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원인분석 및 과제 (An Analysis of the Realities and Causes of Youth and New College Graduate Unemployment)

  • 채구묵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159-181
    • /
    • 2004
  • 본 연구는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및 원인을 분석해 본 후, 청년 및 신규대졸자 실업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을 요약해보면, 첫째 외환위기로 급증한 청년실업률은 2000년 이후 상당히 완화되었으나 아직도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며, 둘째 외환위기로 급증한 신규대졸자 실업률은 2000년 이후 완화되어 현재 외환위기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나 신규대졸자 실업자 수는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고, 셋째 청년실업의 원인분석 결과 경제성장률과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고용창출력)이 낮을수록, 대학진학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신규대졸자 실업 원인분석 결과 경제성장률과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이 낮을수록, 신규대졸자 증가율, 청년층 대비 대졸자 비율, 시간추세가 클수록 실업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및 신규대졸자 실업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노동수요 확대를 위해 경제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경제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용창출력이 높은 산업 직업을 육성해야 하며, 둘째 노동공급 측면으로 신규대졸자 실업 완화를 위해 대졸자 수를 산업수요에 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고, 셋째 노동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완화를 위해 중.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 대학교육의 현장성 강화 등 학교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청년실업 문제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통일된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First Job Waiting Times after College Graduation Based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in Korea

  • Lee, Sungim;Moon, Jeounghoo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59-975
    • /
    • 2012
  • Each year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a government institution established for the advancement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nd Job Korea, a popular Korean job website, announce first job waiting times after college graduation. Thi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understand and resolve youth unemployment problems. However, previous reports deal with the time as a completely observed one and are not appropriate. This paper proposes a new study on first job waiting times after college graduation set to 4 months prior to graduation. In Korea, most college students hunt for jobs before college graduation in addition, the full-fledged job markets also open before graduation. In this case the exact waiting time of college graduates can be right-censored. We apply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first job waiting times and risk factors. A real example is based on the 200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A Study on the Employment Predictive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 Jun-Su Kim;Woo-Hong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1-2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패키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 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나 교육대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업지속기간의 측정모형 (Measuring Unemployment Durations of Different Types of Workers)

  • 최창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03-1608
    • /
    • 2012
  • 실업의 규모는 실업상태에 진입하는 진입률의 크기와 실업상태의 지속기간이라는 두가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연구는 실업의 지속기간을 측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다양한 형태의 실업자들의 실업지속기간을 측정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신규실업참가자의 실업지속기간과 실직자들의 실업지속기간의 결정요인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인다. 모형을 이용하여 최근 대학 졸업자들이 노동시장에 신규로 참여하여 장기간 구직활동을 하는데 그 요인을 설명한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대졸 구직자 취업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for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 이동훈;김태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2호
    • /
    • pp.287-306
    • /
    • 2020
  • Purpose Youth unemployment is a social problem that continues to emerge in Korea. In this study, we create a model that predicts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using decision tree, random fore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mo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each model through prediction results.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vocational path survey data first, then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up dependent variables. We use R to create decision tree, random fore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and predicted whether college graduates were employed through each model. And at the end,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was compared and evaluated.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had the highest performance,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had a narrow difference in performance than the decision tree model. In the decision-making tree model, key nodes were selected as to whether they receive economic support from their families, major affiliates, the route of obtaining information for jobs at universities, the importance of working income when choosing jobs and the location of graduation universities.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variables in the random forest model, whether they receive economic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s important variables, majors, the route to obtaining job information, the degree of irritating feelings for a month, and the location of the graduating university were selected.

Utiliz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Recruitment Predictions of IT Graduates in the Saudi Labor Market

  • Munirah Alghamlas;Reham Alabduljabba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3호
    • /
    • pp.113-124
    • /
    • 2024
  • One of the goals of the Saudi Arabia 2030 vision is to ensure full employment of its citizens. Recruitment of graduat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kills that they may have gained during their study. He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ensuring that graduates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the in-demand skills of the market are necessary. However, IT graduates are usually not aware of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recruitment or not. This study builds a prediction model that can be deployed on the web, where users can input variables to generate predictions. Furthermore, it provides data-driven recommendations of the in-demand skills in the Saudi IT labor market to overcome the unemployment problem.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online job portals: LinkedIn and Bayt.com.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amely, Support Vector Machine, k-Nearest Neighbor, and Naïve Bayes were used to build the model. Furthermore, descriptive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herein to evaluate the existing gap.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ed a gap between labor market employers' expectations of Saudi workers and the skills that the workers were equipped with from their educational institutions. Planned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 providers is required to narrow down this gap.

누리사업단 대학졸업자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 부산지역대학의 사례 - (An Analysis on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University Graduates in NURI Project Teams -the Case of the Universities in Busan Region-)

  • 전현중;류장수;조장식;박성익;김종한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1호
    • /
    • pp.31-56
    • /
    • 2009
  • 본 논문은 부산지역 대학의 누리사업단 졸업자를 대상으로 개인의 취업실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인 학력, 가구소득, 평균 평점, 자격증이 미취업기간 결정에 가장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학력, 가구소득, 사업단 규모, 기업 규모가 부산지역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부산에 취업할 확률이 낮아지고, 수도권 진출은 자발적 진출과 비자발적 진출의 양면이 존재하였다. 셋째, 성별, 본인 학력, 계열, 평점, 사업단 규모 등이 평균 임금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충북지역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에 대한 대학 취업담당자와 대학생들 간의 인식의 차이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Differences Between Staffs and Students on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in Choong-buk Province, Korea)

  • 김동환;오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10-3516
    • /
    • 2011
  • 경체 침체와 고용 없는 성장 산업으로 인해 대학생의 실업 문제가 점차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의 취업률 문제가 대학의 평가로 이어질 정도로 정부가 관심을 갖고 대학생 취업률을 올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취업 정책은 졸업자의 취업지원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대학생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의 의도, 추진 성과, 준비성 등과 대학생이 인지하는 만족도, 효용성 등 부문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활동의 효과에도 문제가 있지만 프로그램 추진의 효율성도 떨어져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 취업 지원활동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의 지원활동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대학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 수정 제안과 함께 관련 주체들의 바람직한 태도와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대졸자의 대학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특성 차이: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College Graduate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Regret: Focused on College Life, Employment Goal, First Job Satisfaction)

  • 강혜영;정태종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5-165
    • /
    • 2017
  • 본 연구는 대졸자를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여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이유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 등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가?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흥미나 적성과 같은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할 경우에 외적동기의 경우보다 적게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한 경우에 가장 큰 후회이유는 '취업의 어려움'이었으며, 외적동기의 경우에는 '적성에 맞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여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중소기업 취업자의 직장선택과 이동 그리고 임금 수준 분석 (Job Selection, Separation, and Wage Level of SME Workers: based on a Follow-up Survey on Recent College Graduates)

  • 박재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87-398
    • /
    • 2010
  •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수준의 인력부족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는 이것이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그리고 이에 따른 졸업생의 중소기업 기피에 주로 기인한다고 보았다. 반면 중소기업 취업자가 노동시장에서 차별을 경험하기 때문이라는 노동시장분절 시각에서 접근 되기도 하다. 특히 이 같은 차별이 하향취업과 비전공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빈번한 이직이나 안정적이지 못한 일자리로 이어짐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인 경력축적을 저해하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대학 졸업생의 미취업 탈출에 초점을 둔 반면, 이들의 초기 직업력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적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생의 직업력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취업자의 이직 경로를 분석하고, 노동시장 진입 과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학 졸업생의 중소기업 경력은 더 많은 그리고 더 장기간의 교량적 일자리를 경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정을 수반하며, 이 같은 직장이동이 긍정적인 노동시장성과를 동반하지 못하는 등 노동시장에서 인적 자본이나 교육의 질로써 설명되지 못하는 '중소기업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