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y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2초

서비스 유형에 따른 u-서비스 특성이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Factors Influenc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Intention of the u-Services Characteristics by Service Type)

  • 노미진;김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35-347
    • /
    • 2009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u-서비스에 대한 이용의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u-서비스 특성인 유비쿼티, 개인화, 접근가능성, 이동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태도와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유비쿼티, 접근가능성, 이동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태도는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무선인터넷 서비스 산업의 시장점유율 또는 잠재적 성장률을 고려할 때에 산업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서비스 보편화 이슈 분석 : 초고속인터넷과 이동전화를 중심으로 (Expansion of Universal Service into Broadband and Mobile Communications : The Case of Korea)

  • 이종용;이동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1호
    • /
    • pp.61-76
    • /
    • 2015
  • In general universal service in telecommunications means a regulatory tool to secure the availability of basic communication services like fixed telephony at an affordable price throughout a country. A re-evaluation of the scope of existing universal service, however, is becoming a core issue as the penetration and usage of broadband and mobile communications matures and a new ICT ecosystem emerg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universal service polices in Korea need adapting and updating to include broadband and mobile telephony in the universal service, which is based on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foreign countries' experiences : geographical ubiquity of a certain service and the market's ability to provide the service. The result shows the nationwide ubiquity of broadband and mobile communications exists but the ultimate goal pursued by universal service polices trying to make them available and affordable for all is being fulfilled by market dynamics in Korea. Thus, the inclusion of both services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 is regarded as an unnecessary regulation at present time and the expansion of universal service could be addressed as a long-term issue depending on market conditions in the future.

A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Level of U-Transformation of Ubiquitous Services

  • Kwon, Oh-Byung;Kim, Ji-Hoon;Choi, Keun-Ho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359-366
    • /
    • 2005
  • As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uT) is prevailing, applying uT is more likely to transform the legacy way of doing business to a new way with the goals of ubiquitous computing: strategic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y using them everywhere, every time, with any devices for any services. These opportunities naturally require the provision to assess the degree of the transformation from the legacy IT-based e-business to the uT-based business. However, research about assessing the degree of u-transformation has been still very few. Moreover, even deciding what is ubiquitous or not is obscure. Hence,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degree of u-transformation oriented by the teleology of ubiquitous service, which intends to fully make use of uT in creating new business of next gener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 developed the methodology to check whether the provided service is ubiquitous or not based on the capabilities that technologies have. and then, the methodology developed to assess the technical requirements that the uT should have when the transformation is considered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capability. A two-layered approach is introduced to assess not only the level of ubiquity but also the degree of u-transformation.

  • PDF

모바일 패션 쇼핑에 대한 소비자 특성의 효과 -시장 전문성, 혁신성, 구매경험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Mobile Fashion Shopping -Focusing on Market Mavenship, Innovativeness, Purchase Experience-)

  • 류은정;안수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1호
    • /
    • pp.89-102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including market mavenship, innovativeness, and purchase experience by mobile on the mobile fashion shopping.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wide consumer panels through online survey. A total of 306 subjects aged from 20 to 39 years old and had purchased fashion goods using mobile device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serie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dentified four dimensions of mobile fashion shopping features such as tangibility, ubiquity, security and personaliz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characteristics, mobile fashion shopping features, and consumer behavior. Market maven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features of mobile fashion shopping. Innovativeness negatively influenced tangibility, ubiquity, and personalization. Each construct of mobile shopping features positively affected satisfaction while security had only a direct negative impact on purchasing inten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Purchase experience of mobile fashion shopping partially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features of mobile fashion shopping. These results provide a practical implication theoretical support for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mobile fashion shopping in term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제주도 토양 중 이온계 농약의 흡착 및 용탈 특성 (Adsorp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Ionic Pesticides in the Soils of Jeju Island, Korea)

  • 전시범;현익현;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689-700
    • /
    • 2019
  • The adsorp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five ionic pesticides including four acidic pesticides (2,4-D, dicamba, MCPA, and MCPP) and one amphoteric pesticide (imazaquin) in agricultural soils were investigated. Soils around spring waters that were heavily affected by pesticide run-off and soils around well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Jeju Island were collected at 24 stations. The Freundlich constant, $K_F$ value, which is a measure of the adsorption capacity, decreased in the order of 2,4-D > MCPA > MCPP > dicamba > imazaquin.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se ionic pesticide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owing to the effects of ionization of pesticides and different ionizable functional groups of soils. The leaching of ionic pesticides in the soil column showed a reverse relationship with their adsorption in soils, namely, the ionic pesticides were leached more quickly for the pesticides with lower adsorption capacity.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of the ionic pesticides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imazaquin > MCPA > MCPP > dicamba > 2.4-D according to the groundwater ubiquity score based on soil Koc and the half-life of the pesticide.

소셜 로그인 서비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Social Login Services: The Moderating Role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 구소연;고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4호
    • /
    • pp.1-21
    • /
    • 2018
  •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the Internet, it is becoming more common to provide or use a social login for registering for services. Her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curity, individual innovativeness, ubiquity and brand awareness on the use of social log-in service through the individuals' attitude who have memorized various IDs and passwords b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addition, the effect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ogin characteristic factors and attitudes toward social login services are examined.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the social login service are the security, ubiquity,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Moreover, the individual innovativeness is found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factor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security) and attitude toward the social login service. Positive attitudes increase with the usefulness, ease of using social login serive when individual innovativeness is high. On the other hand, when individual innovativeness is low, the stronger the effect of security on attitude toward the social login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흡착성에 따른 용탈 잠재성 평가 (Leaching potential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as affected by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찬섭;이병무;임양빈;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9-319
    • /
    • 2002
  • 주요 농약 5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이온성 농약인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고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 3종의 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토양에 대한 Freundlich 흡착계수(K)는 ethoprophos $0.35{\sim}0.95$, iprobenfos $0.98{\sim}2.2$, procymidone $1.2{\sim}4.3$, isoprothiolane $1.5{\sim}3.5$, butachlor $7.9{\sim}19$ 범위이었고, 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ethoprophos는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또한 유기물에 대한 흡착계수(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 (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하여 용탈잠재성을 평가하였다. 두 평가방법에 의하여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은 중간 정도의 용탈 가능성이 있고 ethoprophos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utachlor와 procymidone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양토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식양초에 비하여 농약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국내등록농약의 용탈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Leaching Potential for Pesticides Registered in Korea)

  • 김찬섭;이희동;임양빈;김정한;임건재;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2-278
    • /
    • 2006
  • 국내 등록농약 중 용탈 가능성이 있는 농약을 발굴할 목적으로 토양잔류반감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동성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변수인 흡착성적을 수집하여, 용탈 가능성 평가수단인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값을 산출하여 국내 등록농약의 용탈 가능성 순위를 결정하였다. 용탈성 평가 대상 농약 성분 382성분 중 297성분의 국내 토양잔류성적을 정리 평가하였다. 논토양과 밭토양 각각 107성분 및 244성분에 대한 국내잔류성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농약 DB자료 등에서 조사한 농약성분별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 성적은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 DB에서 148성분이었고, PSD 및 Pesticide Manual을 포함하는 영국/스웨덴 DB자료에서 276성분으로 공통성분을 제하면 317성분에 해당하였다. 국내외 토양잔류 반감기와 외국 DB자료의 Koc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GUS에 의하여 313 국내등록 농약성분의 용탈성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용탈 가능성이 매우 높은 농약성분이 18종, 그 다음으로 용탈 가능성이 높은 농약성분이 44종이었다.

학습자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만족요인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Research on Factors Effecting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of Educational Applications)

  • 장은지;박용석;임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71-483
    • /
    • 2012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 및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만족요인과 구매의도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보편화 시대를 대비한 개발 및 활용에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학습의 특성 및 어플리케이션의 만족과 구매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적절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편재성을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고, 만족 및 구매의도를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 모형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총 201명의 설문응답을 기반으로 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적절성, 유희성, 편재성은 학습자의 만족과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성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현황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모바일 학습의 성장 및 교육 콘텐츠의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