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검색결과 26,197건 처리시간 0.048초

과학영재교육에서의 상대론적 개념에 대한 학생 사례 분석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relativity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 배새벽;김영화;김영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71-91
    • /
    • 2004
  • 고등학생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상대론 교육을 위해, 과학영재학교로 지정된 부산과학고등학교의 학생 사례 분석을 통한 상대론적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를 제시한다. 특수 상대론이라는 현대 물리 분야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이해도 변화 및 가능한 원인들을 조사하였다.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의 비교 분석에 의하면, 상대론적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가 교육을 통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사례 분석을 통해 상대론적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및 오개념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상대성 원리의 타당성, 광속 불변의 원리가 고전 물리학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낮은 이해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이해도를 보이는 개념들에 대한 조사는 고등학생 과학영재의 올바른 개냄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안에 여러 가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의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화학전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Chemistry II Courses in High School on Understanding Concepts of Electrochemistry in General Chemistry: Focusing on Chemical Cell)

  • 양혜란;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34-4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에서 전기화학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데 미치는 영향과 개념 변화 유형을 알아보았다. 고등학교에서 화학II 이수 여부에 따라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화학전지의 구별, 전극의 구별, 그리고 전류의 생성과 흐름에 관한 개념의 이해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염다리의 역할, 표준 반쪽 전지의 필요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화학전지의 생성물과 전지 전위의 예측에서는 화학II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 그룹에서 일반화학 수강 후에 개념 이해의 향상이 크게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의 학습이 대학 일반화학에서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일반화학을 수강하더라도 몇 가지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고등학교에서 미리 학습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 적절한 보충 학습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문장음성 이해를 위한 확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chastic Model for Sentence Speech Understanding)

  • 노용완;홍광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7호
    • /
    • pp.829-83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전과 시소러스를 이용하여 문장음성 이해를 위한 확률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확률모델은 입력되는 음성과 텍스트 문장에서 단어를 추출한다. 컴퓨터가 선택한 카테고리의 사전 DB와 입력된 문장에서 추출된 단어와 비교하고 확률모델로부터 확률값을 얻는다. 이때 컴퓨터로부터 상위어 정보를 알아내고 상위어 사전을 검색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입력된 단어와 확률 모델을 비교하여 결과값을 얻는다. 사전과 상위어 사전으로부터 얻은 두개의 확률값을 더하고 그 값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문장의 이해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이해 시스템을 스무고개 게임에 적용시켜 그 성능을 평가 하였다. 상위어 확률 값($\alpha$)이 0.9이고 임계값 ($\beta$)은 0.38일 때 문장음성 이해의 정확도는 79.8%였다.

상호 문화이해와 의사소통이 해외진출 기업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Impac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Korean-invested Firms in Indonesia)

  • 임석준;민상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3호
    • /
    • pp.133-164
    • /
    • 2018
  • 세계화의 진전으로 기업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환경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본국과 현지의 문화적 차이를 기업의 경영전략에 반영시키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에서 근무하는 한국 주재원과 인도네시아인 간의 권력거리, 의사소통만족, 문화이해 등 3개 변수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권력거리는 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현지 관리자들이 한국인에 비해 권력이 불평등하다는 것을 많이 느낄수록 기업조직 성과는 부정적인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셋째, 주재원과 현지인간의 상호문화이해가 높을수록 기업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한 집단 내 두 이질적인 문화가 일방적이 아닌, 상호간 문화이해가 높을수록 조직성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결과는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이질적 문화 환경에서 어떻게 조직성과를 이끌어 낼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인 주재원들이 현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조직성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해외 진출 한국 기업은 한국 주재원의 교육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현지인들의 교육에 투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삼각함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 층위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hown in Trigonometric Functions)

  • 이유빈;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19-334
    • /
    • 2019
  • 본 연구는 삼각함수와 관련된 과제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해 정도를 Hitt(1998)의 층위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학생들의 함수 이해 정도를 층위 분석을 통해 단계를 구분한 후 이해 관점을 과정과 대상 관점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해의 정도 층위는 3단계에서 불완전성을 보였다. 그리고 함수의 이해의 관점은 그래프 해석에서 과정 관점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수적 표상의 조작이 중요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함수를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함께 문제 해결과 그에 따른 표상 체계 사이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함수 개념 이해 층위 5단계에 도달할 수 있는 수업모델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버스(Metaverse)의 기독교적 이해와 적용: 메타버스의 특성을 중심으로 (The Christia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Focusing on the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 박건춘;봉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511-523
    • /
    • 2022
  •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 대한 적절한 기독교적 이해와 적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의 일반적인 개념과 유형, 활용을 알아보고, 메타버스의 주요 특성들을 개념의 연관성 및 공통요소 등에 의해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찾은 메타버스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주안점은 첫째, 메타버스의 '초월적 세계관'이다. 이에 대한 적용은 기독교 세계관 재정비, 미래세대를 위한 기독교 메타버스 환경 조성 등이 있다. 둘째, 메타버스에 대한 '온·오프라인의 융·복합'적 이해이다. 교회, 예배, 선교에 대한 온·오프라인 통합적 이해, 메타버스의 선교적 수용 등은 그 적용이다. 셋째, 메타버스에 있어 '아바타의 기능 확장'이다. 이것은 인간의 정체성 확립, 공감 및 소통의 개념 확대, 기독교 윤리 및 경제관의 확장 등의 그 적용적 과제를 주고 있다. 메타버스의 기독교적 이해의 핵심은 세계관, 선교, 인간 이해이다.

소아·청소년을 위한 한국형 우식위험평가 문항의 이해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aries Risk Assess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지현;이수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22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of caries risk assessment items in order to develop caries risk assessment tools. Methods : A total of 52 parents and 1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ir understanding of nine items of the CAMBRA CRA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nine questions were analyzed through a Likert five-point scale. Centralized distribu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groups'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Results : The evaluation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showed that four items scored less than 3.0 points. The items were "Hyposalivatory medications (antihistamines, antipsychotics, asthma, etc.)," "Brushing below once a day," "F varnish last six months," and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of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was less than 3.0 poi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s of the three group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found for a total of five items: "Hyposalivatory medications (antihistamines, antipsychotics, asthma, etc.)," 'Not used oral products such as floss and interdental toothbrushes," "F toothpaste 2× daily or more," "F varnish last six months,"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Conclus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aries prevention program by identifying whether the caries risk assessment reconstituted in Korean style can be us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ore than half of the questions scored 3.0 points or higher and were generally completed. Nonetheless, a systematic program can only be completed if a plan is secured to improve repondents'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before a caries prevention program is developed.

생물 예비교사들의 진화 이론의 실용성에 관한 인식 (Pre-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al-World Application of Evolutionary Theory)

  • 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86-1198
    • /
    • 2011
  • 과학교육과정에서 과학 지식의 실용성에 관한 인식을 점차 강조해 왔다. 진화 이론 역시 현대 과학에서는 실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진화 이론의 실용성에 관한 인식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론적으로 전공, 학년, 종교의 3가지 독립변수와 실용성에 관한 인식, 진화 지식, 진화 관심, 진화 수용, 종교성의 5가지 종속변수를 설문조사 하였다. 총 233명의 생물 예비교사와 405명의 비생물 과학예비교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비생물 교사 양성 프로그램과 비교하였을 때 생물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진화 지식과 관심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했을 뿐 진화 이론의 실용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진화 이론의 실용적 인식은 개인의 종교 변수, 진화 관심과 수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진화 이론의 실용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다른 과학 개념들의 실용성 인식 변인 조사를 제언한다.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의 안내 표지판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erms Presented on the Information Board of Jinan-Muju National Geopark)

  • 조규성;박경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0-53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의 안내 표지판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 219명(초등학교 147명, 중학교 41명, 고등학교 31명)을 대상으로 지질공원에 대한 인식 수준, 안내 표지판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국가지질공원에 설치된 안내판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때 학생들의 용어에 대한 이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질명소에 설치된 대표적인 안내 표지판 10개를 선정하고 전체 내용을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였으며, 전문가 3인과의 논의를 통해 핵심 용어 256개를 추출한 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이해 정도를 파악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인식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적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학생들은 안내판에 대해 흥미를 보이지 않았으며 내용이 많고 어려워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56개의 용어 중에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용어의 수는 초등학생 80개, 중학생 53개, 고등학생 31개로 나타나 학교 급이 높아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용어를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초등학생은 교육과정에서 아직 배우지 않은 용어이기 때문이며, 중·고등학생은 전문 용어와 한자어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질공원의 안내 표지판은 학생 및 방문객들이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한자어를 쉽게 풀어 쓰거나 전문 용어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치과의원 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in dental clinics patients)

  • 박정순;김영임;장선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85-698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clinic patients in a bid to str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right awareness and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ultimately to help promote the oral health of people in general.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4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North Jeolla Province in June 2009. Results : 1. Out of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tients investigated(74.6%) were best cognizant of dental floss, and the greatest group(77.7%) h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oothpick. Currently, the oral hygiene supplies that were most widely in use were toothpicks(43.2%). 2. As to the relationship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50.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understood the use of toothpick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dental floss, the largest group(51.4%)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 and in the even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dental floss, the greatest group(49.2%) deem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Ou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mouse rinse, the largest group(53.7%) thought they were in good health(p<0.05). 3.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r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4.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ti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5. The largest group of those who didn't put dental floss to use didn't use it for other reasons un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of them didn't use it since it was so onerous to do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why they didn't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p<0.05). 6. Awareness of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he two and whether to use the two at present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And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wareness of mouse rinse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it as well(p<0.05). Conclusions : Dental hygienists have to provide patients with various data of oral hygiene device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n only patients caring in dental clinics can choose the appropriate devices to claim for their own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