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2/JGTE.2016.26.1.101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Focused on "Light Propagation"  

Jung, Yeon-su (Sangbong Elementary School)
Lee, Jiw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Jung Bo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6, no.1, 2016 , pp. 101-12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possibility finding gifted underachievers who have high spatial ability, but low verbal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field. In Korea, because teachers used to ref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nly when they recommend gifted students, underachievers used to be excluded. The participants are 5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research,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were given to students to find underachievers. Results of spatial ability test, verbal ability test,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non-verbal test, and interviews about light propagation concept were obtained. By analyzing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spatial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understand light propagation. And there are some features to understand light propagation according to spatial ability. Lastly,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non-verbal test to find gifted underachiever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low verbal ability.
Keywords
Underachieve; Science gifted students; Spatial ability; Verbal ability;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Light propag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호감, 정영미 (2015). 학교 규모별 초등단위 영재학급 교육대상자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26(2), 157-175.
2 고광병 (1997). 빛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수업 전.후의 개념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4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권성기, 김지은 (2007).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물리 오개념 비교. 초등과학교육, 25(5), 476-484.
6 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 (1996). 공간능력에서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35(2), 125-141.
7 권재술, 정진우, 김범기, 최병순, 김한호 (1992). 빛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43-53.
8 김동일, 이일화 (2010). 읽기 저성취 초등학생의 언어 지식과 독해력과의 관계. 학습장애연구, 7(1), 27-45.
9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315-325.
10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461-468.
11 김종원 (2013). 빛의 직진 개념에 대한 Peer instruction 중심의 과학교사 연수 자료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2 박매옥, 강호감, 최선영(2009). 공간능력에 따른 초등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관계. 과학교육논총, 22(1), 95-108.
13 박소영, 이진희 (2007).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영재교육연구, 17(2), 251-279.
14 신정화 (2002). 읽기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지능 및 해부호화 능력과 독해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5 안도희, 김옥분 (2007).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1(3), 723-745.
16 윤초희, 박희찬 (2013).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5), 771-791.   DOI
17 이경훈, 임종옥 (2010).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지, 31(3), 267-275.   DOI
18 이명자, 문병상 (2007). 미성취 영재의 특성과 교육적 지도 방안. 중등교육연구, 55(1), 159-179.
19 이정은 (2015). 학생, 예비교사, 교사의 광원에 따른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 유형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 이지원, 김종원, 김규환, 황명수, 김중복 (2013).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29-248.   DOI
21 이지원, 윤하영, 김중복 (2014). 빛과 그림자 개념 이해를 돕는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8(3), 703-717.
22 이효녕, 조현준, 박미란 (2012).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른 10학년 학생들의 판 운동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3(4), 360-375.   DOI
23 조선미, 한기순 (2014).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4(1), 45-61.
24 전만국, 김형범, 정진우 (2013).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28-39.
25 정미경, 윤소윤 (2012). 영재와 공간능력간의 탐색적 고찰: STEM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8(3), 135-155.
26 정수정, 최나야 (2013).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태도가 교과 성적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4), 257-275.
27 천경록 (2006).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 독서연구, 15, 407-436.
28 최선일, 진석언 (2015).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5(4), 649-667.   DOI
29 한기순, 신정아 (2007).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30 Andersen, L. (2014). Visual-Spatial ability: Important in STEM, ignored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36(2), 114-121.   DOI
31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 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DOI
32 Gohm, C. L., Humphreys, L. G., & Yao, G. (1998). Underachievement among spatially gifted studen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3), 515-531.   DOI
33 Kozhevnikov, M., Motes, M. A., & Hegarty, M. (2007). Spatial visualization in physics problem solving. Cognitive Science, 31(4), 549-579.   DOI
34 Kozhevnikov, M., & Thornton, R. (2006). Real-time data display,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learning force and motion concep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111-132.   DOI
35 Mann. R. L. (2005). Gifted students with spatial strengths and sequential weaknesses: An overlooked and underidentified population. Roeper Review, 27(2), 91-96.   DOI
36 Lohman, D. F., Lakin, J. M., Sternberg, R., & Kaufman, S. (2009). Reasoning and intelligence. Handbook of Intelligence, 419-441.
37 Lord, T., & Nicely, G. (1997). Does spatial aptitude influence science-math subject preferences of children?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9(2), 67-81.   DOI
38 Lubinski, D. (2010). Spatial ability and STEM: A sleeping giant for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4), 344-351.   DOI
39 Miller, D. I., & Halpern, D. F. (2013). Can spatial training improve long-term outcomes for gifted STEM undergraduat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141-152.   DOI
40 Reis, S. M., & McCoach, D. B. (2000).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rly, 44(3), 152-170.   DOI
41 Shepard, R. (1996). The science of imagery and the imagery of scienc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l Psychological Society, San Francisco.
42 Silverman, L. K. (2002). Upside-down brilliance: The visual-spatial learner DeLeon Pub.
43 Wai, J., Lubinski, D., & Benbow, C. P. (2009). Spatial ability for STEM domains: Aligning over 50 years of cumulative psychological knowledge solidifies its import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4), 817.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