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form Heating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4초

환기시스템의 굴절 및 평판형 열교환기 형상에 따른 성능비교 (A Comparison of Performance on the Orthogonal and Refraction Heat Exchanger Shape in Air Ventilation System)

  • 현형호;정병호;김지원;이강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81-287
    • /
    • 2019
  • 최적의 환기시스템 활용과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급 배기공기 간의 열교환을 적용시킨 열회수시스템의 활용과 보급은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술은 특히, 겨울철과 여름철의 냉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고효율에너지 빌딩의 기반기술의 주요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균일한 형상과 동일한 유동조건에서 열교환기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종이, 플라스틱, 알루미늄을 재질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열전달효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평판형과 굴절형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의 형상에 따른 열전달 효율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열전달 성능과 압력손실에 대해 고성능의 열교환기를 제작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항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Real-time PCR 기기용 히터 제작 (Design of an Inexpensive Heater using Chip Resistors for a Portable Real-time Microchip PCR System)

  • 최형준;김정태;구치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5-301
    • /
    • 2019
  • 바이오샘플의 DNA를 대량 증폭할 수 있는 휴대형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기기에서 히터는 PCR 반응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보통 빠른 히팅을 위해 소형 PCR 칩에 집적화되어 있고,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제작되어 PCR 칩 제작 단가가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값싸고 온도제어를 정확히 할 수 있는 히터로 칩 저항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칩 저항을 사용한 히터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2.54{\times}2.54cm^2$ 크기의 실시간 PCR 칩 위에 칩 저항을 1개 또는 2개를 사용했을 때 온도분포를 시뮬레이션 하였고, 고른 온도분포를 갖는 PCR 칩을 제작했다. 또한 효율적인 PCR 칩 냉각을 위해 소형 fan이 내장된 하우징을 설계하였고,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온도제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PID제어법(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을 적용했다. 온도상승비와 하강비는 각각 $18^{\circ}C/s$, $3^{\circ}C/s$이며, 각 PCR 반응 단계의 유지 시간을 30초로 하였을 때, 한 사이클은 약 2.66분이 걸렸고, 35 사이클은 약 93 분 내로 진행할 수 있었다.

초등돌봄교실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분석연구 - 초등 돌봄교실 길라잡이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Space Configuration in After-School Car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Guidelines of Emementary School Care Classes -)

  • 김소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3-13
    • /
    • 2021
  • Introduced in 2004 as an 'After-School Academy' policy, the 'After-School Care Class' has become a univers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over time. While the concept of public education service has expand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including educational welfa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re classroom has undergone fixed changes within the uniform classroom structure of a standardized schoo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re classroom through chasing and analysing changes in the care class space configuration from 2004 to the pres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lan of the early care classroom wasn't mu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mon classroom, and it was only in 2007 that the kitchen and floor heating appeared for the first time.From the 2015 standard plan, prominent differentiation of the space between learning activities and resting area was shown, b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nothing more than a division that utilizes ready-made furniture.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2018 Seoul care classes are diversity. In the case of the care exclusive classrooms, the division between the support space and the main activity space became more clear using furniture integrated open walls and various floor levels. In the case of a shift classrooms that is used together with common classrooms, it is characterized by flexibility that allows dramatically different classroom configurations for each time period by using a convertible furnishing space.

SAE 1078 강의 오스템퍼링 열처리시 가스 퀜칭 속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 (Change in Microstructure with the Gas Quenching Rate during Austempering Treatment of SAE 1078 Steel)

  • 권기훈;박현준;여국현;이영국;김상권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21-127
    • /
    • 2023
  • When high carbon steel is heated in an appropriate austenizing temperature range and subjected to austempering, the size and shape of lamellar structure can be controlled. The high carbon steel sheet having the pearlite structure has excellent elastic characteristics because it has strong restoring force when properly rolled, and is applied in a process known as patenting-process using lead bath. In the case of isothermal treatment using lead-medium, it is possible to quickly reach a uniform temperature due to high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ut it is difficult to replace it with process technology that requires treatment to remove harmfulness lead.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fluidization technology using garnet powder to replace the lead medium. After heating the high-carbon steel, the cooling rate was changed by compressed air to the vicinity of the nose of the continuous cooling curve, and then maintained for 90 s and then exposed to room temperature. The microstructure of the treated specime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oducts treated with lead bath. The higher the flow rate of compressed air, the faster the cooling rate to the pearlite transformation temperature, so lamellar spacing decreases and the hardness tends to increase.

구형 단분산 실리카 분말을 이용한 SiOx 음극활물질 제조 및 형상조절 기술 (Fabrication of SiOx Anode Active Materials Using Spherical Silica Powder and Shape Control Technology)

  • 권주찬;오복현;이상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530-536
    • /
    • 2023
  • The theoretical capacity of silicon-based anode materials is more than 10 times higher than the capacity of graphite, so silicon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graphite anode materials. However, silicon has a much higher contraction and expansion rate due to lithiation of the anode material during the charge and discharge processes, compared to graphite anode materials, resulting in the pulverization of silicon particles during repeated charge and discharge. To compensate for the above issu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iOx materials with a silica or carbon coating to minimize the expansion of the silicon. In this study, spherical silica (SiO2) was synthesized using TEOS as a starting material for the fabrication of such SiOx through heating in a reduction atmosphere. SiOx powder was produced by adding PVA as a carbon source and inducing the reduction of silica by the carbothermal reduction method. The ratio of TEOS to distilled water, the stirring time, and the amount of PVA added were adjusted to induce size and morphology, resulting in uniform nanosized spherical silica particles. For the reduction of the spherical monodisperse silica particles, a nitrogen gas atmosphere mixed with 5 % hydrogen was applied, and oxygen atoms in the silica were selectively removed by the carbothermal reduction method. The produced SiOx powder was characterized by FE-SEM to examine the morphology and size changes of the particles, and XPS and FT-IR were used to examine the x value (O/Si ratio) of the synthesized SiOx.

이중피복 온실의 피복방법과 환경조절에 따른 온습도 및 광합성유효광량자속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PF Distribution by Covering Method and Environmental Control in Double Covering Greenhouse)

  • 이현우;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12
  • 관행 이중피복온실과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에 대하여 보온, 난방, 환기, 냉방 등 환경조절에 따른 온실내부의 환경변화를 연중 측정하여 온습도 및 광환경 분포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서 기존 온실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겨울철 야간에 난방시 공기주입온실과 관행온실의 커튼과 피복재 사이의 온도는 거의 비슷한 값을 보여주고 있어 보온효과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내부의 커튼 안쪽의 습도는 난방으로 인해 외부습도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나 커튼과 피복재 사이의 습도는 거의 100%로 유지되었다. 주간의 우천시에도 두 가지 온실의 내부온도가 거의 비슷하여 보온효과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에 천창환기시 두 온실 모두 일사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온도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였고, 공기주입온실이 관행온실에 비해 온도가 약간 더 낮기 때문에 환기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온도분포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습도편차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공기주입온실이 관행온실에 비해 습도가 약간 더 높게 나타나 환기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야간에 천창환기시에는 두 온실 모두 주간과는 달리 일사가 없기 때문에 온실내부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습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간헐적 포그분사 냉방을 실시하였을 때 두 온실 모두 상하좌우로 비교적 균일한 온습도분포를 보여주었다. 연속 포그분사 냉방을 실시한 경우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습도 분포를 보여주었으며, 평균 약 $3.5^{\circ}C$ 정도의 냉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튼과 지붕피복재 사이의 공간에 대한 상대습도와 절대습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거의 커튼을 닫는 시점에서 피복재의 온도가 노점 온도 이하로 낮아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커튼을 닫음과 동시에 제습기를 사용하여 지붕과 커튼 사이 공간의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를 제거하면 지붕의 피복재에 발생하는 결로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피복재의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기주입온실에 비해 관행온실이 광투과율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실내부 피복재를 권취식으로 개폐하는 과정에서 먼지와 결로로 인해 오염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피복재의 광투과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복재의 권취식 개폐방식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온실의 이중피복 방법을 공기주입 이중피복형태로 하고 천창을 용마루 위치에 나비형태로 설치한다면 관행 이중피복 온실과 동일한 에너지절감효과를 유지하면서 광투과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고 환기효율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동온실 내 공기순환팬 사용에 따른 온습도 및 에너지소비량 비교 분석 (Analysis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s and Energy Consumptions according to Use of Air Circulation Fans in a Single-span Greenhouse)

  • 이태석;강금춘;김형권;문종필;오성식;권진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6-282
    • /
    • 2017
  • 본 연구는 방울토마토 재배 단동온실에 공기순환팬을 설치하고 공기순환팬이 온실 내 온도 및 습도 분포,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기순환팬은 날개 크기 230mm의 Stainless 팬으로, Lee 등(2016)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시험구 온실에 9m 간격으로 총 18대를 설치하였다. 온실 내부 온습도는 온실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여 1/4 지점과 3/4 지점의 중앙에 센서를 설치하고 0.8m, 1.8m 높이 2곳의 온습도를 난방을 주로 하는 야간(오후 6시~다음 날 오전 7시)에 5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에너지소비량은 각 온실에 위치한 온수펌프의 유량, 온수 출수부와 환수부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공기순환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측점 간 온도차 및 습도차의 평균값은 $0.75^{\circ}C$, 2.19%였으며 공기순환팬 사용 시 측점 간 온도차 및 습도차의 평균값은 $0.42^{\circ}C$, 1.27%로 감소하였다. 공기순환팬 설치 온실과 미설치 온실의 누적 에너지소비량은 각각 4,673kWh, 4,009kWh로 공기순환팬 설치 온실에서 약 14.2%의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온실 내 공기순환팬 사용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교반시켜 주어 온실 전체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만들고, 공기의 온도가 빠르게 변하지 않도록 해주어 난방 장치의 가동 시간과 에너지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대류가 유도하는 중규모 흐름에 미치는 비정역학 효과 (Nonhydrostatic Effects on Convectively Forced Mesoscale Flows)

  • 우소라;백종진;이현호;한지영;서재명
    • 대기
    • /
    • 제23권3호
    • /
    • pp.293-305
    • /
    • 2013
  • 대류가 유도하는 중규모 흐름에 미치는 비정역학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기존의 무차원화된 정역학 모형을 바탕으로 무차원화된 비정역학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역학 방정식 계의 해석해와 비정역학성이 아주 작은 경우의 수치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고, 두 결과가 거의 같음을 확인하였다. 무차원화된 비정역학 모형을 이용하여 선형 계와 비선형 계에서 대류가 유도하는 중규모 흐름에 미치는 비정역학 효과를 조사하였다. 선형 계와 비선형 계 모두에서 비정역학성 인자가 작은 경우 열원 꼭대기 위에서 연직 방향으로, 비정역학성 인자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주 상승 기류의 풍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승 운동과 하강 운동이 교대하는 파동 형태의 섭동장이 나타났다. 풍하측에서 나타나는 상승 운동과 하강 운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형, 정상 상태, 비점성 흐름에 대한 Taylor-Goldstein 방정식을 구하였다. 주 상승기류의 풍하측에서 교대로 나타나는 상승 하강 기류세포는 전파파의 수평 방향 전파 성분과 에바네센트파, 즉 비정역학성 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 파장보다 파장이 짧아 연직 방향으로 전파되지 못하고 수평 방향으로만 전파되는 중력파의 중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선형 계에 대한 수치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상승 하강 기류 세포의 수평 방향 길이는 선형 계에 대한 방정식에서 얻은 에바네센트 파의 임계 파장 길이의 절반과 일치하였으나, 약한 비선형 계에 대한 수치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상승 하강 기류 세포의 수평 방향 길이는 선형 계에 대한 방정식에서 얻은 에바네센트 파의 임계 파장 길이의 절반보다 다소 길었다. 주 상승 기류 지역 내에서 최대 상승 기류의 위치는 비선형성과 비정역학성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목재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타르, 재, 클링커 생성 특성 분석 및 함수율 변화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성능 연구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ar, Ash and Clinker due to Combustion of Wood Pelle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ood Pellet Boiler in terms of the Moisture Contents Change of the Wood Pellet)

  • 어승희;오광철;오재헌;김대현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211-2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목재펠릿의 연소 시 발생되는 타르, 재, 클링커의 생성 특성 분석과 더불어, 1등급 목재펠릿의 함수율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성능 분석이 수행되었다. 타르는 목재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생성되어 연소실 전열면에 부착되었고, 전열면에 부착되거나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지 못한 재의 경우, 바닥면에 축적되었으며, 클링커는 3등급 목재펠릿의 연소 중에 버너부에서 생성, 고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펠릿의 등급이 결정되는 요인으로써 함수율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벌채부산물을 이용한 목재펠릿은 불균일한 함수율로 인해, 연소 생성물의 발생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른 연소시스템에서의 효율 저하, 시스템 작동 오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목재펠릿의 함수율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성능 분석에서, 1등급 목재펠릿의 함수율이 6.6%p 증가하였을 때, 보일러효율이 약 27.08%p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탄(煉炭)가스중독(中毒)의 발생실태(發生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cidence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 조수헌;신영수;이덕형;김용익;윤덕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8권1호
    • /
    • pp.1-11
    • /
    • 1985
  • A decade ago a survey on the population-base incidence rate of anthracite coal gas (mainly carbon monoxide) poisonig in Seoul area was investigated, resulting in the incidence rate of 306/10,000 risk population and 1 death/10,000. Another survey on the carbon monoxide poisoning was investigated during 1 year period from Apr. 1983 to Mar. 1984. Total subjects of risk population were 67,740 households covering 353,287 pers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Household-base incidence rate was 8.4% spell-base 10.4%. 2. The incidence rate was the highest in houses having each of slate roof, cement wall, vinyl floor of bedroom and direct 'ondol' heating system. 3. Average 2.1 person was attacked from one incidence of the poisoning; severity-wise person-base incidence rates per 10,000 were 352 in mild poisoning, 54 in severe poisoning and 1.4 in death-overall incidence rate 407. Several facts were identified which supported that this figure was moderately underestimated. As the incidence of the poisoning is affected by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t is natural that one expects the incidence will decrease in proportion to genernal improvement of the above factors. Thus the results of these two surveys seemed preposterous. But further study suggested that the incidence rate (306/10,000) decade before had been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and corrected-rate should have been 478/10,000 level. 4. Age and sex distribution by the degree of the poisoning was uniform with little statistical difference; overall incidence rates by sex were 339/10,000 in male and 475/10,000 in female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1). 5. 5.3%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at hospital or local clinic; 3.0% of the patients were hospitalized. Admission rate in comatose patient(severe poisoning) was 14.2%. In conclusion, carbon monoxide poisoning remains a major health problem by n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