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Yang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1초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High-tech Startups by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 엄현정;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2호
    • /
    • pp.19-34
    • /
    • 2021
  • 급속한 기술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혁신을 기반으로 한 기술창업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창업지원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창업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창업'의 증가, 전문인력 및 자금 수급의 문제 등으로 여전히 기술창업으로의 접근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장 및 성공 창출의 핵심 요인을 창업가의 역량, 정부지원 만족도로 보고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가의 기술적 배경(전공연계성, 연구경험, 특허보유, CTO보유)에 따른 차이검증을 통해 기술창업의 독자적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 7일부터 26일까지 대전, 대구 지역의 연구개발특구와 창업보육센터에 위치한 업력 7년 이내의 기술창업자를 대상으로 217개의 유효 설문을 수집하여 연구 검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업가의 성취역량, 개념화 역량, 네트워크역량, 시장인지 역량은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적 역량과 기술적 역량은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지원만족도는 창업자의 성취역량과 재무성과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 효과를 보인 반면, 다른 역량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자의 기술적 배경(전공연계, 연구 경험, 특허보유, CTO보유)에 따라 차별적인 정(+)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국내외 정책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체계화되고 분류된 기업가 역량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고, 개인 창업보다는 팀 창업을 제고하는 문화가 더욱 확산 되어야 함을 증명하였으며, 기술창업의 독자적인 특성인 기술적 배경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주기(年週期) Fourier 함수(函數)와 기상요소(氣象要素)에 의(依)한 지온예측(地溫豫測) 통계(統計) 모형(模型) (A Statistical model to Predict soil Temperature by Combining the Yearly Oscillation Fourier Expans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 정영상;이변우;김병찬;이양수;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3
    • /
    • 1990
  • 토양(土壤)의 깊이별 지온(地溫)을 예측(豫測)하기 위한 통계모형(統計模型)을 설정(設定)하기 위하여 1979년(年)부더 1988년(年)까지 중앙기상태(中央氣象台) 수원측후소(水原測候所)에서 관측(觀測)된 지온자료(地溫資料)와 평균최고(平均最高), 최저(最低), 기온(氣溫), 강수량(降水量), 풍속(風速) 및 최심적설량등(最深積雪量等) 기상자료(氣象資料)에 대(對)한 통계분석(統計分析)을 하였다. 통계분석(統計分析)은 지온(地溫)을 Fourier 급수(級數)에 의한 년주기함수(年週期函數)와 년주기함수(年週期函數)에서의 잔차(殘差)는 대기(大氣)의 기상조건(氣象條件)의 변화(變化)에서 오는 노이지(nuise)로 보고 이에 대한 상관분석(相關分析)을 stepwise backward elimination법(法)에 의하여 각(各) 계수(係數)를 찾는 방법(方法)으로 하였다. 깊이별(別) 지온(地溫)의 년주기함수(年週期函水)로 Fourier급수(級數)의 8항(項)을 사용(使用)하였을 때 지면온도(地面溫度)의 평균평방오차(平均平方誤差)가 2.30, 토심(土深) 50 cm에서 1.13, 500 cm에서 0.42로 토심(土深)이 깊을수록 작아졌고, $r^2$는 0.913~0.988이었다. 주기함수분석(週期函數分析)에서 잔차(殘差)에 대한 독립변수(獨立變數)로서 평균(平均), 최고(最高), 최저기온(最低氣溫), 강수량(降水量), 최심적설(最深積雪) 및 풍속등(風速等) 기상요소(氣象要素)와의 상관분석(相關分析)을 위한 지연일수검출(遲延日數檢出)에 따르면, 기온(氣溫)은 토탐(土深) 0 cm와 5 cm에 대하여 0일(日), 30 cm까지는 -1일(日), 50 cm에서는 -2일(日)이었다. 강수량(降水量)의 지연일수(遲延日數)는 30 cm까지 -1일(日), 50 cm에서 -2일(日), 최심적설(最深積雪)과 풍속(風速)은 10 cm까지가 -1일(日), 30 cm까지 -2일(日), 50 cm에서는 -3일(日)이었다. 지연일수(遲延日數)를 고려(考慮)한 잔차분석(殘差分析)에 의한 지온예측(地溫豫測) 통계모형(統計模型)의 평균평방오차(平均平方誤差)는 토심(土深) 0 cm에서 1.64, 50 cm에서 0.97로 주기함수(週期函數)의 평균평방오차(平均平方誤差)보다 작아졌으며, $r^2$값은 높아져 통계모형(統計模型)의 정도(精度)가 높아졌다. 계수(係數)의 크기로 보아 년주기함수(年週期函數)에 독립적(獨立的)인 대기(大氣) 기상요소(氣象要素)가 지온(地溫)의 결정(決定)에 크게 영향(影響)을 주는 깊이는 30 cm이며, 기온(氣溫)은 50 cm깊이까지도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통계모형(統計模型)의 검정결과(檢定結果) $r^2$값이 0.976~0.996으로 예측치(豫測値)와 실측치간(實測値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어 실용성(實用性)이 있었다. 한편, 토양표면(土壤表面)의 최고지온(最高地溫)과 최고기온(最高氣溫)의 차(差)(${\Delta}T_{ms}$)를 옥수수포장(圃場)에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Delta}T_{ms}$와 일사량(日射量)($R_s;J_m{^{-2}}$)과 직선적(直線的)인 관계(關係)로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그 이하(以下) 일 때에는 $${\Delta}T_{ms}=0.902+1.924{\times}10^{-3}R_s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그 이상(以上)일 때에는 $${\Delta}T_{ms}=0.274+8.881{\times}10^{-4}R_s$$ 의 관계(關係)가 있었다.

  • PDF

노인의 고관절 RO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p Joint ROM of the Elderly)

  • 엄기매;양윤권;장수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7-7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verage of hip joint range of motion an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ing for the elderly. This study consisted of elder male(n=75) and elder female(n=109). The result of assessment and analysis in hip pint range of motion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hip flexion(knee flexed)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from sixty to sixty-nine)years old are $104.26^{\circ}$(Left-Male), $101.00^{\circ}$(Right-Male), $107.05^{\circ}$(Left-Female), $107.05^{\circ}$(Right-Female). 70-79years old are $104.59^{\circ}$(L-M), $102.05^{\circ}$(R-M), $105.73^{\circ}$(L-F), $108.75^{\circ}$(R-F). 80-89years old are $101.53^{\circ}$(L-M), $101.13^{\circ}$(R-M), $96.83^{\circ}$(L-F), $97.6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flexion(knee flexed) among female group(p<.01). The average hip flexion(knee extended)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from sixty to sixty-nine)years old are $73.13^{\circ}$(Left-Male), $72.04^{\circ}$(Right-Male), $77.29^{\circ}$(Left-Female), $75.97^{\circ}$(Right-Female). 70-79years old are $74.95^{\circ}$(L-M), $72.19^{\circ}$(R-M), $76.73^{\circ}$(L-F), $76.65^{\circ}$(R-F). 80-89years old are $70.83^{\circ}$(L-M), $70.37^{\circ}$(R-M), $69.00^{\circ}$(L-F), $69.00^{\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hip flexion(knee extended) among female group(p<.05). 2) The average hip extens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13.09^{\circ}$(L-M), $12.78^{\circ}$(R-M), $10.97^{\circ}$(L-F), $10.68^{\circ}$(R-F). 70-79years old are $8.95^{\circ}$(L-M), $8.48^{\circ}$(R-M), $11.24^{\circ}$(L-F), $10.90^{\circ}$(R-F). 80-89 years old are $8.40^{\circ}$(L-M), $8.23^{\circ}$(R-M), $7.33^{\circ}$(L-F), $7.33^{\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p<.01) and right(p<.05) hip extension among male group(p<.05). 3) The average hip abduct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 years old are $33.04^{\circ}$(L-M), $33.17^{\circ}$(R-M), $33.16^{\circ}$(L-F), $33.37^{\circ}$(R-F). 70-79 years old are $31.00^{\circ}$(L-M), $30.05^{\circ}$(R-M), $32.44^{\circ}$(L-F), $32.68^{\circ}$(R-F). 80-89 years old are $29.07^{\circ}$(L-M), $27.90^{\circ}$(R-M), $28.17^{\circ}$(L-F), $28.67^{\circ}$(R-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4) The average hip adduction p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29.57^{\circ}$(L-M), $29.35^{\circ}$(R-M), $31.87^{\circ}$(L-F), $31.89^{\circ}$(R-F). 70-79, years old are $27.41^{\circ}$(L-M), 27.00(R-M) $30.85^{\circ}$(L-F), $31.28^{\circ}$(R-F). 80-89 years old are $26.87^{\circ}$(L-M), $26.63^{\circ}$(R-M), $24.67^{\circ}$(L-F), $24.83^{\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abduction among female group(p<01). 5) The average hip external rotation p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32.26^{\circ}$(L-M), $31.17^{\circ}$(R-M), $33.53^{\circ}$(L-F), $34.42^{\circ}$(R-F). 70-79 years old are $31.64^{\circ}$(L-M), $28.62^{\circ}$(R-M) $31.29^{\circ}$(L-F), $31.45^{\circ}$(R-F). 80-89 years old are $26.40^{\circ}$(L-M), $26.07^{\circ}$(R-M), $24.77^{\circ}$(L-F), $24.2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male, female p<.01) and right(female p<.0l) hip external rotation among group. 6) The average hip internal rotat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30.30^{\circ}$(L-M), $28.13^{\circ}$(R-M), $34.27^{\circ}$(L-F), $36.03^{\circ}$(R-F). 70-79years old are $31.24^{\circ}$(L-M), $29.57^{\circ}$(R-M), $28.51^{\circ}$(L-F), $29.10^{\circ}$(R-F). 80-89 years old are $24.63^{\circ}$(L-M), $24.40^{\circ}$(R-M), $24.27^{\circ}$(L-F), $24.2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male p<.05, female p<.01) and right(female p<.01) hip internal rotation among group.

  • PDF

독립영양 황탈질 미생물을 이용한 관정형 반응벽체의 현장적용성 연구 (Pilot-scale Applications of a Well-type Reactive Barrier using Autotrophic Sulfur-oxidizers for Nitrate Removal)

  • 이병선;엄재연;이규연;문희선;김양빈;우남칠;이종민;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3호
    • /
    • pp.40-46
    • /
    • 2009
  • 독립영양 황탈질 미생물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이용한 질산염 오염지하수 정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3열의 관정형 반응벽체(길이 $\times$ 너비 $\times$ 깊이 = $3m\;{\times}\;4\;m\;{\times}\;2\;m$)를 한국농어촌공사 수리시험장(길이 $\times$ 너비 $\times$ 깊이 = $8m\;{\times}\;4\;m\;{\times}\;2\;m$)에 설치하고 현장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전자공여체로 총 80 kg의 황입자를, 탈질미생물로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준비하였다. 황입자 표면에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부착하는 1톤 용량 물통 실험에서, Thiobacillus denitrificans는 질산염 농도 375 mg/L(6.1 mM)의 오염수를 11일 경과 후 ~12% (0.7 mM), 18일 경과 후 ~24%(1.3 mM), 32일 경과 후 ~45%(2.4 mM), 그리고 부착 종료 시(60일)까지 ~52%(2.8 mM)를 제거하며 황입자 표면에 성공적으로 부착 증식하였다. 이후, Thiobacillus denitrificans가 부착된 황입자를 3열의 관정형 반응벽체(각 열 간격 1 m)에 주입하여 황탈질 미생물 관정형 반응벽체를 설치하였다. 초기 질산염 농도 평균 181 mg/L 인 인공오염지하수에 대하여 28일 간 1차 정화실험을 실시하였고, 평균 281 mg/L 인 인공오염지하수에 대하여 14일 간 2차 정화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 실험의 인공오염지하수(2.9 mM)는 1열 반응 후 ~2%(0.06 mM), 2열 반응 후 ~9%(0.27 mM), 3열 반응 후 ~15%(0.44 mM)의 질산염이 제거되었다. 2차 실험의 인공오염지하수(4.5 mM)는 1열 반응 후 ~1%(0.02 mM), 2열 반응 후 ~6%(0.27 mM), 3열 반응 후 ~8%(0.37 mM)가 제거되었다. 실험 기간 중 인공오염지하수의 주입용량은 $1.24\;m^3/d$, 유속은 0.44 m/d를 유지하였고, pH는 6.7~8.3, DO는 0.9~2.8 mg/L 범위로 큰 변화가 없었다. 본 관정형 반응벽체 실험의 낮은 정화효율의 원인은 인공오염지하수에 대한 Thiobacillus denitrificans의 탈질 소요 시간 부족, 관정형 반응벽체의 개별 관정사이로 빠져나가는 인공오염지하수체, 그리고 질산염 환원효소의 활성 및 생성을 억제시키는 용존산소의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 때문으로 추정된다. 황탈질 관정형 반응벽체의 현장적용시에는 탈질반응에 필요한 체류시간, 관정형 반응벽체의 개수 및 간격, 그리고 용존산소 농도 등 해당 오염부지의 고유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