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aria Pinnatifida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초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에 의한 해조류로부터 유용성분 추출

  • 홍석기;전병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0-101
    • /
    • 2000
  • 식용해조류인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늦가을부터 겨울, 이른 봄 동안 자라고 봄부터 초여름까지 성숙하는 1년생 해조류로 내만의 입구에 가까운 곳이나 조류가 빠른 곳에서 번식을 하며 극동아시아와 우리나라 전 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갈조류로써 그 생산량은 식용해조류 중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후식품 또는 병약자의 건강을 회복하는 영양식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부드러운 해조류 맛과 탁도 및 점성으로 오랫동안 섭취해 온 식품이다. (중략)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a)와 후코이단 성분의 투여가 스트레스 부하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최진호;박수현;김대익;김동우;김창목;구재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28-129
    • /
    • 2000
  • 지금까지 해양생물에 관한 연구로서 갈조류중의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주성분인 알긴산(alginic acid)의 생리활성을 중심으로 성인병의 예방과 노화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의 생리활성성분으로서 알긴산은 점성(viscosity)이 매우 커서 음료개발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후코이단 성분은 중성다당인 라미나란(laminaran)과는 달리 황산기(sulfate group)를 가진 산성의 수용성 다당류로서 항혈액응고 작용과 항종양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졌다. (중략)

  • PDF

산불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원에 대한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활력 측정

  • 강세은;최재석;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3-204
    • /
    • 2001
  • 산불의 발생은 산림 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 들의 연소로서 산불재 및 질소, 인 ,칼륨 등의 식물 영양염류와 토사 등이 산지에서 이탈되어 하천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산지와 해양이 인접한 지형에서는 하천에서의 자정작용 없이 곧바로 해양으로 유출되어 해양생물의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해양 생태계에서는 하천의 오염원 유입으로 인하여 일차적으로 강 하구의 고착생물 즉 해조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indicator 생물로서 이들 해조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중략)

  • PDF

Seamustard (Undaria pinnatifida) Improves Growth, Immunity, Fatty Acid Profile and Reduces Cholesterol in Hanwoo Steers

  • Hwang, J.A.;Islam, M.M.;Ahmed, S.T.;Mun, H.S.;Kim, G.M.;Kim, Y.J.;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14-1123
    • /
    • 2014
  • Th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2% seamustard (Undaria pinnatifida) by-product (SW)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carcass characteristics,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profile in Hanwoo steers. A total of 20 Hanwoo steers (ave. 22 months old; 619 kg body weight)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basal diet) and 2% SW supplemented diet. Dietary SW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p<0.05) improved average daily gain and gain:feed ratio as well as serum immunoglobulin G concentra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grade of meat and carcass yield grades evaluated at the end of the trial were found to be unaffected by SW supplementation. Dietary SW significantly reduced meat cholesterol concentration (p<0.05). Dietary SW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myristic acid (C14:0) and palmitoleic acid (C16:ln-7) concentration, while SW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tearic acid (C18:0) and linolenic acid (C18:3n-3) compared to control (p<0.05). Dietary SW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saturated fatty acids (SFA), unsaturated fatty acids,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or mono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muscles. A reduced ratio of PUFA/SFA and n-6/n-3 were found in SW supplemented group (p<0.05). In conclusion, 2% SW supplementation was found to improve growth, immunity and fatty acid profile with significantly reduced cholesterol of beef.

A Harpacticoid Copepod Parasitic in the Cultivated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 PARK Tai-Soo;RHO Yong-Gil;GONG Yong-Gun;LEE Dong-Yeub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39-442
    • /
    • 1990
  • 우리나라 양식미역에 바늘구멍을 뚫는 요각류 유생을 동정하기 위하여 남해안의 양식미역에 서식하는 요각류를 조사하고 미역에 바늘구멍을 뚫는 요각류 유생을 실험실에서 직접사육했다. 남해안의 양식미역 엽체에 서식하고 있는 요각류는 여러 종이 있는데, 이들 중 Ho와 Hong이 기술한 Amenephia orientalis와 다른 미동정종인 Scutellidium sp.가 이번 연구중 미역엽체 세척액속에 계속적으로 많은 양이 출현하였다. 이 두 종에 속하는 암컷중에는 포난개체가 많았다. 사육실험 결과를 보면, $15^{\circ}C$에서 구멍을 뚫는 유생은 15일만에 성체 또는 성체에 가까운 미성체까지 성장했다. 이들 성체 혹은 미성체는 모두 Amenephia orientalis로 동정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양식미역에 기생하면서 미역엽체에 구멍을 뚫는 종은 Amenephia orientalis로 밝혀졌다.

  • PDF

국내산 주요 해조류의 식이섬유소의 함량 및 추출조건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 도정룡;김은미;구재근;조길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1-296
    • /
    • 1997
  • 국내 연안에서 생산되는 해조류 즉, 갈조류에 속하는 미역, 다시마 그리고 톳, 녹조류에 속하는 파래, 그리고 홍조류에 속하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에 함유된 식이섬유소의 함량과 이들 해조류로부터 가용성 식이섬유소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산과 알칼리 그리고 효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미역의 식이섬유 추출에는 $1.5\%$의 탄산나트륨 용액, 또는 $2.0\%$$Na_2EDTA$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는 $1.0\%$$Na_2EDTA$, 톳은 $2.0\%$의 탄산나트륨, 우뭇가사리와 꼬시래기는 $2.0\%$$Na_2EDTA$를 사용하였을 때 가용성 식이섬유의 수율이 높았다. 파래는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그리고 $Na_2EDTA$ 중에서 특별히 효과적인 것은 없었으며 $2\%$농도에서 $17.49\~18.46\%$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시간과 온도를 검토한 결과, $100^{\circ}C$ 에서 해조중의 식이섬유 추출은 추출시간이 길수록 추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온도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우뭇가사리와 꼬시래기는 $110\~$에서 1시간 추출시 각각 $38.48\%$$42.11\%$의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오동도 해조군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gal Communities of Odongdo, Southern Coast of Korea)

  • 손철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8-378
    • /
    • 1983
  • 본 연구는 1982년 6월부터 1983년 5월까지 전남 여수반도 남단에 위치한 오동도 해조군락의 특성을 밟히기 위하여 5개의 line transect를 설치하고 연간 계절별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군이 Gelidium divaricatum, Enteromorpha linza, Porphyra yezoensis, Scytosiphon lomentaria, Blidingia nana, Ectocarpus confervoides, 중부군이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그리고 하부군은 Sargossum sagamianum,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thunbergii 및 Gelidium amansii 등의 홍조류로 대표되었다. 출현해조의 종수와 피도는 4월에 최대이고 8월에 최소로되며 종별 우점도의 변화는 연중 출현종은 10월에, 일계절 출현종은 1월 또는 4월에 각각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유사도지수에 따른 5개 transect의 cluster analysis 결과 내만성군과 외양성의 2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본 지역은 남해안 중${\cdot}$동부 군락에 해당되는 Myelophycus simplex alliance의 Colpomenia sinuosa-Ecklonia cava association에 속한다고 본다.

  • PDF

독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okdo, East Sea, Korea)

  • 최창근;이해원;홍병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3-508
    • /
    • 2009
  • We investigated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between 2003 and 2006 at Dokdo on the East Sea. The total number of benthic algae species identified was 96, which included 15 Chlorophyta, 30 Phaeophyta, 50 Rhodophyta and 1 Spermatophyta species. The representative species in this study were Ulva pertusa, Caulerpa okamurae, Codium adhaerens, C. frgile,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cava, Eisenia bicyclis, Dictyopteris undulata, Padina arborescens, Sargassum horneri, Hildenbrandtia rubra, Lithophyllum okamurae, Amphiroa dilatata, Corallina officinalis, C. pilulifera, Prionitis cornea, Grateloupia elliptica, Plocamium telgairiae, Chondrus ocellatus, Chondracanthus intermedia, Chondria crassicaulis, Polysiphonia morrowii, Melobesioidean algae and Phyllospadix sp. Wet weight biomass according to various depths ranged between 1,094.8 to $2,595.3\;g\;m^{-2}$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biomass at the investigated sites was greater in the 15m depth range than in the 5 and 10m depths. Vertical distribution was characterized by Ulva intestinalis, U. linza, Endarachne binghamiae, Bangia atropurpurea, Gloiopeltis furcata and Chondria crassicaulis at intertidal zone, Amphiroa dilatata,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Eisenia bicyclis and Ecklonia cava at 2m depth, Ecklonia cava, Eisenia bicyclis, Padina arborescens,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um horneri at 5m depth, Ecklonia cava, Sargassum horneri and Padina arborescens at 10m depth, Ecklonia cava, Myagropsis myagroides, Padina arborescens and Sargassum horneri at 15m depth. The R/P, C/P and (R+C)/P value were 1.67, 0.50 and 2.17, respectively.

다양한 해조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밥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oked Rice Containing Various Seaweeds)

  • 최영진;김수민;이서경;김현정;임상빈;오명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88-394
    • /
    • 2020
  • An emerging interest in healthy eating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rice mixed with various types of grains. Cooked rice was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seaweeds,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fulvellum, Enteromorpha compressa, Undaria pinnatifida, and Gracilaria verrucosa,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80%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five seaweeds were compared.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reducing power (TRP),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ethanol extracts. The TPC of raw seaweed ethanol extracts was from 7.58 to 26.2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oth extracts of Hizikia fusiformis were the highest among the five seaweed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oked ric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raw seaweed extract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ooked white rice, mixed grains, barley, and a mixture of white rice and barely added with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fulvellum and Undaria pinnatifida were 3.17, 23.12, 31.11 and 10.66%,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addition of seaweeds to cooked rice helps to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white rice alone.

산불 관련 해양환경오염원들에 대한 해조류의 활력 측정 (Viability Assay of Seaweeds Responding to Mountain Fire-Related Pollutants)

  • 강세은;;최재석;조지영;신현웅;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5-229
    • /
    • 2003
  • Plant ash and soil drainage, derived by frequent mountain fires during winter, might cause biological contamination to seaweeds at seashore and river mouse area. To thalli of Ulva pertusa, maximum non-lethal concentration(MNLC), lethal concentration 50 $(LC_{50})$ and minimum lethal concentration (MLC) of pine needle ash were shown as 60, 350 and 550 mg/mL, respectively. The yellow loess and granite sand did not damage at concentrations of 20 and 200 mg/mL, respectively To thalli of Porphyra yezoensis, the MNLC, LC5O, MLC of pine needle ash were shown as 0.08, 0.4 and 1.0 mg/mL, respectively. Effects of yellow loess and granite sand were approximately 1/2 and 1/10 of the ash. To thalli of Undaria pinnatifida, the pine needle ash, yellow loess and granite sand did not damage at the concentration range of 20 to 40 mg/mL. Change of pigments $(chlorophyll\;\alpha,\;lutein,\;\beta-carotene,\;phycoerthrin)$ was also determined at the MNLC, $LC-{50}$ and MLC of pine needle ash. Among three seaweeds tested, P. yezoensis produced the most 2.7-fold of lutein and 2.3-fold of $\beta-carotene$ at $LC-{50}$ of the ash. Thus the P. yezoensis, appeared as a sensitive indicator, could be used as one of test organisms for determination of the biological effect of pollutants contaminated in mar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