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hulled ric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Temporal Changes of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Rice under Indoor Storage Conditions

  • Oh, Ji-Yeon;Sang, Mee-Kyung;Ryoo, Mun-Il;Kim, Ki-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74-79
    • /
    • 2008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unhulled and brown rice under indoor storage condition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ial popul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storage room ranged from $22.6^{\circ}C\;to\;27.0^{\circ}C$ and 23.3% to 44.2%, respectively. Total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remained relatively stable over the storage period. Predominant fungi included Aspergillus candidus, A. flavus, A. fumigatus, and Penicillium spp.; the predominant bacteria were Bacillus, Microbacterium, Sphingomonas, and Methylobacterium spp. Total fungi and bacteria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ither unhulled (r=0.448, P=0.372) or brown (r=0.466, P=0.351) rice. In unhulled rice, total fungi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Aspergillus (r=0.994, P<0.001) and total Penicillium (r=0.906, P<0.05); A. flav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Aspergillus (r=0.913, P<0.05) and total fungi (r=0.868, P<0.05). In brown rice, Bacillus spp.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bacteria (r=0.998, P<0.001). Mean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 candidus (r=-0.852, P<0.05) and total fungi (r=-0.961, P<0.01), and mean relative humid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Penicillium spp.(r=0.884, P<0.05) in brown rice. Hence thes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unhulled and brown rice stored under room conditions, and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populations of fungi and bacteria, especially Aspergillus and Penicillium spp.

벼 생산 단계에서 탄소발생량과 감축요소 평가 (Evaluation of Mitigation Technologies and Footprint of Carbon in Unhulled Rice Production)

  • 이덕배;정순철;소규호;정재우;정현철;김건엽;심교문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42
    • /
    • 2012
  • 본 연구는 벼 생산에 필요한 농자재의 제조와 벼 재배과정 그리고 농자재의 폐기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성적을 산정하고, 주요한 온실가스인 메탄의 발생 저감을 위한 재배기술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벼 생산 단계에서 탄소 발생량은 투입된 농자재의 물량을 기준으로 농자재와 에너지의 제조단계에서 탄소발생량, 농작물 생육 단계에서는 시비질소 유래 아산화질소 발생량과 에너지 소비에 탄소 발생량, 농법에 따른 메탄발생량 그리고 농자재의 폐기에 따른 탄소발생량의 합으로 산정할 수 있다. 벼 1 kg 생산 단계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1.40 kg이었으며,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비율은 벼 생육 단계에서 메탄 유래 탄소발생량이 71.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시용된 질소에 의한 아산화질소 유래 탄소발생량이 11.8%였으며, 복합비료 제조단계에서 발생된 탄소발생량이 7.6%에 달하였다. 벼 재배기술 별 메탄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중만생종 대비 조생종 품종재배로 44.4%, 늘 물대기 대비 중간 물떼기로 43.8%, 암거배수처리로 38.7%, 이앙재배 대비 직파재배로 32.0%, 경운 대비 무경운 재배로 20.9%의 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과정 지구온난화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실적의 측정-보고-검증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이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저탄소농산물 인증제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Microbial Population, Aflatoxin Contamination and Predominant Aspergillus Species in Korean Stored Rice

  • Oh, Ji-Yeon;Sang, Mee-Kyung;Oh, Jee-Eun;Lee, Ho-Joung;Ryoo, Mun-Il;Kim, Ki-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21-129
    • /
    • 2010
  • We evaluated microbial populations and aflatoxin production in unhulled and white rice from rice processing complexes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in five regions in Korea and identified three predominant Aspergillus species.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rice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egions in 2007. Aflatoxins were also detected and varied at the levels of 2.45 - 3.43 ng per g unhulled rice grain and 1.29 - 2.09 ng per g white rice grain. Unhulled rice generally detected higher level of aflatoxins than white rice regardless of sampling region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nseong and Cheonan in 2005 and Cheonan and Gimpo in 2007. Aflatoxin production between sampling regions was not different regardless of rice type and sampling year. Although the fungal diversity was highly distinct from region to region, three Aspergillus isolates were predominant in the rice samples; thus, representative isolates AC317, AF57, and AF8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isolates AC317, AF57, and AF8 were identified as A. candidus, A. flavus, and A. fumigatus, respectively. These fungi can produce mycotoxins that are harmful for consumers and thus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reduce the population of storage fungi in rice.

벼품종과 도정단계에 따른 열풍 팽화 특성 (Puffability with Hulling steps and Rice Varieties by Hot Air Puffer)

  • 김중만;김동한;백승화;최용배;한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72-76
    • /
    • 1994
  • 고미의 효율적 소비방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풍식 팽화기($210{\pm}5^{\circ}C$, $55{\pm}5\;sec.$)를 이용하여 나락의 팽화 특성을 벼의 형태와 품종별로 비교하였다. 열풍에 의한 팽화효과는 나락이 현미나 백미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하였고 형태별 팽화된 전분의 상대적 결정화도 역시 나락이 백미나 현미보다 매우 낮았다. 팽화나락과 현미의 팽화체적 증가율은 찰벼가 메벼에 비하여 높았으며 팽화적성은 운봉올찰벼와 진주벼가 양호(P=0.05)하였다. 최대 팽화력을 나타내는 나락의 수분함량은 $10{\sim}12%$이었다.

  • PDF

미곡중(米穀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관(關)하여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Rice)

  • 김명찬;심기환;하영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99-305
    • /
    • 1978
  • $1976{\sim}1977$년의 2년간 서부경남 일원에서 생산된 미곡을 도정도, 지역및 품종별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중금속의 함량은 조곡, 현미, 7분도미, 9분도미 순으로 도정도가 커짐에 따라 그 양이 적었으며 각지역과 벼의 품종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미곡중의 중금속 함량은 구리 $0.80{\sim}2.89{\;}ppm,$ 아연 $3.23{\sim}17.60ppm$, 망간 $6.72{\sim}70.25ppm$, 그리고 납은 0.64ppm 이하였다. 3. 조곡에서 니켈과 크롬의 함량은 각각 $2.04{\sim}60.64ppm,\;5.09{\sim}39.95\;ppm$범위이었으며 7분도미와 9분도미에서는 아주 미량이 검출되었다. 4. 수은과 카드뮴은 몇 종의 조곡에서 미량이 검출되었을 뿐 7분도미와 9분도미에서는 추적되지 않았다.

  • PDF

Algorithm for Discrimination of Brown Rice Kernels Using Machine Vision

  • C.S. Hwang;Noh, S.H.;Lee, J.W.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823-833
    • /
    • 1996
  • An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utomatic brown rice quality inspec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In this study emphasis was put on developing an algorithm for discriminating the brown rice kernels depending on their external quality with a color image processing system equipped with an adaptor for magnifying the input image and optical fiber for oblique illumination. Primarily , geometrical and optical features of sample images were analyzed with unhulled paddy and various brown rice kernel samples such as sound, cracked, green-transparent , green-opaque, colored, white-opaque and brokens. Secondary, an algorithm for discrimination of the rice kernels in static stat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geometrical and optical parameters screened by a statistical analysis(STEPWISE and DISCRIM Procedure, SAS ver.6). Brown rice samples could be discriminated by the algorithm developed in this study with an accuracy of 90% to 96% for the sound , cracked, colored, broken and unhulled , about 81% for the green-transparent and the white-opaque and about 75% for the green-opaque, respectively. A total computing time required for classification was about 100 seconds/1000 kernels with the PC 80486-DX2, 66MHz.

  • PDF

우리나라 논 토양 중 수은함량과 벼 흡수이행 (Mercury Contents of Paddy Soil in Korea and its Uptake to Rice Plant)

  • 박상원;양주석;김진경;박병준;김원일;최주현;권오경;류갑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4
    • /
    • 2008
  • 벼 재배 농업인들에게 기술지원을 하고, 소비자들에게 우리 쌀의 안전성을 널리 알리고자, 2005년-2006년 "탑라이스" 생산단지 및 인근 관행재배 지역에서 토양, 볏짚, 왕겨, 쌀겨, 현미, 및 백미 시료를 채취하여 미국 EPA 7473 규격을 만족시키는 자동수은분석기(DMA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우리나라 논 토양의 수은함량은 평균 0.031 mg/kg로 토양환경보전법상 우려기준(4 mg/kg)과 대책기준(10 mg/kg) 대비 1/25-1/65 이하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고, 탑라이스를 포함한 우리 쌀 중 수은잔류량은 평균 0.0018 mg/kg로, 중국의 잔류허용기준(MRL) 0.02 mg/kg 및 대만의 잔류 허용기준(MRL) 0.05 mg/kg과 비교할 때 1/10-1/30 이하의 수준으로 수은에 의한 우리 쌀에 대한 안전성 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탑라이스 생산단지 토양의 수은함량은 평균 0.02788 mg/kg, 볏짚 0.00896 mg/kg, 정조 0.00182 mg/kg, 왕겨 0.00189 mg/kg, 현미 0.00166 mg/kg, 쌀겨 0.00452 mg/kg, 그리고 백미 0.00145 mg/kg 수준이었다. 토양 중 수은농도 대비 비율로 계산해 보면 볏짚 0.321 ${\gg}$ 쌀겨 0.162 ${\gg}$ 왕겨 0.068 ${\geq}$ 정조 0.065 > 현미 0.060 > 백미 0.052 순으로 볏짚 및 쌀겨의 수은농도가 높았다. 잔류수은의 흡수이행 기울기는 볏짚 ${\gg}$ 쌀겨 ${\gg}$ 왕겨 ${\geq}$ 정조 > 현미 > 백미 순으로 기울기가 크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흡수이행량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지상부로 흡수된 총수은량의 83.8%는 볏짚에 존재하였으며, 정조에 16.2%, 왕겨에 2.8%, 현미에 12.4%, 쌀겨에 3.5% 및 백미 9.7%가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탑 라이스" 생산단지를 포함한 인근의 관행재배지역 토양은 수은에 오염되지 않았으며, 여기에서 생산된 우리 쌀은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남지역 곡류로부터 Ochratoxin A 생성균의 분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solation of Ochratoxin A - Producing Strains from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 김동술;정덕화;조태웅;여명재;강진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9-53
    • /
    • 1994
  • To isolate the ochratoxin A producing strains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 in Youngnam districts, rice (37), unhulled rice (10), barley (20), unhulled barley (3), corn (21), soil (26), meju (25), malt (8), soybean (26) and peanut (15) were collected from homes and markets of Youngnam districts through September 1992 to November 1992. 187 strains of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were isolated from 191 samples. As a result of screening by TLC, 36 strains expressed fluorescent spot and a same Rf value of standard ochratoxin A, and 9 strains of them were identified as ochratoxin A producing strains by HPLC.

  • PDF

영남지방 농산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제3보) 무기성분 함량에 관하여 (Hygienic Studies on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Part III)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Compound)

  • 정덕화;김성영;정혜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7-184
    • /
    • 1989
  • 1989년 5월 중 영남지방에서 생산된 쌀 : 62점, 보리 : 39점, 대두 : 58점 그리고 겉보리 : 59점 등 총 218점을 수집하여 곡류별로 무기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연의 지역별 평균함량은 쌀 : 46.91-76.28 ppm, 보리 : 42.24-77.06 ppm, 대두 : 73.39-103.69 ppm 그리고 겉보리에 있어서 48.03-272.49 ppm을 나타내었고, 망간의 경우는 쌀 : 4.96-14.75 ppm, 보리 : 10.62-16.28 ppm 대두 : 23.32-42.48 ppm 그리고 겉보리에 있어서 각각 23.52-30.15 ppm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의 지역별 평균함량은 쌀 : 65.38-141.33 ppm, 보리 : 59.22-133.25 ppm , 대두 : 106.32-240.20 ppm, 겉보리 : 66.44-108.63 ppm이었으며 , 칼슘의 경우는 쌀 : 10.25-33.67 ppm, 보리 : 68.84-136.62 ppm , 대두 : 492.20-967.84 ppm 그리고 겉보리 : 75.30-165.85 ppm으로 대두>보리>겉보리>쌀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나트륨의 지역별 평균함량은 쌀:291.60-453.60 ppm, 보리 : 462.25-773.60 ppm, 대두:463.83-792.67 ppm 그리고 겉보리 : 777.90-950.90 ppm으로 나타났고, 칼륨은 쌀 : 716.00-1180.60 ppm, 보리 : 1363.60-1686.00 ppm, 대두 : 2233.83-2792.67 ppm그리고 겉보리 : 2042.10-2141.46 ppm을 각각 함유하여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 PDF

영남지방 농산물에서의 Zearalenone 생성균의 분리 (Isolation of the Zearalenone-Producing Strains from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 김성영;정선희;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81-585
    • /
    • 1992
  • 영남지방으로부터 백미(60), 보리쌀(52), 대두(45), 땅콩(33), 옥수수(32), 메주(27), 벼(40), 보리(54) 및 토양(32) 등 총 375종의 시료를 수거하여 Fusarium속으로 추정된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균을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배양(14일, $30^{\circ}C$)한 후에 zearalenone 생성균주를 선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75종의 시료에서 302주의 Fusarium속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302주를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TLC와 HPLC법에 의해 zearalenone 생성균주를 선정하였다. TLC 결과에서 zearalenone 생성균주는 29주 [쌀(3), 메주(2), 옥수수(1), 보리쌀(5), 토양(4), 땅콩(3), 대두(4), 보리(5) 그리고 벼(2)]로 나타났으나, HPLC 분석결과 19주 [쌀(2), 메주(1), 옥수수(1), 보리쌀(4), 토양(3), 대두(2), 보리(3) 그리고 벼(3)]가 zearalenone 생성균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