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Diagnosis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8초

Risk Factors for Predicting Hypoxia in Adult Patients Undergoing Bronchoscopy under Sedation

  • Choi, Ji Soo;Lee, Eun Hye;Lee, Sang Hoon;Leem, Ah Young;Chung, Kyung Soo;Kim, Song Yee;Jung, Ji Ye;Kang, Young Ae;Park, Moo Suk;Chang, Joon;Kim, Young Sa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4호
    • /
    • pp.276-282
    • /
    • 2020
  • Background: Flexible bronchoscopy is one of the essential procedur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ulmonary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hypoxia in adults undergoing flexible bronchoscopy under sed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520 patients who underwent flexible bronchoscopy under sedation at our tertiary care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January 1, 2013-December 31, 2014. Hypoxia was defined as more than 5%-point reduction in the baseline percutaneous oxygen saturation (SpO2) or SpO2 <90% for >1 minute during the procedure. Results: The mean age was 64.7±13.5, and 565 patients developed hypoxia during the procedure. The mean sedation duration and midazolam dose for sedation were 31.1 minutes and 3.9 mg, respectively. The b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lder age, a low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use of endobronchial ultrasound, the duration of sedation, and the midazolam dose wer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hypoxia during the procedure, while the multivariate analysis found that age >60 (odds ratio [OR], 1.32), a low FEV1 (OR, 0.99), and a longer duration of sedation (>40 minutes; OR, 1.33)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older than age 60 and those with a low FEV1 tend to develop hypoxia during the bronchoscopy under sedation. Also, longer duration of sedation (>40 minutes)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hypoxia.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과 임상검사수치의 관련성에 관한 비교 연구 (Study on Fatty Liver Duagnos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linical Laboratory Findings)

  • 양정화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1호
    • /
    • pp.7-11
    • /
    • 2006
  • 서울 소재 C 건강검진센터에서 시행한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간염이나 만성 간질환 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방간의 소견을 보이는 200명의 환자(지방간군)와 정상소견을 보인 환자 200(비지방간군)을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혈압과 간기능 검사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수축기 혈압이 높은 경우는 지방간군이 15명(7.5%)이었으며, 비지방간군은 0명(0%)였으며, 확장기 혈압이 높은 경우에는 지방간군이 9명(4.5%), 비지방간군에서 0명(0%)으로 지방간군에서 유의하게 수축기 및 확장기 고혈압이 많았다. 2. 지방간과 혈중지질대사의 관계를 보면 Total cholesterol은 지방간군이 212.1 mg/dl, 비지방간군이 193.4 mg/dl로 지방간군일수록 높았으며, HDL-Cholesterol는 지방간군이 52.9 mg/dl, 비지방간군이 67.9 mg/dl로 비지방간군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rigryceride는 지방간군이 199.8 mg/dl, 비지방간군이 134.8 mg/dl로 지방간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DL-Cholesterol는 지방간군이 126.6 mg/dl로, 비지방간군이 112.7 mg/dl로 지방간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지방관과 간기능의 관계를 보면 SGOT가 비정상인 경우는 지방간군에서 11명(5.5%), 비지방가군에서 0명(0%)으로 지방간군에서 많았고, SGPT가 비정상인 경우는 지방간군에서 59명(29.5%), 비지방간군에서 0명(0%)으로 유의하게 지방간군에서 많았다.

  • PDF

Prenatal diagnosis of a de novo ring chromosome 11

  • Park, Ju-Yeon;Lee, Moon-Hee;Lee, Bom-Yi;Lee, Yeon-Woo;Ryu, Hyun-Mee;Park, So-Yeo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80-83
    • /
    • 2007
  •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는 매우 낮은 빈도로 발견되는 염색체 이상으로 모든 번호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끝곁 매듭 염색체(acrocentric chromosome)에서 빈번하게 관찰 된다. 본 증례는 ring chromosome(고리염색체)11의 산전진단에 관한 것이다. 산모는 36세의 여성으로 모체혈청검사에서 에드워드 증후군의 표시인자가 증가되어, 태아의 염색체 검사를 위해 임신 19.5주에 양수천자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46,XX,r(11)[65]/45,XX,-11[16]/46,XX[34]로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 11이 mosaic으로 관찰되었다. 혈액을 이용한 부모 염색체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임신 20주에 실시된 정밀초음파 검사에서는 자궁내성장장애(IUGR) 소견을 보였다. 모자익시즘의 확인을 위해 임신 22주에 재대 혈액을 이용한 두번째 염색체 검사 결과는 46,XX,r(11)(p15.5q24.2)[229]/45,XX,-11 [15]이었으며 첫번째 검사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양한 형태의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가 소수의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11에 대한 FISH 검사에서는 11 염색체의 장완과 11 염색체의 단완의 subtelomeric 부위가 결실되어 있었다.

  • PDF

지방간 진단에 있어 초음파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Clinical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the Diagnosis of Fatty Liver)

  • 안현;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49-357
    • /
    • 2019
  • 본 연구는 초음파상 지방간을 세 등급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어떠한 임상적 의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6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부산 P 검진센터에서 복부초음파 검사를 받은 3607명 중 지방간으로 진단된 1047명(남 818명, 여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상 간 실질의 에코정도, 음향감쇄정도, 간 내 혈관 및 횡격막이 보이는 정도에 따라 Grade I 군(경증 지방간), Grade II 군(중등도 지방간), Grade III 군(중증 지방간)의 세 등급으로 분류하고, 각 군별 비만지표(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액학적 분석 및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로 지방간 등급이 올라갈수록 남자는 여자에 비해 중증 지방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지방간 등급이 올라 갈수록 각 군별 평균연령이 높게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지방간 등급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 혈액학적 분석에서는 남자는 AST, ALT, ${\gamma}-GTP$, TG, 공복혈당, 당화혈색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여자는 ALT, ${\gamma}-GTP$, TG에서 지방간의 등급이 올라갈수록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녀 모두 지방간의 등급이 올라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연구결과를 기초로 초음파상 지방간을 등급에 따라 세분하여 적용함에 있어 혈액학적 변수, 대사증후군 등을 고려하여 지방간 등급을 나눈다면 지방간의 치료 및 경과관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족관절 인대 손상 치료 동향: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회원 설문조사 분석 (Current Trends in the Treatment of Ankle Ligament Injuries: Analysis of the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KFAS) Member Survey)

  • 조병기;조재호;이명진;이준영;배서영;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학술위원회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2-29
    • /
    • 2022
  • Purpose: Despite continuous updates of standard treatment guidelines for acute ankle sprain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in practice preferred treatment protocols vary widely. Based on a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KFAS) member survey, this study reports current trends in the management of ankle ligament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A web-based questionnaire containing 34 questions was sent to all KFAS members in September 2021. Questions mainly addressed clinical experience and preferenc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kle ligament injuries. Answers with a prevalence of ≥50% among respondents were considered to reflect tendencies. Results: Eighty-four of the 550 members (15.3%) responded. Answers that showed a tendency were as follows: commonest additional image study (ultrasound), conservative treatment modality (immobilization, oral medication), frequency of surgical treatment (<5 cases per annum), most important factor when deciding on surgical treatment (activity level, e.g., occupation or sport), and commonest surgical procedure (open ligament repair). Answers that showed a tendency for CAI were as follows: most important symptom (repeated sprain, giving way), radiological factors (talar tilt, osteochondral lesion, anterior talar translation), and patient factors (occupation, sports activities, recurrent instability after surgery, etc.). For decision making regarding surgical treatment and method, the most preferred surgical procedure was the modified Broström procedure, and the most common repair technique was suture anchor technique.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poor prognostic factors; generalized laxity, failed previous surgery, cavovarus, severe mechanical instability, heavy work, obesity, and dissatisfaction after surgery because of residual pain. Conclusion: This study updates information regarding current trends in the management of ankle ligament injuries in Korea, and reveals consensus opinions and variations in approaches to patients with an acute or chronic injury. The divergence of approaches identified indicates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standard guidelines and long-term results.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적 접근 (Diagnostic Approach to a Soft Tissue Mass)

  • 전영수;송승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3-301
    • /
    • 2019
  • 사지와 몸통의 연부조직 종양은 정형외과 의사가 직면할 수 있는 흔한 문제이다. 비록 연부조직 종양은 대부분 양성이지만 정형외과 의사는 양성과 악성 종양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연부조직 종양의 임상적 특징 및 역학을 이해하게 되면 올바른 진단 및 수술적인 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종양의 크기와 깊이는 종양의 진단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종양의 감별 진단을 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상세한 병력청취와 자세한 신체 검사가 필요하며, 이후 단순 방사선 촬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뼈 스캔, 혈관 조영술 등의 다양한 영상 촬영법을 사용하여 종양을 진단하고 진단된 종양의 특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특히 초음파 검사는 외래에서도 쉽게 수행할 수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검사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종양의 생검을 통한 조직검사는 종양에 대한 모든 영상 검사를 시행한 후 최종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조직 검사를 시행할 때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최종적인 진단 후에는 치료를 위해 다각적인 접근을 시행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경험 있는 근골격계 종양전문의사에게 의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체 내 경골의 피질골에서 시간역전 램파의 군속도와 피질골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the group velocity of time-reversed Lamb waves and cortical bone properties in tibial cortical bone in vivo)

  • 이강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59-564
    • /
    • 2023
  • 노화 및 골다공증으로 인한 경골 또는 요골과 같은 긴 뼈의 외부 껍질을 구성하는 피질골의 골강도 변화는 골절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역전법을 이용하여 생체 내 경골의 피질골에서 발생된 시간역전 램파의 군속도를 측정하고, 군속도가 피질골의 골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cortical bone thickness(cTh) 및 cortical bone mineral density(cBMD)와 갖는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7명의 실험대상자의 우측 경골에서 측정된 시간역전 램파의 군속도는 cTh와 r = 0.90(p < 0.0001)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cBMD와는 r = 0.69(p < 0.0001)의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생체 내 연구의 한계점은 단지 7명의 건강한 성인으로 구성된 정상군에 대하여 시간역전 램파의 군속도가 측정되었다는 것이다. 향후 다수의 건강한 성인 및 골다공증 환자로 각각 구성된 정상군 및 골다공증군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시간역전 램파의 임상적 유용성이 입증된다면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량적 초음파 기술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간역전 램파의 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골격 부위를 경골뿐만 아니라 대퇴골 또는 요골까지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유방 양성 종괴 추적 관찰 환자에게서 발견된 관상피내암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Intraductal Carcinoma Detected in a Patient Undergoing Surveillance for Benign Breast Mass)

  • 문일봉;곽종길;전철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43-749
    • /
    • 2023
  • 유방의 관상피내암(DCIS; ductal carcinoma in situ)은 유방의 상피세포가 악성화되었지만, 아직 정상적인 유관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를 지칭하며,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에서 추적관찰 2년 동안은 유방 촬영술 및 초음파 검사상 병변은 BI-RADS Category 3으로 분류되는 작은 mass가 관찰되었지만 낭성 mass 소견을 보여, 전형적인 악성 종양의 소견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추적관찰 2년째에 유방초음파상 우측 유방 6시 방향에 불분명한 경계(Lobulated margin)를 보이는 저에코(hypoechoic) 종괴가 약 2.1 × 1.3 cm 크기로 보였으며 조직 검사상 관상피내암으로 진단되었다. 관상피내암은 특징적인 임상소견이 없고 초기에 양성의 임상,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시행하는 것이 조기 진단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방촬영술과 초음파 검사로 관상피내암을 발견하는 것은 유방암 환자 전체의 예후를 좋게 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4년 전 처음 검사 시 증상이 없으며 유방촬영상 정상이고 유방초음파상 악성 징후 없는 낭성병변이 추적관찰 중에 관상피내암의 소견인 비대칭 음영과 미세석회화, 분엽상의 mass가 관찰된 관상피내암의 증례를 보고한다.

Prenatal Diagnosis of the 22q11.2 Duplication Syndrome

  • Lee, Moon-Hee;Park, So-Yeon;Lee, Bom-Yi;Choi, Eun-Young;Kim, Jin-Woo;Park, Ju-Yeon;Lee, Yeon-Woo;Oh, Ah-Rum;Lee, Shin-Young;Yang, Jae-Hyug;Ryu, Hyun-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6권2호
    • /
    • pp.175-178
    • /
    • 2009
  • 22q11.2미세중복 증후군은 학습장애, 선천적 기형에서부터 정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증후군으로써, 22q11.2 미세결실 증후군인 DiGeorge 증후군과 동일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이러한 원인은 유전적 불안정성이 높은 low-copy repeats (LCR) 부위에서 일어나는 유전체의 결손이나 중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array CGH가 임상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22q11.2 미세중복 증후군의 진단이 증가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22q11.2 부위의 미세중복이나 미세결실의 빈도는 동일하게 발생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미세결실에 비해 미세중복의 증례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물며 이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전 보고에서 산전에 발견된 미세중복의 증례는 단1례 만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산전에 진단된 22q11.2 미세중복 증후군 1례의 보고를 통해 유전상담의 중요성과 array CGH의 임상 적용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한우에서의 초음파화상진단에 관한 연구 (Fundamental Studies on the Ultrasonographic Diagnosis in Korean Native Cattle)

  • 김명철;박관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61-876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normal ultrasonogram of the liver and heart in Korean native cattle and calves. The interventricular septum,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left ventricular free wall thickness, aortic diameter, left atrial diameter, and righ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of hear in 10 Korean native calves were determined at 4-5 right intercostal spare by use of ultrasonography. The caudal vena cava, portal vein, gallbladder, liver of 9 Korean native cattle and 10 calves were determined at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res by use of ultrasonography. Cursor-directed M-mode and gray-scale, B-mode ultrasonograms were obtained with electronic scanning ultrasound equipment with a 3.5 or 5.0-MHz convex transduc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 of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the korean native calves' heart 1) Interventricular septum in systole and diastole was 1.23 and 0.81 cm, respectively(vc=28.84, 17.4). 2)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in systole and diastole was 2.50 and 4.91 cm, respectively(vc=17.44, 12.73). 3) Left ventricular free was thickness in systole and diastole was 1.44 and 0.92 cm, respectively(vc=26.85, 23.54). 4) Aortic diameter was 2.69.m, .rspectevely(vc=11.29). 5) Left atrial diameter was 1.82 cm(vc=15.31). 6) Righ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in systole and diastole was 1.12 and 1.9 cm, respectively(vc=33.71, 24.43). 3. Ultrasonographic measurments of caudal vena cava, portal vein, gallbladder of Korean native calves 1) Dorsal margin of caudal vena cava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13.5, 15.3 and 18.1 cm, respectively(p<0.01). 3) Depth of caudal vena cava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4.4, 4.5 and 4.6 cm, respectively. 3) Diameter of caudal vena cava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11.6, 1.7 and 1.6 cm, respectively. 4) Dorsal margin of portal vein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16.2, 18.6 and 21.4 cm, respectively(p<0.01) 5) Depth of portal vein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re was 4.5, 4.4 and 3.9 cm respectively. 6) Diameter of portal vein at the 13,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2.1, 2.2 and 1.9 cm respectively. 7) Dorsal margin of gallbladder at the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23.6 and 23.9 cm, respectively(p<0.01), 8) Longitudinal diameter of gallbladder at the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7.1 and 5.9 cm, respectively(p<0.05). 9) Transverse diameter of gallbladder at the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2.4 and 2.1 cm respectively(p<0.01). 3. Ultrasonographic measurments of caudal vena cava, portal vein, gallbladder of Korean native cattle 1) Dorsal margin of caudal vena cava at the 12 and 11th intercostal space was 22.2, and 25.4 cm, respectively(p<0.01). 2) Depth of caudal vena cava at the 12 and 11th intercostal space was 103 and 11.1 cm, respectively(p<0.01). 3) Diameter of caudal vena cava at the 12 and 11th intercostal space was 3.1 and 3.0 cm, respectively. 4) Dorsal margin of portal vein at the 12 and 11th intercostal space was 29.3 and 32.9 cm, respectively(p<0.01). 5) Depth of portal vein at the 12 and 11th intercostal space was 9.6, and 9.2 cm, respectively. 6) Diameter of portal vein at the 12 and lith intercostal space was 3.4 and 3.3 cm, respectively. 7) Dorsal margin of gallbladder at the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43.1 and 45.5 cm, respectively(p<0.01). 8) Longitudinal diameter of gallbladder at the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10.1 and 9.4 cm, respectively. 9) Transverse diameter of gallbladder at the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4.0 and 3.7 cm, respectively. 4, Ultrasonogaphic measurments of dorsal margin, ventral margin, size and angles of the Korean native calves' liver. 1) Dorsal margin of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11.0, 9.6, and 12.4 cm, respectively(p<0.01). 2) Ventral margin of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te was 20, 24 and 26.1 cm, respectively(p<0.01). 3) Size of the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9.0, 14.6 and 13.8 cm, respectively(p<0.01). 4) Angle of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40, 46 and 37, respectively(p<0.01). 5. Ultrasonographic measurmants of dorsal margin, ventral margin, size and anglses of the korean native cattle's liver 1) Dorsal margin of the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14.4, 18.2 and 26, 3 cm, respectively. 2) Ventral margin of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41.1, 46.4 and 49.3 cm, respectively(p<0.01). 3) Size of the liver at the 12, 11 and 10th intercostal space was 26.8, 28.2 and 23.2 cm, respectively(p<0.01). 4) Angel of liverat the 15, 11 and 10 intercostal space was 41, 40.6 and 35.7, respectively(p<0.05). It was concluded that the ultrasonographic values oleterm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s for the diagnosis of morphologic changes in the hear and liver in korean native calves, and in the liver in korean native ratt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