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호 문화이해와 의사소통이 해외진출 기업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Impac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Korean-invested Firms in Indonesia

  • 임석준 (동아대 국제전문대학원) ;
  • 민상희 (동아대 국제전문대학원)
  • 투고 : 2018.09.16
  • 심사 : 2018.10.08
  • 발행 : 2018.10.31

초록

세계화의 진전으로 기업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환경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본국과 현지의 문화적 차이를 기업의 경영전략에 반영시키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에서 근무하는 한국 주재원과 인도네시아인 간의 권력거리, 의사소통만족, 문화이해 등 3개 변수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권력거리는 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현지 관리자들이 한국인에 비해 권력이 불평등하다는 것을 많이 느낄수록 기업조직 성과는 부정적인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셋째, 주재원과 현지인간의 상호문화이해가 높을수록 기업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한 집단 내 두 이질적인 문화가 일방적이 아닌, 상호간 문화이해가 높을수록 조직성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결과는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이질적 문화 환경에서 어떻게 조직성과를 이끌어 낼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인 주재원들이 현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조직성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해외 진출 한국 기업은 한국 주재원의 교육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현지인들의 교육에 투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What is the impac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n a 'foreign' company's performance? We suggest that a firm's localization is a bilateral process requiring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the foreign and indigenous cultures. To assess this argument,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tual understanding (measured by power distanc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Korean firms employing Indonesian workers in Indonesia. Survey and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firm performance was negatively affected by power distance and positively affected by cross-cultural understanding. The results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enhancing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for overseas operations. While it is necessary for Korean investors to understand local culture, educating local managers on Korean culture better enha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동아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