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achiev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으로써의 수학일지 쓰기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s a Method of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for Underachieve Students)

  • 김홍찬;이정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25-548
    • /
    • 2010
  • 수학 과목은 위계성이 강하기 때문에 조금씩 생긴 수학에 대한 결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깊어지고 심화된다. 이에 수학학습 부진학생들은 수학 수업이 더 어렵게 느껴지고 흥미 는 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도 학습자 위주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은 교사중심으로 수학수업이 이루어지며 학생과 교사 사이에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방법이 특별히 없는 것 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학습 부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변화시키고 수학성취 도 향상을 꾀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수학일지 쓰기를 택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 수학 성취도가 40% 미만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수학일지를 쓰기를 실시한 후 수학일지에 대한 반응, 수학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로 수학일지 쓰기가 학생들에 게 능동적이고 능률적인 학습태도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수학 성취도에 향상을 가져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이 학습부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습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Habits, and Self Esteem in Underachieve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성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habits, and self esteem in underachieve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This study was an one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Underachievers in nursing college (n=38) were participated.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10 minutes a week for 8 weeks. Academic self efficacy was measured by an academic self efficacy scale developed by Kim ae young & Park in young in 2001. To assess learning habits, the learning habits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Kim young jin was used. Self esteem was measured by Rosenberg's self esteem scale. Result: After completing the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learning habit and self esteem. As for sub-factors, efficacy for self confidence among academic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reatment. Conclusion: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appears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ing habit and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PDF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초등 미성취 과학영재의 발견가능성 탐색 - 빛의 직진 개념을 중심으로 -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Focused on "Light Propagation")

  • 정연수;이지원;김중복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01-122
    • /
    • 2016
  • 공간능력이 과학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문화적 인식으로 인해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영재학생들이 미성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영재 선발을 위한 관찰 추천 시에 교사들이 여전히 학업성취도를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미성취영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간능력과 언어능력에 따른 빛의 직진에 대한 이해 정도와 과학학업성취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빛의 직진 이해에서 보이는 특징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높은 공간능력을 가진 미성취 과학영재1)의 발견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 추천 시 과학학업성취도를 중요하게 반영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주며, 교육현장에서 높은 공간능력과 낮은 언어능력을 가진 미성취 과학영재의 발견가능성과 그들의 과학적 잠재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비언어성 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