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employment Rate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5초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분석 (The Impact of Industrial Diversity to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nstability: An Analysis of Regional Economy Using Panel Regression Model)

  • 류수열;최기홍;고승환;윤성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9-146
    • /
    • 2014
  •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지역경제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일부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려는 산업특화정책이 해당 지역경제의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1993년부터 2010년까지의 우리나라의 16개 시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허핀달지수를 측정하고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핀달지수를 계산하여 산업구조 다양성 정도와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1990년대에는 산업구조가 특화되다가 2000년대에는 다양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둘째, 패널회귀모형의 추정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산업구조의 다양성을 높일수록 실업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그렇지만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불안정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다. 셋째, 대도시일수록 실업률이 높고 고용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관계가 매우 유의하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취업자수증가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불안정지수는 낮고, 경제활동인구 중 여성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불안정지수는 낮으며, 취업자 중 대학 졸업자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실업률이 높지만 고용불안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실증분석을 고려해보면, 지역전략 산업육성정책과 같은 산업특화정책은 정책의도와는 달리 지역경제 전반의 실업률을 상승시켜서 경제 불안정성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고용 측면의 관점에서 본다면 산업구조를 특화시키는 것보다 다양성을 높이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 PDF

Investigating Keynesian Theory in Reducing Unemployment and Poverty in Indonesia

  • PRASETYO, P. Eko;CAHYANI, E. Nu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0호
    • /
    • pp.39-48
    • /
    • 2022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Keynes's theory in Indonesia, particularly in solving unemployment and poverty problems through government spending, economic growth, and human resource capacity. The basic concepts of the Keynesian theory were used as a method, through which government spending was harnessed toward economic growth in reducing unemployment and poverty rate. The analytical materials used were panel data for the 2017-2021 period in Central Java, Indonesia. The analytical methodology used was a multiple regression experimental design in selecting the best model according to Keynes's theory, especially for overcoming formidable problems.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large Government spending program is ineffective in encouraging pro-growth, pro-job, pro-poor, and pro-equity development policy strategies. The causes of this failure include the violation of Keynes' assumptions about rationality and the low quality of education investment, which do not encourage productive and innovative entrepreneurship, as well as self-employment opportunities. As a result, government spending, including subsidies and direct financial assistance, used to implement the macroeconomic monetary, unstructured, and fiscal policy system is insufficien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enormous difficult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human capital capacity is the key to mitigating and reducing unemployment and poverty.

오쿤의 법칙(Okun's law)에 대한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Okun's law on Korean Economy)

  • 유경준;류덕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1호
    • /
    • pp.89-109
    • /
    • 2012
  • 본 연구는 실업률 변화와 성장률 간의 경험적 관계를 나타내는 오쿤의 법칙을 우리나라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고 그 결과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치마크 오쿤의 추정계수 ${\beta}$는 방법론에 따라 대략 2~4의 계수 값을 보여주어 선진국의 경우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둘째, 경기변동에 따른 비대칭적인 반응이 관측되기는 하지만 추정방법에 따라 혼재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1979~80년, 1997~98년 등의 구조변화를 반영한 오쿤의 추정계수는 벤치마크와 비슷한 값으로 추정되었다.

  • PDF

청년 건설기술인력의 일자리 창출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strategy of market entry for construction engineer of young people)

  • 박환표;한재구;김영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4-75
    • /
    • 2015
  • Recently domestic youth un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continuously. The cause is due to construction recession. As a result, the youth unemployment rate was approximately 8.0% in 2013. In particular, graduates of civil engineers and architecture engineers are difficult to find a new job.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also prefer new employees rather than career employees. Therefore, the employment rate of construction-related university graduates is continuing decline. Accordingly, construction and technical engineers will be aging. Therefore, this study was looking for ways to promote the overseas expansion of young construction engineers. And this research has suggested the ways which young engineers can find a new job through improving the system.

  • PDF

한국의 자연실업률 추정 (Korea's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Estimates and Assessment)

  • 신석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6권2호
    • /
    • pp.3-62
    • /
    • 2004
  • 한국의 자연실업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한 가지의 추정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연구 간에 상이하게 나타나는 추정결과를 평가할 근거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순수 시계열방법, 축약형 모형을 이용한 방법, 구조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한 추정방법을 검토하여 추정방법 간 상대적인 장단점을 비교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자연실업률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추정결과의 신뢰구간을 몬테카를로 적분(Monte Carlo integration)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함으로써 추정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평가 근거를 제시하였다. 축약형 모형의 하나인 다변수 비관측인자모형이 여타 추정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추정결과가 모형설정오류에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모형설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제기되었으며, 순수 시계열방법이나 구조 벡터자기회귀모형도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으므로 특정방법을 이용한 결과에 의존하기보다는 여러 추정방법에 의한 추정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부분에 기반을 두어 자연실업률을 추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추정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한국의 자연실업률은 1979~87년 동안 평균 3.7~4.0% 수준에서 1988~97년 기간 동안 평균 2.6~3.2%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나, 외환위기를 거치며 4.0~5.3% 수준까지 상승하였다가 이후 하락하는 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추정결과에서 최근에 실제실업률이 자연실업률에 근접해 있으나 실업률 갭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비교적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업률이 외환위기 이후 자연실업률의 상승이라는 구조적 변화와 경기침체라는 경기순환적 요인에 함께 영향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자살과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한국과 다른 OECD 국가들과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icide and Socioeconomic Factors)

  • 강은정;이수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5-5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t the macro level and suicide mortality rate of Korea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OECD countries. Methods: We created OECD panel data of 29 OECD countries from 1985 to 2006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suicide mortality rate for separate age and sex groups using a fixed-effect model. Economic factors included per capita GDP, per capita GDP growth rate, unemployment rate, and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te. Social factors included birth rate, alcohol consumption, and the percentage of population 65 and older. Results: Unemployment rat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icide in other countries but i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in some groups of Korea.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te wa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related with suicide in Korea but it did not relate to suicide in others.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birth rate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alcohol consumption with suicide were evident in Korea, which were not found in other countries. The percentage of population 65 and older was negatively correlated in some female groups in Korea, whil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other countries. Conclusions: Korea wa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other OECD count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suicide mortality rate.

Robust Unit Root Tests for a Panel TAR Model

  • Shin, Dong-Wan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23
    • /
    • 2011
  • Robust unit root tests are developed for dynamic panels consisting of TAR processes. The test statistics are all based on diverse combinations of individual t-type tests for significance of TAR coefficients. Limiting null distributions are established. A Monte-Carlo experiment compares the proposed tests. The tests are applied to a panel data set of Canadian unemployment rates which show asymmetric features as well as having outliers.

The Impact of COVID-19 on Bangladesh's Economy: A Focus on Graduate Employability

  • SHAHRIAR, Mohammad Shibli;ISLAM, K.M. Anwarul;ZAYED, Nurul Mohammad;HASAN, K.B.M. Rajibul;RAISA, Tahsin Sharmil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395-1403
    • /
    • 2021
  • The COVID-19 pandemic is having an adverse impact on Bangladesh's economy by affecting millions of people's life and hampering their income sources. The outbreak of COVID-19 has created more pressure on the labor market. The pandemic reduces employment opportunities as most of the companies have stopped their recruitment process to cut their operational costs, which increases the rate of graduate unemployment in Bangladesh. H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VID-19 on graduate employability in Bangladesh that adversely affects the income of families and eventually the nation's economy. A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from secondary sources to evaluate the impact, which shows that the rate of graduate unemployment increased from 47% to 58% in 2020 with an expected annual loss estimated at $53 million. Findings also reveal that the prime reasons for graduate employability are low demand and huge supply of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lack of professional skills of graduates, ineffective education system, etc. The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of Bangladesh should develop some policies to overcome this problem such as ensuring employment subsidies, implementing skills development programs, improving labor market flexibility, initiating credit programs for generating employment, and developing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Bangladesh.

실업안전망 국제비교연구: 실업보험, 사회부조,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의 제도조합과 유형화 (A Comparative Study on Unemployment Insurance, Social Assistance and ALMP in OECD Countries)

  • 이승윤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345-375
    • /
    • 2018
  • 본 연구는 OECD 12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업보험, 사회부조, 그리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제도배열로서 '실업안전망 정책조합'을 분석하며 레짐별 유사성 및 특수성을 구체화한다. 이를 통해 해당 국가들이 실업자에 대한 사회보장정책을 어떻게 구성하여 이들의 실직과 소득보장 문제에 대응하는지 비교분석하였고, 방법론으로는 퍼지셋 이상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2005년과 2010년의 정책조합을 분석한 결과, '부조형', '재진입과 소득보장 결합형', '재진입 집중형', '광범위한 실업안전망형', '부실한 실업안전망형', '소득보장 집중형'으로 대상 국가들의 실업안전망이 유형화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으로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 속하였고, 사회보험, 사회부조 그리고 적극적노동시장의 퍼지점수가 모두 본 연구의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최하위권이다.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서도 구체적인 정책별 소속 점수를 살펴보면 사회부조 정책의 소속점수가 그나마 다소 높고 적극적노동시장 정책의 소속점수는 매우 낮았다.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 속한 우리나라의 경우, 자산조사 방식의 소득보장제에 의존하여 급여를 제공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부담이 가장 적은 정책으로 분석결과에서도 확대경향이 나타났으나,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사회부조 방식이 불안정노동자 및 실업자의 소득보장에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문제제기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비교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실업안전망 비교연구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논의에 기여하고, 실업과 관련한 정책들을 조합으로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동시장 변화와 정합한 실업안전망 설계를 위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