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corn Compani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국가별 기술경쟁력이 유니콘기업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y Country on The Increase of Unicorn Companies)

  • 조규훈;양동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1호
    • /
    • pp.55-73
    • /
    • 2024
  • 유니콘기업은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단기간 내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의 성장 과정은 스타트업 생태계에 좋은 교훈을 제시해주고 있고 국가 경제발전과 고용 창출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유니콘기업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이미 유니콘으로 인정받은 기업의 창업자 특성, 환경요인, 비즈니스 모델, 성공·실패 사례 등 다면적 접근보다는 '이벤트 스터디', '사례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유니콘기업 발생과 관련한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유니콘의 특성 및 기술기업 비중이 높은 유니콘기업의 현황을 고려하여 '기술인적자원 지표', 'R&D 지표', '기술 인프라 지표' 등 국가의 기술경쟁력이 유니콘기업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다양한 국제기구, 통계청에서 발표되는 자료와 CB Insights에서 집계한 유니콘기업 데이터를 44개 분석 대상 국가의 패널데이터로 활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 인적자원 지표의 경우 과학 전공자 수가 유니콘기업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R&D 지표의 경우 R&D 투자총액은 유니콘기업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삼극 특허 건수(Triad Patent Families),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는 유니콘기업 증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인프라 지표의 경우 세계 랭킹 500위 대학 수가 유니콘기업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미비하게 다루었던 국가별, 시계열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가 기술경쟁력과 유니콘기업 증가 간에 인과관계를 처음으로 밝혔다는 데 학술적 의미가 있으며 UN의 글로벌 산업경쟁력 지수 순위, OECD의 국가별 R&D 투자총액 비교 시 우리나라는 기술력, 성장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반면에 혁신경제의 리더로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유니콘기업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에 있어 향후 유니콘기업의 발굴, 육성을 위한 정책 수립 시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 PDF

유니콘 기업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국 IT 기업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a Chinese IT Unicorn Company)

  • 김원경;허문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101-120
    • /
    • 2021
  • Purpose - As the research of Chinese unicorn companies is still in early stag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of Chinese IT unicor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i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and used various sources such as interviews, internal data, press releases, IR data, etc.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Findings -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 team, social capital, and strategies as internal factors affect the success of unicorns. Among them, the more Guanxi in social capital factors,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growing into an IT unicorn company. Second, the role of venture capital and geographical location have been identified that two factors affect the success of unicorns. In the role of venture capita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world's top-level venture capital company or a company that has been invested by "BATJ" is more likely to grow into a unicorn company in Chin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paper distinguishe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expla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growth of unicorn companies, which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such as the exploration of the unicorns and the development of new variables.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9년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Unicorn Club'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s Valuation: Focusing on the 'Unicorn Club' in 2019)

  • 이영달;오소영;윤여은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26
    • /
    • 2020
  • '기업 생태계'에서 '유니콘'이란 표현법은 2013년 'Aileen Lee'에 의해 명명된 이래, 특히 한국에서 '스타트업 생태계'의 국제적 수준 비교의 차원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정부 차원에서는 이를 정책적 목표로 설정하여, '2022년까지 유니콘 기업 20개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와같이 '유니콘 클럽 기업'에 대한 현상은 정책적 목표 차원에서 다루어지며, 대중적으로 크게 확산된데 반해, 본 현상의 실체와 본질적 이해 목적의 학술적 연구는 충분치 못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2019년 기준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 479개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을 다면적/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주로 국가별 '유니콘 기업' 수 및 산업 분류 기준 일반현황 중심의 대중적 소개가 주된 내용이었다면, 본 연구는 투자자를 포함한 기초현황을 상세 분석하였고, 사례분석을 포함한 질적 탐색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 선행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군집분석, 판별분석, 다층 회귀분석 등 양적 탐색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리고 개별기업의 '기업가 요인-산업(시장)환경 요인-자원 요인-전략 요인', 즉 'ERIS 모델'에 기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앞서 분석한 특성 요인 및 투자자 특성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들을 토대로 '기업 생태계' 관점에서 '유니콘 현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이를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Search of Corporate Growth and Scaleup: What Strategies Drive Unicorns and Hyper-Growing Companies?

  • Lee, Young-Dall;Oh, Soyou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42
    • /
    • 2021
  • Based on the findings of Lee et al.(2020) and Lee & Oh(2021), this paper aims to fill the gap in our knowledg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choices and corporate growth by utilizing a novel dataset of 'Unicorn' and 'Hyper-growing' companies. Two previous studies provide coherent finding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strategies and their performance should be explored under a more comprehensive framework with consideration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pply a single conceptual framework to two different datasets, which considers the strategy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ustry(market) and the firm age as moderating variables. For our dependent variables, valuations for unicorn companies and revenue CAGR for hyper-growing companies are used after categorizing them into three uniform groups. The strategy variables include 'Generic (Cost-leadership, Differentiation, focus) strategies', 'Growth(Organic, M&A) strategies', 'Leading(Pioneer, Fast-follower) strategies', 'Target market(B2B, B2C, B2G, C2C) strategies', 'Global(Global, Local) strategies', 'Digital(Online, Offline) strategies.' For industry(market) factors, it consists of historical growth rate for industries and economic, demographic, and regulatory aspects of states and countries.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ir units, they are also uniformly categorized into multiple groups. Before we conduct a regression analysis, we analyze the industry distribution of the 'Unicorn' and the 'Hyper-growing' companie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t the integrated and individual levels. Next, we employ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on Study A('Unicorn' companies in 2019) and Study B('Hyper-growing' companies in 2019) under the same comprehensive framework. We then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egy' and the 'performance' factors with two different approaches: 1) an integrated regression model with both the sample of Study A and B and 2) respective regression models on Study A and B.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provide a complete understanding and a reference to which strategy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firms' scale-up and growth.

  • PDF

국내 유니콘 기업군의 실태분석과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Unicorn Group)

  • 김주희;정애린;김선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63-77
    • /
    • 2022
  • 한국 경제에서 창업·벤처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5년 이내 실패율이 70% 정도일 정도로 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생존해나가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창업·벤처기업이 신생의 불리함과 규모의 불리함과 같은 제약적 조건들을 극복하고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장의 문제점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는 혁신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최근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눈에 띄는 현상 중 유니콘의 등장과 후발 유니콘 주자의 성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사업 유형, 성장 사례는 창업·벤처기업과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에 좋은 교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내 유니콘과 후발 유니콘 기업의 주자들이 새로운 산업과 혁신적 비즈니스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니콘 및 중소벤처기업부의 K-유니콘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156개 예비 및 아기 유니콘을 포함한 175개 기업을 '유니콘 기업군'이라 정의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기업 속성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들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업종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특히, 새로운 시장 세그먼트를 개척한 유니콘의 경우, 이들이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산업의 새로운 분야를 혁신해 나가는 과정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유니콘 기업군으로 분석대상을 확대하여 유니콘 생태계를 조망하고 나아가 창업·벤처기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창업 생태계 품질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Quality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 이은지;조영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5-332
    • /
    • 2022
  • Purpose: As the public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has been highlighted and entrepreneurship policies have been generated, this study is to construct Entrepreneurship Ecosystem (EE) models which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national entrepreneurship with quantitative analysis. It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to EE policymakers that which national components are effective in cultivating innovative entrepreneurship and validate its EE quality based on quantitative performance goals. Methods: This study utilizes secondary data, categorized under the PESTLE factor from credibl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B, UNDP, GEM, GEDI, and OECD) to determine significant factors in the quality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This paper uses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analysis to select the significant variables contributing to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Using the AUC-RO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machine learning MLR results, this paper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EE models so that it can allow approving EE quality by predicting potential performance. Results: Among nine hypothesis models, MLR analysis examines that the number of the Unicorn company, Unicorn companies' economic value, and entrepreneurship measured as GEI can be reasonable dependent variables to indicate the performance derived from EE quality. Rather than govern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the social, finance, technology, and economic variables are significant factors of EE quality determining its performance. By having high Area Under Curve values under AUC-ROC analysis, accepted MLR models are regarded as having high prediction accuracy. Conclusion: Superior EE contributes to the outstanding Unicorn companies, and improvement in macro-environmental components can enhance EE quality.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 및 성공요인 분석: (주)우아한형제들의 사례를 통하여 (The Success Factors of Domestic Start-up Companies: Case of Woowa Brothers)

  • 황세희;김경미;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71-87
    • /
    • 2020
  • 새로운 고용창출과 경제성장의 핵심동력으로서 스타트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과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한 (주)우아한형제들의 성공요인을 ERIS모델과 성장단계별 모델로 구분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ERIS모델 성공요인은 창업자요인과 독특한 문화를 고유한 자원으로 인식한 자원요인, 블랜딩을 통한 산업환경 요인과 사업 확장으로 플랫폼 다각화를 진행한 전략요인이 주축이 되었다. 성장단계별 성공요인은 기존의 경쟁자와 차별화를 두었다는 점이며 상업화단계에서는 새로운 사업모델이 시장의 신뢰를 얻으면서 수익을 상승시켰고, 젊은 층의 공감을 얻은 공격적인 마케팅은 국내·외 투자사로부터 대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고, 성장단계에서는 매니아 중심의 마케팅을 유지하면서 플랫폼 다각화 전략을 펼친 것이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주)우아한형제들의 성공요인 분석이 더 많은 국내 유니콘기업의 탄생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예비유니콘 선정기업의 이익조정에 대한 연구 (Earnings Management of Firms Selected as Preliminary Unicorn)

  • 한학준;양동훈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3-188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니콘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선정시점에 대한 이익조정을 분석하였다. 경영자는 예비 유니콘기업에 선정되면 최대 200억원에 달하는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어 이익조정의 유인이 생긴다. 경영자에게 이익조정의 동기에는 자본시장과 관련된 동기가 있는데 회계정보는 투자자와 재무분석가에게 이용이 되고 기업의 이익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회계 이익을 상향으로 조정하면 기업가치가 상향되어 투자조건이 유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익의 질은 대체적인 발생액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재량적 발생액 중에서 Dechow et al.(1995)에 의한 수정 Jones모형 및 Kothari et al.(2005)에 의한 성과대응모형으로 측정하였다. 선정기업과 동일시장에서 경쟁할 것을 예상되는 유사한 대응기업을 구성하여 재량적발생액을 상호 비교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선정기업만을 대상으로 심사년도와 심사년도 이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니콘 선정기업이 대응기업과 비교하여 이익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회계 이익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와 다르게 선정후에도 이익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예비유니콘 선정기업은 선정 후에도 경영자의 이익조정의 유인이 계속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니콘 선정기업은 기업의 내부 성장보다는 기업의 외형 성장을 통해 시장에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서 외부 투자자로부터 유리한 조건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영자에게 이익조정의 유인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예비유니콘 선정평가에서 회계 이익의 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유인이 결국 투자자나 채권자로 하여금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는데 저해가 되고 있어 이러한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대한 것을 감안하여 예비유니콘기업 선정평가에 있어서 회계정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K-유니콘 프로젝트의 정책대안으로 재량적발생액을 통한 이익의 질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여 이익조정을 예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세계 푸드테크 산업의 동향과 전망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Global Food-tech Industry)

  • 장우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47-254
    • /
    • 2020
  • 4차혁명에 따른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는 푸드테크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한국의 푸드테크산업은 아직까지 배달앱에 집중되어 있고 스마트팜, 인공지능을 비롯한 로봇시장은 발전 초기단계이다. 미국은 대체육업체가 이미 유니콘 기업에 다수 포함되어 있는 반면 소고기 수입 4위국인 한국은 대체육 개발이 미흡하다. 프랑스는 유럽 최대의 농업 국가답게 어그테크 중심으로 푸드테크가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은 세계 제일의 인구수를 앞세워 거대화 된 온라인 전자 상거래 시장을 토대로 배달앱 중심의 푸드테크가 발달했다. 한국도 과거산업에 초점이 맞춰진 규제를 신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하고 정계와 재계의 투자 및 연구에 집중하여 다양한 푸드테크 산업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기업가적 컨텍스트에서 기업 성장과 스케일업 연구: 기업가치의 성장, 성장의 속도, 성장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 Search of Corporate Growth and Scale-up in the Entrepreneurial Context: What Affects the Growth of Enterprise Value, the Pace of Growth, and the Effectiveness of Growth.)

  • 이영달;오소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25-58
    • /
    • 2021
  • 본 연구는 주로 횡단적 측정에 의해 설명되는 기업의 성과와 달리, 종단적 측정과 성격이 더 강조되는 기업의 성장을 '스타트업 및 스케일업 생태계'로 대변되는 21세기 기업가적 컨텍스트에서 살펴보았다. 2019년 기준 글로벌 유니콘 기업 479개, 최근 3년간 연평균복합성장률(CAGR)이 15%를 초과하는 미국의 5천 개 비상장 기업 중 매출액 1억달러 이상인 333개의 고성장 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기업의 고성장을, 1)기업가치의 성장, 2)성장의 속도, 3)성장의 효과성 관점에서 전략의 선택, 산업 및 시장환경, 그리고 업력(자원축적의 대위 변수)과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업가치의 성장은 상대적으로 산업 및 시장 특성과 영향 관계가 더 높았다. 성장의 속도는 산업 및 시장환경의 특성과 유효 조합을 이루는 전략의 선택에 따라 더 충실히 설명되었다. 그리고 기업 성장의 효과성은 전략의 선택, 산업 및 시장환경의 특성, 그리고 업력(자원축적의 대위 변수) 모두로부터 영향을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연간 매출액 1억 달러 이상의 조건을 가진 주식회사 기반의 샘플을 통한 본 연구는, 특히 실무적인 관점에서 초기 스타트업이 향후 스케일업을 위한 일련의 방향을 모색 과정에 유효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업가치, 성장 속도, 성장의 효과성 관점에서 개별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성과 정합성을 이루는 성장 동인과 요인을 조합하는데 실효적 참고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세기 주류 이론들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고, 21세기 기업가적 컨텍스트에 부합하는 기업 성장 이론을 개발하는 데 그 기초 참고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