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ltrasonography imaging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초

Comparison of Mammography in Combination with Breast Ultrasonography Versus Mammography Alon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in Asymptomatic Women

  • Boonlikit, Saraw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731-7736
    • /
    • 2013
  • Aim: To compare the agreement of screening breast mammography plus ultrasound and reviewed mammography alone in asymptomatic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ll breast imaging data were obtained for women who presented for routine medical checkup at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Thailand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3. A radiologist performed masked interpretations of selected mammographic images retrieved from the computer imaging database. Previous mammography, ultrasound reports and clinical data were blinded before film re-interpretation. Kappa valu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agreement between BIRADS assessment category and BIRADS classification of density obtained from the mammography with ultrasound in imaging database and reviewed mammography alone. Results: Regarding BIRADS assessment category, concordance between the two interpretations were good. Observed agreement was 96.1%. There was moderate agreement in which the Kappa value was 0.58% (95%CI; 0.45, 0.87). The agreement of BI-RADS classification of density was substantial, with a Kappa value of 0.60 (95%CI; 0.54, 0.66).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when a subgroup of patients aged ${\geq}60$ years were analyzed. In women in this group, observed agreement was 97.6%. There was also substantial agreement in which the Kappa value was 0.74% (95%CI; 0.49, 0.98).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concordance between mammography plus ultrasound and reviewed mammography alone in asymptomatic women is good. However, there is just moderate agreement which can be enhanced if age-targeted breast imaging is performed. Substantial agreement can be achieved in women aged ${\geq}60$. Adjunctive breast ultrasound is less important in women in this group.

The Impact of Abdominal Liposuction on Abdominally Based Autologous Breas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 Bond, Evalina S.;Soteropulos, Carol E.;Poore, Samuel 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3호
    • /
    • pp.324-331
    • /
    • 2022
  • Prior abdominal liposuction can be viewed as a relative or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abdominally based autologous breast reconstruction given concerns for damaged perforators and scarring complicating intraoperative dissection. This systematic review aims to explore the outcomes of abdominally based breast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abdominal liposuction. 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guid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from the earliest available date through June 2020.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muscle-sparing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TRAM), superficial inferior epigastric artery, and pedicled TRAM flaps were included for evaluation. Complications included total or partial flap loss, fat necrosis, seroma, delayed wound healing, and donor site complications. After in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336 non-duplicate articles were screened, yielding 11 for final review, representing 55 flaps in 43 patients. There was no instance of total flap loss, eight (14.5%) flaps developed partial loss or fat necrosis, three (5.4%) flaps had delayed wound healing, and two (4.6%) patients had donor site complications. Most authors (8/11) utilized some type of preoperative imaging. Doppler ultrasonography was the most used modality, and these patients had the lowest rate of partial flap loss or flap fat necrosis (8%), followed by those without any preoperative imaging (10%). In conclusion, this review supports that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ly based autologous breast reconstruction with a history of abdominal liposuction are not at an increased risk of flap or donor site complications. Although preoperative imaging was common, it did not reliably decrease complication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address the role of imaging in improving outcomes.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visual feedback exercise tools based on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in the elderly

  • Shin, Jang-Hoon;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9권4호
    • /
    • pp.287-29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ultrasound-based bar graph proportional to the quadriceps muscle thickness as a real-time visual feedback training tool in the elderl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wenty-four elderly pers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oral training group (n=8, group 1), ultrasound imaging group (n=8, group 2), and graph group (n=8, group 3). In the pre condition, all participants performed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of the quadriceps with knee extension three times with oral training. In the post condition, group 1 performed MVIC of the quadriceps with oral training, group 2 performed MVIC of the quadriceps with real-time visual feedback using ultrasound imaging, and group 3 performed MVIC of the quadriceps with real-time visual feedback using a bar graph proportional to the quadriceps muscle thickness, three times for all groups. Muscle thickness, activity (mean, peak), tone, stiffness, logarithmic decrement, relaxation, and creep were measured in both conditions in all participants. Results: Visual feedback with a bar graph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muscle thickness, mean muscle activity, and peak muscle activity compared with oral training and visual feedback with ultrasound imaging (p<0.05). Conclusions: Isometric training of the quadriceps with real-time visual feedback using a bar graph proportional to the quadriceps muscle thickness may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in improving muscle thickness and muscle activity. This study presented a tool that can help increase muscle thickness in the elderly.

폴리아크릴 아마이드겔을 이용한 유방확대술과 부작용: 네 개의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Radiologic Findings of Polyacrylamide Gel Mammoplasty and Its Complications: A Report of Four Case Series and Review of Literature)

  • 김종희;황지영;문진희;양익;우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30-238
    • /
    • 2022
  • 폴리아크릴 아마이드겔(polyacrylamide gel; 이하 PAAG)은 중국, 동유럽 등에서 유방 확대술에 이용되던 물질이었으나,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현재는 사용이 금지된 물질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국가의 여성들이 다른 국가로 이주하게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PAAG를 이용한 유방 확대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만나게 되었다. 이를 시행한 경우, 매우 다양한 영상의학적 소견을 보이며, 이로 인해 악성 종양이나 다른 진단과의 감별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다양한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해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한국에서의 PAAG 유방 확대술에 의한 부작용과 관련된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해 보고된 바가 적기 때문에, 이에 PAAG 유방 확대술을 시행한 네 개의 증례 통해 다양한 영상의학적 진단 도구를 통한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몸통에 생긴 메르켈 세포암종: 2예 증례 보고 및 영상 소견 고찰 (Merkel Cell Carcinoma of the Trunk: Two Case Reports and Imaging Review)

  • 오하윤;김동한;최윤선;김은경;김태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34-1139
    • /
    • 2023
  • 메르켈 세포암종은 드문 악성 피부종양으로 주로 두경부에 발생한다. 저자들은 몸통에 발생한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메르켈 세포암종의 그레이스케일 및 색 도플러 초음파 소견과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메르켈 세포암종은 초음파상 비균질 에코를 보이고 피부 및 피하층에 수직방향으로 저에코의 '연기기둥' 같은 선형 띠를 가지고 있었으며 내부에 혈류가 약간 증가되어 보였다. 한편 T1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저신호강도, T2 및 양자밀도강조영상에서 같은 층에 저신호강도의 선형띠와 함께 고신호강도로 보였으며,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메르켈 세포암종의 영상 소견이 비특이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특징적인 소견들은 이 질환을 조기 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방광 요로상피세포암: 영상의학적 관점 (Urothelial Carcinoma of the Bladder: Radiologic Perspective)

  • 김동원;윤성국;김상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033-1052
    • /
    • 2021
  • 방광암은 비교적 흔히 진단되는 암이며 재발이 흔해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방광암의 정확한 진단과 병기 평가는 어떤 치료를 할 것인지를 정하고 예후를 평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방광암의 임상적 병기 평가는 요도경유방광종양절제술로 진단과 치료를 겸해서 이루어졌지만, 저평가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수술 전 방광암의 위치, 크기, 근육층 침범 유무,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상부요로 암 유무 등을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정확히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다면 더욱 적절히 처치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의학과 의사는 먼저 방광암의 임상적인 특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영상 검사들의 종류와 특징, 한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발달로 방광 영상의 질 및 방광암의 진단과 평가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방광 이미징 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이 발표되어 객관적으로 방광암의 근육층 침범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방광암 치료 종류를 알고 그에 따른 치료 후 변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알아야 하겠다. 이 종설에서는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의 특징과 다양한 영상의학 검사와 소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3마리의 개에서 발생한 단일 간외성 문맥전신 단락 증례 (Single Ex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in 3 Dogs: CT Findings and Progress)

  • 이희천;지창무;문종현;조규완;김영기;강병택;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88-493
    • /
    • 2012
  • 두 마리의 말티즈견 (2살 중성화 암컷, 4개월 암컷)과 한 마리의 페키니즈견 (10살 수컷)이 구토, 식욕부진, 두위하강과 침흘림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혈액검사, 방사선검사,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이 진단을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실 검사에서 높은 간수치, 담즙산 수치, 암모니아 농도가 세 마리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두 마리의 환축에서 방사선검사 상 소간증이 확인되었다.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세 마리 모두 문맥전신 단락이 많이 의심되어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단일 간외성 문맥전신 단락으로 확인되었다. 진단 후 세마리는 모두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단락 혈관에 아메로이드 링을 적용하였다. 본 증례보고는 세 마리의 개에서 발생한 단일 간외성 문맥전신 단락 증례에 대한 임상적, 영상학적인 특징들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컴퓨터단층촬영이 문맥전신단락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유용한 진단기법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소아복부 종괴의 방사선학적 고찰 (Radiologic Evaluation of Intraabdomenal Masses in Childhood)

  • 권혁포;변우목;황미수;김선용;장재천;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3-42
    • /
    • 1988
  • 최근 5년간의 소아의 복부종괴 23예를 발생빈도, 부위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23예중 신경아세포종이 6예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Wilms 종양 5예, 담도낭종, 난소종양, 수신종 등의 순위였다. 2. 발생연령별로 분석해 본 결과 6세 이하가 78%(14예)를 차지했고 특히 후복강 종양은 6세 이하에 집중되어 있었다. 3. 부위별로는 후복강 종양이 60%(14예)로 가장 많았다. 4.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본 결과 1) 단순 복부촬영상 신경아세포종의 50%에서 특징적인 석회와 음영을 볼 수 있었고 후복강 종양의 대부분에서 비특이적인 석회화 음영을 볼 수 있었다. 2) 초음파 소견상 저에코, 고에코 또는 혼합에코 등의 종괴 내부성상을 알 수 있었으나 종괴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3) 경정맥 신우 조영촬영상 신우신배의 비정상적인 소견과 신장의 전위 소견으로부터 신장내 종양과 신장의 다른 부위의 종양을 구분할 수 있었다. 4) 전산화 단층촬영상 종괴 내부의 성상뿐만 아니라 종괴의 해부학적인 위치, 주위 구조와의 관계, 임파절이나 다른 부위로의 전이유무를 알 수 있었다.

  • PDF

유방암 환자의 MRI에서 발견된 병변의 악성 예측을 위한 점수체계: 진단적 능력과 이차 초음파 결정에 미치는 영향 (Scoring System to Predict Malignancy for MRI-Detected Lesions in Breast Cancer Patients: Diagnostic Performance and Effect on Second-Look Ultrasonography)

  • 권영걸;박아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379-394
    • /
    • 2020
  • 목적 유방암 환자의 MRI에서 발견된 추가적 병변의 악성 예측을 위한 점수체계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68명 유방암 환자의 86개 MRI 발견 병변(64 양성, 22 악성)이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스튜던트 t 검정, Fisher 정확검정, 로짓 회귀분석을 이용해 영상적 소견과 조직학적 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의미 있는 악성 시사 소견을 기반으로 한 점수체계를 설계하고 그 것의 진단적 능력을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BI-RADS) category와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 크기 ≥ 8 mm (p < 0.001), 주 병소와 동일한 사분면에 위치(p = 0.005), 지연기의 고원형 조영 증강(p = 0.010), T2 등신호(p = 0.034) 혹은 저신호 강도(p = 0.024), 불규칙한 종괴 모양(p = 0.028)이 악성과 관련 있었다. 이 소견들과 의심스러운 비종괴 내부 조영 양상을 바탕으로 한 점수체계는 BI-RADS의 진단적 능력을 향상시켰고(area under the curve, 0.918 vs. 0.727), 3개의 위음성 케이스를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22개의 불필요한 2차 초음파 검사(22/66, 33.3%)를 줄일 수 있었다. 결론 병변 크기, 주 병소와의 상대적 위치, 지연기의 조영 증강 양상, T2 신호강도, 종괴의 모양 및 비종괴 내부 조영 양상을 기반으로 한 점수체계는 유방암 환자의 MRI 발견 병소를 평가하는데 있어 정확도를 높여 줄 수 있다.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Modified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for Thyroid Malignancy: A Multicenter Validation Study

  • Sae Rom Chung;Hye Shin Ahn;Young Jun Choi;Ji Ye Lee;Roh-Eul Yoo;Yoo Jin Lee;Jee Young Kim;Jin Yong Sung;Ji-hoon Kim;Jung Hwan Bae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9호
    • /
    • pp.1579-1586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modified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K-TIRADS), and compare it with the 2016 version of K-TIRADS using the Thyroid Imaging Network of Kore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5, 5708 thyroid nodules (≥ 1.0 cm) from 5081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yroid ultrasonography at 26 institution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We used a biopsy size threshold of 2 cm for K-TIRADS 3 and 1 cm for K-TIRADS 4 (modified K-TIRADS 1) or 1.5 cm for K-TIRADS 4 (modified K-TIRADS 3). The modified K-TIRADS 2 subcategorized the K-TIRADS 4 into 4A and 4B, and the cutoff sizes for the biopsies were defined as 1 cm for K-TIRADS 4B and 1.5 cm for K-TIRADS 4A.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the rate of unnecessary biopsies of the modified K-TIRADS for detecting malignanc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16 K-TIRAD, which were stratified by nodule size (with a threshold of 2 cm). Results: A total of 1111 malignant nodules and 4597 benign nodules were includ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unnecessary biopsy rate of the benign nodules were 94.9%, 24.4%, and 60.9% for the 2016 K-TIRADS; 91.0%, 39.7%, and 48.6% for the modified K-TIRADS 1; 84.9%, 45.9%, and 43.5% for the modified K-TIRADS 2; and 76.1%, 50.2%, and 40.1% for the modified K-TIRADS 3. For small nodules (1-2 cm),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the modified K-TIRADS decreased by 5.2-25.6% and the rate of unnecessary biopsies reduced by 19.2-32.8%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16 K-TIRADS (p < 0.001). For large nodules (> 2 cm), the modified K-TIRADSs maintained a very high sensitivity for detecting malignancy (98%). Conclusion: The modified K-TIRADSs significantly reduced the rate of unnecessary biopsies for small (1-2 cm) nodules while maintaining a very high sensitivity for malignancy for large (> 2 cm) nodu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