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braulva japonic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Umbraulva yunseulla sp. nov. (Ulvaceae, Chlorophyta) from a subtidal habitat of Jeju Island, Korea

  • Lee, Hyung Woo;Bae, Eun Hee;Kim, Myung Sook
    • ALGAE
    • /
    • 제35권4호
    • /
    • pp.349-359
    • /
    • 2020
  • Specimens of Umbraulva with greenish iridescent were collected in the subtidal zone of Jeju Island, Korea. To investigate these collections, plastid rbcL and tufA sequencing of six greenish iridescent specimens, including four Umbraulva japonica, were analyzed. Phylogenetic analysis of a concatenated multigene alignment found that the greenish iridescent specimens belonged to a yet undescribed taxon in the genus Umbraulva. We herein propose the name Um. yunseulla sp. nov. for this specimens. Juveniles of Um. yunseulla sp. nov. resemble the generitype Um. japonica in appearance, showing globular to subglobular and funnel-shaped habits, but the blades of this new species are not split longitudinally like those of Um. japonica. Although the multigene phylogenetic tree showed the polyphyletic clade of Umbraulva with respect to the genus Ryuguphycus, Um. yunseulla sp. nov. formed a clade with Um. japonica and Um. amamiensis by weak bootstrap support. These findings, Um. yunseulla sp. nov.,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biodiversity of subtidal habitats from Jeju Island, Korea and further emphasize the need for investigations of macroalgae in the mesophotic zon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초록갈파래(Umbraulva japonica)에서 분리한 세균의 군집 구조 분석 및 항균 활성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Isolated from Umbraulva japonica)

  • 김지현;박소현;문경미;김동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인 Umbraulva japonica의 표면에서 79개의 세균을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주요 계통군은 Proteobacteria (74.69%), Actinobacteria (2.53%), Fimicute (2.53%), Bacteroidetes (20.25%)로 4개의 문(Phylum)이 관찰되었고, 7개의 강(Class), 13개의 목(Order), 17개의 과(Family), 31개의 속(Genus)을 확인하였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3개의 균주가 표준균주와 97% 이하의 유사성을 보여 신속 또는 신종으로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향후 표준균주들과 함께 추가적인 신종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된 79 균주를 이용하여 인체 및 어류 병원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UJT7, UJT20, UJR17의 균체 현탁액이 Vibrio vulnific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UJR17의 균체 현탁액은 V. vulnificus와 Streptococcus parauberis에 항균 활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UJT7은 Bacillus sp., UJT20과 UJR17은 Pseudomonas sp.로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활용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한 후 유익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