11 years (1988.3-1999.2))

  • 양원식;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7-481
    • /
    • 1999
  • 순구개열은 악안면 선천성 기형 중에서 발생율이 가장 높으며, 여러 선학들의 조사연구에 의하면 순구개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순구개열 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정과의 순구개열환자의 내원동향에 관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교정환자들의 연도별, 종류별, 성별, 연령별, Angle씨 부정교합군별 분포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국내병원에서의 수술시기 등의 치료현황에 대한 임상자료 등을 파악하고, 이를 순구개열 환자의 교정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8년 3월 1일부터 1999년 2월 28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총 250명)와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초진시의 문진, 시진을 통하여 기록한 교정 chart및 cleft chart내용, X-tay film과 모형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수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증가한 후 1992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였고,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비교적 일정한 추세를 보이다가 1997년 이후 현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의 종류에 따라 조사한 결과 구순열:구순치조열:구개열:구순구개열이 7.6:19.2:9.6:63.6의 비율을 보였다. 편측 대 양측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79:21, 구순치조열은 77:23,구순구개열은 75.5:24.5으로서 편측의 발생빈도가 양측에 비해서 높았다. 그리고 편측성에서 좌, 우측간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이 53.3:46.7, 구순치조열이 59.5:40.5, 구순구개열이 59.2:40.8 으로서 좌측의 발생빈도가 우측에 비해서 높았다. 3. 순구개열의 남:여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57.9:42.1, 구순치조열은 68.8:31.2, 구순구개열은 76.1:23.9 로서 남자의 발생빈도가 여자에 비해서 높았다. 그러나 구개열에서는 41.7:58.3으로서 여자의 발생빈도가 남자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4. 내원 환자를 연령군 별로 조사한 결과 7-12세 군이 $52\%$로서 압도적으로 많았고, 0-6세 군 ($20.4\%$), 13-18세 군($17.2\%$), 18세 이상 군 ($10.4\%$)의 순이었다. 5. 구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0-3개월 군이 $60.3\%$로서 가장 많았고, 4-6개월 군이 $17.9\%$로 두 번째였다. 6. 구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1-2세군이 $31.7\%$로 가장 많았고, 0-1세군은 $25.6\%$, 2-3세군이 $12.1\%$였다. 구개 및 상악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5세 이상 군은 $11.6\%$를 차지하였다.7. 구순 반흔 제거수술시기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세군 ($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9. 인두피판술은 평균 6세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보였다. 10.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 종류와 Angle씨 분류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구순열군은 I급이 가장 많았고 III, II 급의 순이었으며, 구순치조열, 구개열, 구순구개열군은 III급이 가장 많았고, I, II 급의 순이었다. 그리고 III급의 발생빈도의 비율차이는 구순치조열은 $61.7\%$, 구개열은 $73.9\%$, 구순구개열군에서 $79.3\%$로서 구순구개열에서 압도적으로 III급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11. 모든 연령군에서 III급 부정교합의 빈도가 가장 많아서($72.7\%$) 전치부의 반대교합이 주된 내원 동기가 됨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 PDF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mid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nonsyndromic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Choi, Youn-Kyung;Park, Soo-Byung;Kim, Yong-Il;Son, Woo-S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13-119
    • /
    • 2013
  • Objective: To compare three-dimensionally the midfacial hard- and soft-tissue asymmetries between the affected and the unaffected sides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rd tissue and the overlying soft tissue in patients with nonsyndromic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UCLP)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alysis. Methods: The maxillofacial regions of 26 adults (18 men, 8 women) with nonsyndromic UCLP were scanned by CBCT and reconstructed by three-dimensional dental imaging. The frontal-view midfacial analysis was based on a $3{\times}3$ grid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nd their intersecting points. Two additional points were used for assessing the dentoalveolar area. Linear and surface measurements from three reference planes (Basion-perpendicular, midsagittal reference, and Frankfurt horizontal planes) to the intersecting poi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anteroposterior, transverse, and vertical asymmetries as well as convexity or concavity. Results: Anteroposteriorly, the soft tissue in the nasolabial and dentoalveolar regions was significantly thicker and positioned more anteriorly on the affected side than on the unaffected side (p < 0.05). The hard tissue in the dentoalveolar region was significantly retruded on the affected side compared with the unaffected side (p < 0.05). The other midfacial reg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nasolabial and dentoalveolar regions, no distinctive midfacial hard- and soft-tissue asymmetries exist between the affected and the unaffected sides in patients with nonsyndromic UCLP.

순구개열환자의 치아 수와 형태 이상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ANOMALLES OF NUMBER AND MORPHOLOGY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EETH)

  • 백승학;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61
    • /
    • 2001
  • 순구개열은 선천성 악안면 기형 중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된다. 그리고 순구개열에서는 파열부 조직의 선천적 상실과 파열부 봉합 수술후 형성된 반흔에 의한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 악궁의 협착, 코의 형태 이상 등과 함께 치아의 수, 크기와 형태 및 맹출 이상도 높은 빈도로 동반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순구개열 환자의 치아 수, 형태 및 맹출 이상에 관한 임상적 자료를 수집,평가하여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순구개열환자 241명의 초진시 교정 chart와 cleft chart, orthopantomogram, intraoral x-ray film, 진단용 모형을 사용하여 순구개열군 별로 매복치,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의 유무와 위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손치는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 ($56.8\%$)를 보였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제2소구치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순구개열 군별 결손치의 발생율은 구순구개열군과 구순치조열군이 구순열군과 구개열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순열군,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연군 내에서 모두 양측성이 편측성에 비해 결손치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2. 과잉치는 $11.2\%$ 에서 발견되었으며, 장소별 발생빈도는 영구치열과 유치열에서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다. 순구개열 군별 과잉치의 발생율은 구순열군, 구순치조열군, 구개열군, 구순구개열군의 순이었다. 3. 매복치는 $18.3\%$ 에서 관찰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에서 그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순구개열 군별 매복치 발생율은 구순열군, 구순구개열군, 구개열군, 구순치조열군의 순이었다. 4. 왜소치는 $15.8\%$ 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 와 상악 견치에서 가장 많았다. 순구개열군별왜소치의 발생율은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열, 구순열의 순이었다. 그리고 구개열군에서는 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구순열 이차비기형의 교정; 아동과 성인에서의 이차 비성형술 (Correction of Secondary cleft lip-nasal deformity; secondary rhinoplasty in children and adults)

  • 송진아;명훈;황순정;서병무;이종호;정필호;김명진;최진영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5
    • /
    • 2003
  • 본 교실에서 최근 4년 동안 행해진 수술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이차 비기형의 교정은 양측성의 경우 비교적 이른 시기인 4-5세에 시행되었고 편측성의 경우에는 치조성형술(alveoloplasty)의 시행을 먼저 고려한 후 10세에서 13세 경에 시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정부위는 편측성의 경우 비대칭을 교정하는 수술이 중점적으로, 양측성의 경우 비주 연장술이 중점적으로 행해졌는데 아동과 성인에서 모두 비주와 비첨 수술이 거의 90%정도를 차지하였다. 그 외에 비중격 성형술, 비공 성형술 등이 10% 내외로 시행되었다. 비첨 성형술은 양측성 구순열의 경우 모두Millard's forked flap으로 시행되었고 편측성의 경우 간단하게 연골을 박리하고 Tajima suture를 시행한 경우가 아동에서 77%, 성인에서 30% 였다. 개방형 비성형술을 시행한 경우는 아동에서 40%, 성인에서 71%를 보였다. 자가 연골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아동에서 23%, 성인에서 70%를 보였다. 비중격의 편향을 보이는 편측성 구순열 환자 모두에서 비중격 수술이 시행된 것은 아니었는데, 비익의 비대칭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진 반면 비중격의 비대칭에는 그렇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수술이 심미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비중격 성형술의 시행에 있어 비강폐쇄의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되었다.

  • PDF

구순열비변형 환자에서 비교정술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RRECTION METHODS OF NOSTRIL IN PATIENTS WITH CLEFT LIP NASAL DEFORMITY)

  • 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4호
    • /
    • pp.287-294
    • /
    • 2006
  • The secondary correction of cleft lip nasal deformity (CLND) presents difficult surgical problems. Characteristically, nostrils are asymmetric.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and compare the effect of Straith's alar web Z-plasty, Millard's alar web Z-plasty, alar web excision, and lateral V-Y advancement of the alar base for augmentation of the nostril with or without lengthening the columella in CLND. The subjects were 28 patients with unilateral cleft lip, who had secondary nostril correction. The nostril correction methods were Straith's alar web Z-plasty, Millard's alar web Z-plasty, alar web excision, and lateral V-Y advancement of the alar base. Facial photographs were taken before and 20 days after the operation. By using Adobe photoshop, the columella length and the nostril width were measured from the facial frontal photograph and Worm's eye view.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calc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columella length using Straith's alar web Z-plasty was 70.20%. And then Millard's alar web Z-plasty was 55.01%, alar web excision was 39.93%, and lateral V-Y advancement of the alar base was 16.38% in order.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nostril size using lateral V-Y advancement of the alar base was 55.26%. And then alar web excision was 52.72%, Millard's alar web Z-plasty was 34.86%, and Straith's alar web Z-plasty was 16.06% in order. Straith's alar web Z-plasty and Millard's alar web Z-plasty resulted in elongation of the columella, equalization of asymmetrical nostril, and enlargement of small nostrils. Alar web excision enlarged nostrils and restored symmetry. Lateral VY advancement of the alar base increased nostril width and enlarged nostri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rection of nostrils improve the shape and the symmetry of the nostrils in CLND.

구순구개열의 비구순변형에서 3차원 입체 laser 스캐너를 이용한 계측분석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ized Anthropometric Analysis Model in Cleft Lip Nasal Deformity Using 3D Laser Scanned Facial Cast Model)

  • 김석화;박종림;김재찬;백승학;손우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303-30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anthropometry(3DCA) and to compare its reliability and accuracy 3DCA with manual anthropometry(MA) for measurement of lips and nasal deformities in unilateral cleft lips and palate(UCLP) patients. Methods: Samples were consisted of six UCLP patients whose facial plaster models were available immediately before and 3 months after the cleft lip surgery. MA of the facial plaster models was carried out using an electronic caliper. In 3DCA, three-dimensional auto-measuring program was used to digitize landmarks and to measure three-dimensional virtual facial models (3DVFM), which was generated with a laser scanner and 3D virtual modeling program.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ICC) were calculated to evaluat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variables in both methods,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was don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values of the same variables of facial models of each patient between two methods. Results: All ICC values were higher than 0.8, so both methods could be considered reliable. Although most variable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p<0.05), differences between mean values were very small and could be considered not significant in clinical situation. Conclusion: In clinical situation, 3DCA can be an objective, reliable and accurate tool for evaluation of lips and nasal deformities in the cleft patients.

구순구개열환자에 대한 악교정수술후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ABILITY OF ORTHOGNATHIC SURGERY FOR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권대근;삼열수;남극호;김종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4호
    • /
    • pp.407-413
    • /
    • 2000
  • To evaluate the stability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using rigid fixation, 20 patients underwent primary repair in childhood and later developed a jaw deformity and malocclusion that required orthognathic surgery were reviewed. Two groups, one of 10 patients performed Le Fort I osteotomy with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one of 10 patients with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of the mandible, were evaluated. Each group had unilateral cleft only and all alveolar cleft sites had been grafted with autogeneous bone before the orthognathic surgery. The amount of surgical movement and relapse were compared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Two-jaw surgery group was more stable than mandibular surgery only group in mandibular position (p< 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pse was observed in mandibular skeletal point in mandibular surgery group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pse in the skeletal point of two-jaw surgery group.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surgical movement and relapse was detected (r = 0.88). This correlation indicates the need of overcorrection. The presence of scar tissues and relatively deficient maxillary bone could be attributed to this close relation between the surgical change and relapse.

  • PDF

편측성 구순구개열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와 구순 봉합수술의 치조골 정형효과의 3차원 분석 (3-Dimensional Analysis of Alveolar Molding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and Lip Pressure After Cheiloplasty in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김나영;권순만;백승학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3-10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구순구개열 (UCLP) 환자에서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PNAM) 와 구순 봉합수술의 치조골 정형효과를 3차원 (3-D)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6명의 UCLP 환자 (평균 파열부거리: 10.46mm) 이며 PNAM 장치에 의한 치료와 rotation-advancement법에 의한 구순 봉합수술을 받았다 처음 내원시 (평균연령: $37.0{\pm}27.89$ 일), PNAM 치료를 받고 난 후이며 구순봉합수술 1달 전 (평균연령: $119.25{\pm}40.18$ 일), 구순봉합수술 2달 후 (평균연령: $190.81{\pm}42.78$ 일)에 상악의 인상을 채득하였다. 그 후 laser scanning machine (Orapix, Dimennex, Seoul, Korea) 과 3-D view software (3Dxer, Dimennex) 를 사용하여 3-D모형을 제작하였다. 선, 각도, 정중선변이, 거리, 면적 항목을 3-D 모형상에서 계측하고, 각 시기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NAM치료 동안과 구순 봉합수술 후에도 치조골 후방부는 안정된 구조물이었다. PNAM치료에 의한 파열부 거리의 감소는 대분절 (greater segment) 의 내측 굴곡 (bending) 에 의하여 발생하였다. 대분절 (greater segment)의 전방 성장은 PNAM치료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구순 봉합수술 후에 회복되었다. 구순 봉합수술 후에 대분절과 소분절 사이의 전방부 각도의 증가는 구순 반흔 (lip scar) 의 압력에 의한 치조골 정형 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중선변이는 PNAM치료에 의하여 개선되었다. PNAM치료 동안과 구순 봉합수술 후에 구개부 (palatal segment) 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였다. 치조골 면적과 거리 항목의 증가는 후방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AM치료에 의한 치조골 정형효과는 주로 전방부에서 발생하며, 치조골의 성장은 구순 봉합수술 후에 후방부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완전 구순구개열을 가진 환자에서의 골신장술 (Distraction osteogenesis in patients with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 이준규;박철휘;나주일;정종선;구현모;엄민용;송민석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3-70
    • /
    • 2005
  • 골신장술을 시행할 때는 골절단 방법, 환자에 따른 견인장치의 종류, 골 신장의 리듬과 이동량, 견인장치의 위치와 방향, 회귀량을 줄이기 위한 유지방법과 기간의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러한 사항에 대한 적절한 치료계획과 수술이 이루어진다면 골신장술은 기존의 악정형 수술로는 해결하기 힘든 구순구개열 환자의 상악골 열성장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교실에서는 양측성 구순구개열로 인한 상악골 열성장 환자에 골신장술을 적용한 증례를 체험하여 다소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반안면 왜소증 환자에서의 골신장술 (DISTRACTION OSTEOGENESIS IN PATIENTS WITH HEMIFACIAL MICROSOMIA)

  • 백진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6호
    • /
    • pp.526-531
    • /
    • 2005
  • Distraction osteogenesis is a technique of bone lengthening by gradual movement and subsequent remodeling. Distraction forces applied to bone also create tension in the surrounding soft tissues, distraction histiogenesis. Distraction osteogenesis is used to correct facial asymmetry, such as patients with hemifacial microsomia, maxillary or mandibular retrusion, cleft lip & palate, alveolar defect and craniofacial deficiency. Hemifacial microsomia is characterized by unilateral facial hypoplasia, often with unilateral shortening of the mandible and subsequent malocclusion. This report describes two cases of hemifacial microsomia(type IIB). In these two cases,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used to correct a facial asymmetry. Two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of ascending ramus of the mandible with extraoral devices. Successful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achieved in the patients with hemifacial microso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