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gauged watershed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허용 부하량 산정을 위한 저수유량 산정 방안 (Calculation of low flow for estimating TMDL)

  • 정윤민;권재혁;강상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223-239
    • /
    • 2009
  • 우리나라 중소규모의 대부분 하천의 경우 유량 자료의 부족 또는 미계측 지역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저수유량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계별 환경용량을 고려한 허용부하량 산정을 위해 면적함수 관계식을 이용한 저수유량의 산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한강 상류 지역의 유역면적 $606km^2$인 주천강 유역과 미계측 유역면적 $4,551km^2$인 옥동천 합류 후인 한강 유역을 시험하천으로 선정하였다. 적용결과, 주천 하류부의 저수 유량은 $1.9m^3/s$로, 미계측 유역인 옥동천과 한강의 합류 후의 저수유량은 $20.7m^3/s$로 계산되었다. 이를 영월군에서 고려하고 있는 BOD목표치 1.0-1.2mg/l로 계획하면 허용부하량은 각각 164-197kg/day 및 1,788-2,146kg/day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허용부하량 산정방법은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유역이나 미계측 유역에 대해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WMM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미 계측 하천의 클로로필a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stimation of Chlorophyll-a in an Ungauged Stream by the SWMM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 강태욱;이상호;김일규;이남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70-679
    • /
    • 2011
  • Chlorophyll-a is a major water quality indicator for an algal bloom in streams and lak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tributaries of the Seonakdonggang b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s the tributaries are ungauged streams, a watershed runoff and quality model was used to simulate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tributary watersheds include urban area and thu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used to simulate TN, TP, BOD, COD, and SS. SWMM, however, can not simulate chlorophyll-a. The chlorophyll-a series data from the tributaries were estimated by the ANN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using SWMM. An assumption used is as follows: the 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chlorophyll-a in the tributaries of the Seonakdonggang would be similar to that in the mainstream of the Seonakdonggang. On the assumption, the measurement data of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in the mainstream of the Seonakdonggang were used as the learning data of the ANN.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learning data combinatio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as determined. Finally, chlorophyll-a series were estimated for tributaries of the Seonakdonggang by the ANN and TN, TP, BOD, COD, and temperature data from those streams. The relative errors between the estimated and measured chlorophyll-a were approximately 40 ~ 50%. Though the errors are somewhat large, the estimation process for chlorophyll-a may be useful in ungauged streams.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한 제주지역의 수리지질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by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in Jeju Island)

  • 김남원;김윤정;정일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09-1420
    • /
    • 2014
  •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의 대수층 수리지질 매개변수인 반응계수와 배수가능공극을 추정하고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 및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수층 매질의 특성치인 배수가능공극은 고도에 대해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으며 지하수의 흐름 특성치인 반응계수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였다. 매개변수들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변수의 평균 및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전 유역(강정천, 외도천, 천미천, 한천)에 대한 매개변수 관계식을 적용하여도 미계측 유역내 매개변수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수리지질 매개변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미계측지역에서 매개변수를 추정함으로써 지하수모델링의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토양수분 저류 기반의 간결한 준분포형 수문분할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arsimonious Semi-Distributed Hydrologic Partitioning Model Based on Soil Moisture Storages)

  • 최정현;김령은;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9-244
    • /
    • 2020
  • Hydrologic models, as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hydrologic phenomena in the watershed, have become more complex with the increase of computer performance. The hydrologic model, with complex configurations and powerful performance, facilitates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limate and soil in hydrologic partitioning. However, the more complex the model is, the more effort and time is required to drive the model, and the more parameters it uses, the less accessible to the user and less applicable to the ungauged watershed. Rather, a parsimonious hydrologic model may be effective in hydrologic modeling of the ungauged watershed. Thus, a semi-distributed hydrologic partitioning model was developed with minimal composition and number of parameters to improve applicability. In this study, the validity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ere confirmed by applying it to the Namgang Dam, Andong Dam, Hapcheon Dam, and Milyang Dam watersheds among the Nakdong River watersheds. From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despite the simple model structure, the hydrologic partitioning process of the watershed can be modeled relatively well through three vertical layers comprising the surface layer, the soil layer, and the aquifer. Additionally,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s widely applied to stormwater estimation using the soil moisture data simulated by the proposed model.

A STUDY ON THE PARAMETER ESTIMATION OF SNYDER-TYPE SYNTHETIC UNIT-HYDROGRAPH DEVELOPMENT IN KUM RIVER BASIN

  • Jeong, Sang-man;Park, Seok-Chae;Lee, Joo-Heo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2권4호
    • /
    • pp.219-229
    • /
    • 2001
  • Synthetic unit hydrograph equations for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estimation of design flood have long and quite frequently been presented, the Snyder and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The major inputs to the Snyder and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are lag time and peak coefficient. In this study, the methods for estimating lag time and peak coefficient for small watersheds proposed by Zhao and McEnroe(1999) were applied to the Kum river basin in Korea. We investigated lag times of relatively small watersheds in the Kum river basin in Korea. For this investigation the recent rainfall and stream flow data for 10 relatively small watersheds with drainage areas ranging from 134 to 902 square kilometers were gathered and used. 250 flood flow events were identified along the way, and the lag time for the flood events was determined by using the rainfall and stream flow data. Lag tim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basin characteristics of a given drainage area such as channel length, channel slope, and drainage area.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late lag time to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The resulting regression model is as shown below: ※ see full text (equations) In the model, Tlag is the lag time in hours, Lc is the length of the main river in kilometers and Se is the equivalent channel slope of the main chann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s (r$^2$)expressed in the regression equation is 0.846. The peak coefficient is no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ny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We recommend a peak coefficient of 0.60 as input to the Snyder unit-hydrograph model for the ungauged Kum river watersheds

  • PDF

지형학적 인자에 따라 군집화된 중소규모유역의 합성단위도법 제시 (Estimation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by Cluster Analysis Using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Mid-size Watershed)

  • 김진겸;김종민;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439-449
    • /
    • 2016
  • 유역의 지형학적특성을 이용한 합성단위도법을 제시하였다. 합성단위도 산정을 위하여 19개 유역에 대하여 6개 지형학적 인자를 사용하였으며, 전체유역을 유역면적 $ 200km^2$을 기준으로 2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19개 유역을 대상으로 군집별로 표준화된 지형학적 인자와 유역별 대표단위도의 첨두비유량 및 첨두시간과의 회귀식을 제시하였으며, Nash와 Clark 단위도를 유도하였다. 합성단위도의 모의정확도 검증을 위해 추가적으로 선택한 6개 유역에서 2010-2011년에 발생한 145개 강우-유출사상에 적용하여 경험식을 사용한 Clark모형의 적용결과와 비교하였다. 검증결과 기존의 합성단위도법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계측 유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ONE 모형의 국내유역 적용 및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NE parameter hydrological model on domestic watershed)

  • 고희민;안현욱;노재경;이승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1호
    • /
    • pp.59-72
    • /
    • 2024
  • 농업용저수지는 관개용수, 유지용수, 생활용수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용수공급을 수행한다. 농업용저수지는 계절과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선 공급량 및 유입량 계측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용수관리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농업용저수지의 경우 다목적 댐에 비해 공급량 및 유입량에 대한 계측이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며,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용수 관리를 위해선 물수지 분석을 통한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입량-공급량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ONE model, Tank model과 같은 강우유출해석모형이 개발되어 저수지 물수지 해석에 활용되고있으나, 미계측 유역에 대한 적용성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ONE model은 기본적으로 일단위 유출계산을 위해서 설계되었으며, 해당 모형은 하나의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어 Tank model의 한계로 지적되는 보정 및 미계측 유역 분석에 유리하다. 이에 15개의 댐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ONE model과 Tank model을 통해 물수지를 분석하고, 두 모형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고자 R2와 NSE을 활용하였다. 모의결과에 따르면, ONE model의 R2와 NSE가 Tank model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ONE model이 미계측유역에 대한 유입량 예측에 더 적합할 것으로 평가된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과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댐 영향 분석 I (Dam Effects on Spatial Extension of Flood Discharge Data and Flood Reduction Scale I)

  • 김남원;정용;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209-2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홍수 유출자료를 생성하는 공간확장법에 대한 주변여건 변화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특히, 댐이 있는 곳에서의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 가능성을 보이고 공간확장 된 자료를 활용한 자연유량의 생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댐의 설치로 유역동질성이 손실된 미계측 유역의 유출자료생성을 위한 시도이다. 댐의 영향을 받는 유역의 홍수 유출자료 공간확장을 위해서 남한강에 위치한 여주 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양평 수위관측소까지를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삼았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성을 분석하기 위해 1986년부터 2010년까지의 여주수위관측소의 홍수유량을 중심으로 41개의 홍수사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 유출자료 공간확장성과 댐 영향을 제거한 자연유량을 산정 하였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 작업에서 여주의 관측유출량을 중심으로 공간확장 했을 때 77%이상의 사상이 Nash-Sutcliffe efficiency의 만족도 범위 내(NSE>0.5)로 분포 하였으며, 확장된 양평 수위관측소의 첨두홍수량(peak discharge)에 대해 0.84 NSE를 얻을 수 있었다. 홍수 유출자료의 자연유량은 여주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구하였으며 충주댐의 영향이 횡성댐의 영향보다 커 충주댐의 유입량을 중심으로 자연유량을 확보하였다. 충주댐이 존재하는 1986년 이후의 자연유량은 관측 유량보다 첨두홍수량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댐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가 있는 곳에서도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이 가능하며 홍수 유출자료 공간확장된 자료를 활용하여 자연유량을 구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점근유출곡선지수법을 이용한 소유역 유출곡선지수 산정 및 최적 초기손실률 결정 (Using asymptotic curve number regression method estimation of NRCS curve number and optimum initial loss ratio for small watersheds)

  • 유지수;박동혁;안재현;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1호
    • /
    • pp.759-767
    • /
    • 2017
  • NRCS-CN 방법을 이용해서 유출량을 결정하는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유출곡선지수와 초기손실률이다. 수자원 실무에서 유출곡선지수와 초기손실률은 대부분 미국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의 지침에 따라 결정하지만, 우리나라 유역의 토양 및 수문학적 특성은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유출량을 과대 또는 과소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유역특성에 적합한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점근유출곡선지수법을 이용하여 총 8개의 유효우량 산정 모형(M1~M8)을 제시하였다. RSR (RMSE-observations standard deviation ratio)과 NSE(Nash-Sutcliffe Efficiency)의 두 가지 지표를 이용하여 모형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계측 유역에서는 M6 (평균 RSR: 0.76, 평균 NSE: 0.39), 미계측 유역에서는 M7 (평균 RSR: 0.82, 평균 NSE: 0.31)이 최적의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유역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초기손실률 0.20보다 더 작은 값(0.01-0.10)을 적용할 때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격자기반의 강우유출모형을 통한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홍수유출해석 (Flood Runoff Analysis of Multi-purpose Dam Watersheds in the Han River Basin using a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 박인혁;박진혁;허영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7-596
    • /
    • 2011
  • The interest in hydrological modeling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cently due to the necessity of watershed management, specifically in regards to lumped models, which are being prosperously utilized because of their relatively uncomplicated algorithms which require less simulation time. However, lumped models require empirical coefficients for hydrological analyses, which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eterogeneity of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To overcome such obstacles, a distributed model was offered as an alternative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related to watershed management and distributed model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the recent years. Thus,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a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was reviewed using the flood runoff process in the Han River basin, including the ChungjuDam, HoengseongDam and SoyangDam watersheds. Hydrological parameters based on GIS/RS were extracted from basic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soil map and rainfall depth. The accuracy of the runoff analysis for the model application was evaluated using EFF, NRMSE and QER. The calc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Besides the ungauge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SoyangDam watershed, EFF showed a good result of 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