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Diagnosis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3초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분석: 유방초음파 검진자 대상으로 (Analysis of Risk Factors Affecting Breast Cancer Incidence : Breast Ultrasonography)

  • 안현;양성희;임인철;이진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89-295
    • /
    • 2017
  • 일반적으로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위험인자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초음파 검사 전 실시하는 건강문진표 작성내용과 실제 초음파 검사에서 유방암 판정을 받은 환자를 바탕으로 관련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방초음파를 실시한 4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문진표를 작성하였고 양성, 악성으로 분류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방암 발생 관련인자로 나이, 체질량지수, 투약 종류에서 관련성을 보였으며(p<0.05), 다변량분석 결과 교차비(Odds ratio)는 나이에서 50대 이하를 기준으로 50대에서 4.93배, 체질량지수 정상군보다 비만군에서 2.43배 증가하였고 타목시펜과 여성호르몬제 투약 시에는 0.14배, 0.16배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정기적인 검사를 실시하고 적절한 체중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규명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음파검사에 의한 20대 정상 성인의 비장 크기 (A Spleen Size Measured by Ultrasound in 20's Normal Adults)

  • 김연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37-343
    • /
    • 2020
  • 비장종대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에는 감염성질환, 간경화, 기타 간질환, 비정상혈구에 의한 혈류질환, 림프계질환, 면역성질환 등이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비장의 크기를 아는 것은 비장의 정상 여부와 비장종대의 진단에 도움을 주며, 추적검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초음파검사에서 최대길이 12cm 미만, 두께 5cm 미만이면 정상적인 크기라고 여겨지나 성별, 인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20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로 비장크기를 측정하여, 비장 크기의 정상범위를 제시하고, 신장과 체중에 따른 비종종대 기준의 상한치 조정이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측정결과 남자 비장의 길이는 10.95±1.07 cm(8.9~13.9), 폭은 4.48±0.61 cm 이었으며, 여자 비장의 길이는 9.20±1.30 cm(6.8~12.0), 폭은 3.55±0.44 cm으로 남녀 간에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신장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비장의 길이는 증가하였으며(r=.57),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비장의 길이가 증가하는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가 있었다(r=.63). 정상 성인에서 비장의 길이가 12cm를 초과한 남자는 5명, 여자는 2명 이었으며, 13cm를 초과한 경우는 남성 2명이었다.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만성 콩팥병의 진단 (Diagnosis of Chronic Kidney Disease using Sonography)

  • 안유지;예수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3-159
    • /
    • 2017
  • 만성 콩팥질환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가 가능하지만 질병이 진행될수록 회복이 불가능해지며 결국 이식이나 투석 등 신대체요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초음파 검사는 콩팥암, 염증성질환, 결절성 질환, 만성콩팥질환 등을 진단하는 검사 방법으로 콩팥의 크기, 내부 에코의 특성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염증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현재 임상에서 질병의 정도는 사구체 여과율의 수치를 사용한다. 하지만 초음파에서도 염증과 질병의 정도 변화는 관찰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영상을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콩팥의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명도와 크기, 겉질과 속질의 불분명해지는 것을 수치로 정량화하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구체여과율과 비교하여 영상이 일치하는지 실험하였다. 전체 영상 105증례에서 정상 콩팥 영상 35증례, 초기 콩팥질환 영상 35증례, 말기 콩팥질환 영상 35증례로 실험하였다. 영상의 겉질의 명도를 구하고 겉질과 신동 부분의 명도차이를 기울기로 구했고, 초음파 특성상 매끄럽지 못한 부분의 그래프는 함수 regrass를 이용하였다. 크기감소는 원본 데이터의 값으로 구하였다. 분석한 결과 영상은 영상의학과 판독과 일치하였고, 사구체 여과율과 비례하였다. 이는 향후 알고리즘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초음파 영상의 질병에 대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adial Probe Endobronchial Ultrasound Using Guide Sheath-Guided Transbronchial Lung Biopsy in Peripheral Pulmonary Lesions without Fluoroscopy

  • Hong, Kyung Soo;Ahn, Heeyun;Lee, Kwan Ho;Chung, Jin Hong;Shin, Kyeong-Cheol;Jin, Hyun Jung;Jang, Jong Geol;Lee, Seok Soo;Jang, Min Hye;Ahn, June H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4호
    • /
    • pp.282-290
    • /
    • 2021
  • Background: Radial probe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lung biopsy (RP-EBUS-TBLB) has improved the diagnostic yield of bronchoscopic biopsy of peripheral pulmonary lesions (PPLs). The diagnostic yield and complications of RP-EBUS-TBLB for PPLs vary depending on the technique, such as using a guide sheath (GS) or fluoroscop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tility of RP-EBUS-TBLB using a GS without fluoroscopy for diagnosing PPL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from 607 patients who underwent RP-EBUS of PPLs from January 2019 to July 2020. TBLB was performed using RP-EBUS with a GS without fluoroscopy. The diagnostic yield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diagnostic yields. Results: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was 76.1% (462/607). In multivariable analyses, the size of the lesion (≥20 mm; odds ratio [OR], 2.06; 95% confidence interval [CI], 1.27-3.33; p=0.003), positive bronchus sign in chest computed tomography (OR, 2.30; 95% CI, 1.40-3.78; p=0.001), a solid lesion (OR, 2.40; 95% CI, 1.31-4.41; p=0.005), and an EBUS image with the probe within the lesion (OR, 6.98; 95% CI, 4.38-11.12; p<0.001) were associated with diagnostic success. Pneumothorax occurred in 2.0% (12/607) of cases and chest tube insertion was required in 0.5% (3/607) of patients. Conclusion: RP-EBUS-TBLB using a GS without fluoroscopy is a highly accurate diagnostic method in diagnosing PPLs that does not involve radiation exposure and has acceptable complication rates.

Sonovue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한 장비 간 Mechanical Index의 변화에 따른 신호 강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Signal Strength of Mechanical Index Using Ultrasound Machines with SonoVue Contrast)

  • 김명석;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19
  • 본 실험의 목적은 SonoVue를 이용하여 장비 간 MI 값 및 시간 변화에 따른 관계를 유추해 보고, 신호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 장비 모두 MI 값 증가에 따라 초기에 강한 신호 값을 보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장비 간 신호 값은 RS85A의 MI 0.1의 조건의 10분경과를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신호 감소를 보였다. 장비 간 비교에서 EPIQ7, RS85A, E9순으로 높은 값이 나왔고, RS85A와 E9의 SNR과 CNR의 정량적 평가에서 모두 p-value<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EPIQ7에서의 MI 값의 SNR을 제외한 CNR과 시간에 따른 SNR, CNR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조영 증강 초음파 검사에 있어 낮은 MI 값 (MI<0.5)이더라도 장비 간 신호 강도 차이가 있으므로 MI 값과 시간을 조절하여 검사하는 것이 권고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소견을 보이는 성인에 대한 간 기능 및 hs-CRP 혈액 검사 항목 평가 (Evaluation of Liver Function and Blood Exam including hs-CRP in Adul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Findings)

  • 박정미;서영현;송종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43-952
    • /
    • 2022
  • 지방간 진단을 위한 검사로, 최근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동시에 병행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혈액검사 중 hs-CRP의 경우, 심혈관 질환 뿐 아닌,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대한 염증 수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비알콜성 지방간 정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와 간 기능 및 hs-CRP수치 등의 연관성을 분석해 지방간 진단 임상 지표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1년 3월~2021년 8월 한국 건강관리 협회 광주 전남지부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비알콜 지방간이 관찰된 환자 중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간 기능 및 hs-CRP 검사를 모두 실시한 만 20세 이상, 남녀 총 1,139명의 피검사 수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경도 지방간 환자의 간 검사 수치가 AST 30 U/L, ALT 32.1 U/L hs-CRP 0.14 mg/dL로 중등도 지방간 환자의 혈액 검사 수치 AST 38 U/L, ALT 47.6 U/L, 54.9 IU/L, hs-CRP 0.22 mg/dL보다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hs-CRP 검사의 경우 경도 지방간 환자보다 중등도 지방간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큼 높은 수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hs-CRP 검사가 지방간 예방과 관리를 위한 임상적 데이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layed Cancer Diagnosis in Thyroid Nodules Initially Treated as Benign With Radiofrequency Ablation: Ultrasound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for Cancer

  • Myoung Kyoung Kim;Jung Hee Shin;Soo Yeon Hahn;Haejun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9호
    • /
    • pp.903-911
    • /
    • 2023
  • Objective: Regrowth after radiofrequency ablation (RFA) of symptomatic large thyroid nodules, initially treated as benign, sometimes turns out to be malignanci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ultrasound (US) characteristics of thyroid nodules initially treated as benign with RFA and later diagnosed as cancers, predictive factors for cancers masquerading as benign, and methods to avoid RFA in these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34 consecutive patients with 148 nodules who underwent RFA between February 2008 and November 2016 for the debulking of symptomatic thyroid nodules diagnosed as benign using US-guided biopsy. We investigated the pre-RFA characteristics of the thyroid nodules, changes at follow-up after RFA, and the final surgical pathology. Results: Nodule regrowth after RFA was observed in 36 (24.3%) of the 148 benign nodules. Twenty-two of the 36 nodules were surgically removed, and malignancies were confirmed in seven (19.4% of 36). Of the 22 nodules removed surgically, pre-RFA median volume (range)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malignant nodules than for benign nodules: 22.4 (13.9-84.5) vs. 13.4 (7.3-16.8) mL (P = 0.0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growth interval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nodules (P = 0.49). The median volume reduction rate (range) at 12 months was significantly lower for malignant nodules than for benign nodules (51.4% [0-57.8] vs. 83.8% [47.9-89.6]) (P = 0.01). The pre-RFA benignity of all seven malignant nodules was confirmed using two US-guided fine-needle aspirations (FNAs), except for one nodule, which was confirmed using US-guided core-needle biopsy (CNB). Regrown malignant nodules were diagnosed as suspicious follicular neoplasms by CNB.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malignant nodules revealed follicular thyroid carcinomas, except for one follicular variant, 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Conclusion: Symptomatic large benign thyroid nodules showing regrowth or suboptimal reduction after RFA may have malignant potential. The confirmation of these nodules is better with CNB than with FNA.

Role of Endoscopic Ultrasound in Evaluation of 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s - Report of 22 Cases from a Tertiary Center in Iran

  • Haghighi, Shirin;Molaei, Mahsa;Foroughi, Forough;Foroutan, Mojgan;Dabiri, Reza;Habibi, Effat;Alizadeh, Amir Houshang Moham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537-4540
    • /
    • 2012
  • Background: The 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 (pNET) is relatively rare and generally felt to follow an indolent course. EUS has an important role in detection of pNET. This is a review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presentation and pathologic reports of 22 patients with pNET. Patient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presentations and pathologic reports of all relevant cases who were referred to Taleghani hospital for 3 years since 2008. Results: A total of 22 patients 28-74 years old (mean=49) were enrolled between 2008 and 2011. Among the total, 13 (59%) were male, 9 (41%) were female and 16 (72.7%) had functional tumors. The results of CT were negative in 12 (54%) cases but EUS was capable of detecting the lesions in these patients, cysts being found in 4 (19%) patients. Conclusion: EUS is a highly sensitive procedure for the localization of functional pNETs and especially insulinomas. Nonfunctional tumors were detected in more advanced and late stages and cystic lesions were more common in this group.

대화식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보건의료 데이터 질 관리 알고리즘 개발: 당뇨환자의 고혈압 동반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Healthcare Data Quality Control Algorithm Using Interactive Decision Tree: Focusing on Hypertension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 황규연;이은숙;김고원;홍성옥;박정선;곽미숙;이예진;임채혁;박태현;박종호;강성홍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3-74
    • /
    • 2016
  • Objectives :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ata quality management algorithm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care data using a data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ata quality control algorithms associated with diseases related to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 To make a data quality algorithm, we extracted the 2011 and 2012 discharge damage survey data from diabetes mellitus patients. Derived variables were created using the primary diagnosis, diagnostic unit, primary surgery and treatment, minor surgery and treatment items. Results : Significant factors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hypertension were sex, age, ischemic heart disease, and diagnostic ultrasound of the heart. Depending on the decision tree results, we found four groups with extreme values for diabetes accompanying hypertension patients. Conclusions : There is a need to check the actual data contained in the Outlier (extreme value) group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ata.

피하 조직에 발생한 나무 이물의 초음파 진단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Subcutaneous Wooden Foreign Body)

  • 최지혜;계서연;김성수;김혜진;장재영;최희연;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3-172
    • /
    • 2011
  • Subcutaneous foreign body causes recurrent problems such as chronic soft tissue swelling and discharge. Wooden foreign body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eign bodies found in subcutaneous region including face, interdigit, and thoracic or abdominal area. This report demonstrated three dogs with wooden foreign body located in subcutaneous region of thoracic wall, abdominal wall and upper eyelid, respectively. Three dogs showed prominent soft tissue swelling adjacent the foreign body. A sinus or drainage tract was developed in two of these dogs. Ultrasonography revealed that hyperechoic linear structure accompanied acoustic shadow in all dogs, and which was diagnosed as a subcutaneous foreign body. Anechoic or hyperechoic fluid and hypoechoic tissue circumscribed the foreign body. A subcutaneous foreign body in case 3 was removed by clamp under ultrasound-guide with sedation. Sinography was performed in case 1 and clarified that the wooden foreign body did not perforate the thoracic wall and there was no direct communication into thoracic cavity. Ultrasonography and sinography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ubcutaneous foreign body and evaluate the inflammatory re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body and adjacent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