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bonium thomasi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Animals on the Mangyung-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안순모;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8-90
    • /
    • 1992
  • 서해 중부연안에 발달된 만경.동진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의 분포 양 상을 살펴보고 분포와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8개의 조사선, 총 69개 정점 을 선정하여 저서동물 표품 채취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조사 정점들은 평균해수 면 아래 250 cm에서 평균해수면 위 230 m 사이에 위치했으며, 정점들이 간조시 노출되 는 정도는 연속노출시간의 차이에 따라 4개의 서로 구분되는 노출 범위로 나타냈으며, 상부조간대에서 하부조간대로 갈수록 조립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망경.동진 펄 조간 대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은 총 64종이었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225{\;}개체{\cdot}1\textrm{km}^2$ 였다. 이매패류인 Laternula cf. limicola (71%) 북족류인 서해비단고동(22%), 완족류 인 Lingula anatina (2.6%) 등이 우점하고, 이들은 총 출현개체수의 95.6%를 차지하였 다. 만경.동진 펄 조간대의 각 지역은 환경조건에 따라 그 환경을 반영하는 저서동물 의 분포양상을 보여 주었는데, 특히 연속노출시간에 따라 구분된 각 노출범위에는 각 기 구분되는 동물의 분포가 나타났다. 연속노출시간이 가장 긴 상부조간대에서는 Perinereis 군집이 나타났고 연속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차례로 Macrophthalmus, Bullacta-Mactra-Umbonium 군집이 형성되었다.

  • PDF

새만금 갯벌의 패류 생물량 (Biomass of Shellfish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종식;황선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57-761
    • /
    • 2003
  • Spatial distribution and biomass of commercial shellfish were investigated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during August 1999. Thirteen species of shellifsh were collected. Major dominant species of the study area were Umbonium thomasi with a density of $6.7\;ind.{\cdot}m^{-2}\;(38.2\%)$, Mactra veneriformis with $6.6\;ind.{\cdot}m^{-2}\;(37.4\%)$ and Reticunassa festiva with $1.3\;ind.{\cdot}m^{-2}\;(7.2\%)$.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such as M. veneriformis ($90.7\;ind.{\cdot}m^{-2}\;69.3\%$), M. lusoria ($15.6\;ind.{\cdot}m^{-2}\;11.9\%)$), C. sinensis ($8.7\;ind.{\cdot}m^{-2}\;6.7\%)$) were dominant in total weight. Most of the shellfish were distributed between the mid-littoral and sub-littoral zones, but C. sinensis and L. flexuosa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polluted areas of the supra-littoral zon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each shellifsh species generally resembles the Mangyeong and Dongjin estuary. Biomass of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M. veneriformis, M. lusoria, C. sinensis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tidal flat (ca. 850 ha) was estimated to be 774, 135, 67 and 10 tons, respectively.

새만금 4호 방조제 연결 후 군산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 변화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 Tidal Flat after the Closing of the Saemangeum 4th Dyke)

  • 구본주;신상호;우한준;김은수;제종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497-507
    • /
    • 2008
  • With the reduction of tidal currents by the closing of the Saemangeun 4th dyke, sedimentary environments on the Gunsan tidal flat, the nearest inner flat from the 4th dyke, has been severely changed, which might affect macrobenthic assemblages on the habitats.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 tidal flat, field surveys were seasonally conducted at seven stations from April 2002 to November, 2005. Sedimentary facies on the study area were shifted into muddominant facies. The fine sediment has been greatly deposited on the tidal flat with accumulation of organic materials after closing the water passage of 4th dyke section. These drastic variations in environments gave rise to change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ince the closure of the 4th dyke, the number of species of macrobenthos h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filter feeders and sand-favored species such as Urothoe convexa, Macrophthalmus dilatatus, Umbonium thomasi, and Mactra veneriformis have been replaced by the deposit feeders such as Macrophthalmus japonicus and Ilyoplax pingi. MDS ordination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from forth-root transformed species abundance data show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have passed through three succession stages from 2002 to 2005. During the third stage of 2005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Prionospio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and Sinocorophium sinensis increased in population on the tidal flat.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의 분포요인 및 보전방안 (Factors Affecting the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Migratory Waterbirds in the Southern Tidal Flats of Ganghwa Island, Korea)

  • 이시완;이한수;유정칠;제종길;;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4-45
    • /
    • 2002
  •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여차리, 동막리, 선두리 및 동검리 갯벌에서 종수 및 개체수에 차이를 나타냈다. 3월과 9월에 조사된 물새류는 다른 지역보다 여차리 갯벌에서 보다 많은 종수 및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물새류 중에서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역보다 여차리 갯벌에서 개체수가 42.0~79.1%의 점유율을 보였다. 동막리 갯벌 조간대상부가 해수면에 잠겼을 경우 여차리 갯벌에 남아있는 갯벌 면적은 0.0317$\textrm{km}^2$로서 여차리 갯벌에서 이들 면적이 휴식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각 지역의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고 있는 물새류의 잠재적 식이물의 습중생물량(wet biomass)은 여차리 갯벌에서 선두 4리 지역보다 2. 5배, 동검리와 동막리 갯벌보다 각각 1.6배와 2배가 높게 나타났다. 종수 및 개체수(/0.078$m^2$)는 여차리 갯벌에서 최대 23종 및 266개체가 출현하여, 선두4리 갯벌의 10종 및 184개체, 동검리 갯벌의 11종 33개체와 동막리 갯벌의 20종 및 69개체가 출현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인 민물도요(38.11g)의 하루 최저 취식량은 1,295 마리이고, 먹이는 주로 왕좁쌀무늬고둥(Reticunassa festiva), 서해비단고둥(Umbonium thomasi)등의 고둥류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였으며, 고둥류는 다른 지역보다 여차리 갯벌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다.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잠재적 식이물인 저서생물의 분포, 휴식공간의 확보, 선호하는 먹이의 분포 및 일일 취식량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먹이가 풍부한 서식지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물새류의 보호를 위해서는 먹이원이 풍부하게 살아 갈 수 있는 갯벌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갯벌의 무분별한 개발 및 매립, 방문 및 생물채취 등은 자제되어야 하며, 갯벌 환경교육 지역전문가 및 갯벌 관리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in subtidal area and on sand flat of Sindu-ri coast, Korea)

  • 구본주;신상호;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88
    • /
    • 2005
  •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갯벌에서 2002년 7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총 134종, 3,511개체, 388g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조하대 10개 정점에서는 109종, 1,298개체/$m^2$, $69.4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이 가운데 갯지렁이류가 54종, 813개체/$m^2$의 분포를 보이며 출현 종수 (49.5%)와 서식밀도 (62.7%)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집괴분석 결과 신두리 해역에는 퇴적물 특성에 따라 네 개의 저서동물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펄과 자갈이 혼재하는 양식장 주변 해역에는 Cirrophorus armatus와 Lumbrineris longifolia로 대표되는 군집, 암반기질로 된 해역에는 Aonides oxycephala 군집, 모래 함량이 높으며 최저조선에 인접한 곳에는 Scoloplos armiger와 Grandifoxus cuspis 군집, 그리고 역시 모래 함량이 높으며 외해쪽으로 인접한 해역에는 뚜렷하게 우점하는 종 없이 균등도지수가 높은 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양식장 주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출현 종수, 서식밀도, 종다양도지수가 높았으나 오염지시종들이 우점하고 있었다. 모래 퇴적물 해역에는 S. armiger와 G. cuspis 등이 우점하는 일반적 모래 조하대 군집 특성을 보였다. 갯벌 두 조사선에 설정한 8개 정점에서는 50종, 2,443개체/$m^2$, $381.3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에서 각각 20종, 1,345개체/$m^2$, $350.4g/m^2$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Umbonium thomasi, Veneridae sp., Mandibulophoxus mai, Armandia lanceolata, Eohaustorius spinigerus, Urothoe convexa 등이 신두리 갯벌의 우점종이었으며, 전체 개체수의 83% 이상을 이들 종이 차지하였다. 갯벌의 저서동물 분포는 노출시간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즉, 상부에서 하부로, 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Scopimera globosa, M. mai, E. spinigerus 군집이 뚜렷한 대상분포를 하였다. 양식장이 위치한 남서해역을 제외한 신두리 해안은 자연성을 가진 건강한 서식지였으며, 특히 천연기념물인 신두리 사구와 연결되는 갯벌과 주변 조하대 해역에는 인위적인 구조물이 거의 없으며 외부로부터의 오염원도 없어 향후 보전을 위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서식지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