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Blocking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자외선에 의한 각막의 영향 (The Corneal Effects Induced by Ultraviolet Radiation)

  • 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9-234
    • /
    • 2002
  • 인간의 눈과 피부는 태양에너지에 노출이 되어진다. 특히 자외선 노출은 각막 질환에서 중요한 원인으로서 손상이 되어진다. 각막의 이러한 손상은 망막에 영향을 주게된다. 그러므로 눈의 기능은 매우 심각한 영양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눈에서 자외선의 보호는 눈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태양에너지네 의한 강한 자외선 환경에 생활하는 인간의 눈은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 안경렌즈, 그리고 콘택트렌즈에 의해서 각막과 안구를 보호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자외선 차단 렌즈 장치는 피검자를 위해 일시적으로 안경사들이 이용할 수가 있다. 물론 앞으로 이런 특수한 렌즈는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과 연구가 되어야 한다.

  • PDF

Polymerization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Ophthalmic Material Containing Carbon Nanoparticles

  • Lee, Min-Jae;Sung, A-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452-458
    • /
    • 2018
  •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create a functional hydrogel ophthalmic lens containing nanoparticles. Carbon nanoparticles and PEGMEMA are used as additives for the basic combination of HEMA, MA, and MMA, and the materials are copolymerized with EGDMA as the cross-linking agent and AIBN as the thermal initiator. The hydrogel lens is produced using a cast-mold method, and the materials are thermally polymerized at $100^{\circ}C$ for an hour. The polymerized lens sample is hydrated in a 0.9 % saline solution for 24 hours before the opt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ns are measured. The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contact angle, light transmittance, and tensile strength are measured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l lens. The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contact angle, UV-B light transmittance, UV-A light transmittanc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tensile strength and breaking strength of the hydrogel lens polymer are 1.4019~1.4281, 43.05~51.18 %, $31.95{\sim}68.61^{\circ}$, 21.69~58.11 %, 35.59~84.26 %, 45.85~88.06 %, 0.1075~0.1649 kgf and 0.1520~0.2250 kgf, respectively. The results demonstrate an increase in refractive index, tensile strength and breaking strength and a decrease in contact angle and light transmittance. Furthermore, the visible light transmissibility is significantly increased at PEG 10 %. It is clear that this material can be used for high-performance ophthalmic lenses with wettability, ultraviolet ray blocking effect, and tensile strength.

감즙 오색포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 박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5-967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5 kinds of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and undyed fabrics. The difference between dyed and undyed fabrics was checked experimentally.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Bending length and flex stiffness were increased after dyeing, and tensile strength of waif i3l fabrics except Ramie was also increased. 2. Abrasion resistance was improved in Ramie and Hemp after dyeing but the rest of fabrics were decreased. 3. Crease resistance of dyed fabrics was roughly worse than that of undyed fabrics. 4. Air permeability remarkably increased after dyeing and this fact estabilished that the traditional Gal-01 was cool clothing. 5. Water repellency in Cotton 1 and Polyester rises but the rest of fabrics were not changed.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is repellency related to the their fabric counts. 6. Blocking effect of UV light and visible ray was increased in all dyed fabrics. Especially dyed Cotton 1 and Polyester blocked UV light almost perfectly. 7. The colorfastness to soaping and sunlight was proved to less than 3 grade in all fabrics after dyeing. It indicates that this colorfastness became worse owing to dyeing. 8. The colorfastness to dry cleaning and water was decided to more than 3 grade in all fabrics. 9. The colorfastness of the dyed fabrics to sweat after exposing to man-made acid sweat solution was good so that was decided above 3 grade. However after exposing to man-made alkalic sweat solution it became worse owing to dyeing.

  • PDF

초음파 분사 열분해 장치에서 제조된 $TiO_2/SiO_2$ 복합 분체의 UV 차단 효과 (UV Blocking Effect of $TiO_2/SiO_2$ Composite Powders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 이동규;이진화;김동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1-288
    • /
    • 2005
  • The silica nanoparticles were used as support of catalyst, filling material, electronic assembler, thin film material, and sensor material. And, the titania nanoparticles were used as pigment, dielectric substance, sensor and photocatalyst. In this paper, the spherical composite particles of $TiO_2/SiO_2$with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phase pure were synthesiz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method from $TiOSO_4$ and colloidal silica solution. Using ultrasonic apparatus, this starting solution was vaporized to droplets, and these droplets were induced into tube furnace by carrier gas. The resulting composite powder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alysis, TG-DTA, in vitro sun protection factor(SPF) and BET surface area analysis.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Fructose 1,6-diphosphate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억제기전 (Fructose 1.6-diphosphate Prevents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Expression by Inhibition of UVB-induced Signaling Cascades in HaCaT Keratinocytes)

  • Soo Mi, Ahn;Ji Hyun, Kim;Byeong Gon, Lee;Soo Hwan, Lee;Ih Seou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7-251
    • /
    • 2004
  • 자외선은 피부에 염증반응이나 광노화와 같은 다양한 반응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는 콜라겐의 양이 감소되어 있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내에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서 염증반응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에 의해 매개되며, 이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서도 MMP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의 임상실험을 통해 광노화된 피부에서 주름형성억제효능이 뛰어난 FDP(fructose 1.6-diphosphate)의 작용기전을 인체각질형성 세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인체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COX-2(cyclooxygenase-2), MMPs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며, 이는 FDP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자외선에 의해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나는 효과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FDP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하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프로스타글란딘, COX-2, MMPs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원료로 여겨진다.

보물 제1925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 엄구 내 유리제 사리병의 복원 및 안정성 연구 (Restoration and Stability of the Glass Sarira Bottle (Treasure No. 1925) from the Sarira Reliquaries Commissioned by Yi Seonggye, Excavated from Geumgangsan Mountain)

  • 나아영;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6권
    • /
    • pp.25-34
    • /
    • 2021
  • 문화재 복원 분야에서 3D 기술이 복원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리제 문화재의 복원에 관하여 3D 기술이 활용되어 복원된 사례가 적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물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중 유리제 사리병의 결손부를 복원하는 과정에 3D 기술을 이용하였다. 보존처리는 3D 프린팅 출력물을 직접적으로 복원제로써 적용하지않고 에폭시계수지로 복제한 복원편으로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보존처리 완료 후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재료와 기술방식에 관하여 기존 도자기의 복원재료 중 투명성을 지닌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감과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보존처리 완료 후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방식으로 출력한 광경화성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등 총 5개의 시편을 제작 한 후 96시간까지 자외선에 노출시켜 황변화를 조사하였고, 광경화성수지의 시편은 출력물에 UV차단제를 분무 여부에 따라 2종으로 나누어 자외선에 노출시켰다. 자외선 노출 결과, SLA방식 시편에 UV차단제를 분무한 시편, 에폭시계수지의 시편의 b*값의 변화값이 1 미만으로 황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제 문화재의 복원제로써 적용 가능한 재료로 보여진다. 유리제 문화재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복원해야할 부분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여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복원재료에 대해 여러 가지 재료를 염두해두고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sunscreen using plant extracts)

  • 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38-1150
    • /
    • 2020
  •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추후,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33종의 식물 추출물들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외선 파장 280~400nm 사이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녹차, 감초, 방풍, 칡, 그라비올라, 밀싹, 상백피, 가시박, 옻, 등 11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식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정도를 살펴보고, 이로부터 다시 자외선 차단 능력과 항산화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감초추출물 3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황금, 홉, 감초추출물을 1:1:1로 혼합하여 겔 형태의 크림을 제조하고, 이 크림이 가지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배양된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보여주는 세포 손상 방어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선정된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은 자외선 흡수 능력에서 상호 보완적이며, 세포 손상 방어 효과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결정할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세륨 옥사이드/실리카 복합입자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rium Oxide/Silica Composite Particles)

  • 고서은;심종원;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25-431
    • /
    • 2018
  • UV 및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세륨 옥사이드 나노 입자와 다공성 실리카와의 복합입자를 건식 코팅 공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실리카와 세륨 옥사이드 간 혼합 비율과 메카노 퓨전 장치의 챔버 회전속도 등의 제조 조건을 달리하여 여러 복합입자를 만든 후, 입자 표면 형태를 SEM으로 관측 비교하고 XRF을 통해 복합입자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세륨 옥사이드를 실리카와 함께 복합입자로 만들어 물에 분산시키면 현탁 용액의 투명도가 높아지고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파우더의 유동성과 발림성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세륨 옥사이드/실리카 복합입자가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성분 분석 및 염색물의 건강안전 기능성 평가 (Components of Pine Needles Extract and Functionality of the Dyed Fabrics)

  • 전미선;박명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1-381
    • /
    • 2010
  • The pine needles can be used for four seasons in normal living and it can be taken friendly everywhere as it is distributed over 50% in Korea. The pine needles consist of vitamins, protein, minerals, essential oil and enzyme related to antimicrobial activity. It has effect like high blood pressure, neuralgia and hanged over by terpene, glucokinin, rutin, apigenic acid and tannin. Also the extract of them can be used for dyeing of fabrics. However, the extract components and effects of them are not well known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latile components of the pine needles extract and functionality. The pine needles extract was dyed into various fabrics(nylon, silk, wool and soybean) and mordanted with Al, Cu, Cr, Fe and Sn. The extracted aroma compounds were compar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pine needles verified by using SPME wer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caryophyllene, ethanon, benzen. A total of 15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SPME fibers. In the UV-visible spectra, the maximum absorption of wavelength of the pine needles ethanol extract appeared at 460, 630nm for chlorophyll component and at 237, 281nm for tannin component with the pine needles distilled water extract. Most of sample showed high antibacterial effect in none mordant but wool fabric showed high antibacterial effect in mordants. The result of UV block test showed a superior ability of blocking ultraviolet ray infiltration in all sample.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초박막 투명 TiO2 코팅층 제조 (Preparation of Ultra-Thin Transparent TiO2 Coated Film by Ink-Jet Printing Method)

  • 윤초롱;오효진;이남희;;이원재;박경순;김선재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0-196
    • /
    • 2007
  • Dye sensitized solar cells(DSSC) are the most promising future energy resource due to their high energy efficiency, low production cost, and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ut one problem in DSSC is short life time compared to silicon solar cells. This problem occurred from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dye material by nanometer sized $TiO_2$ particles. To prevent dye degradation as well as to increase its life time, the transparent coating film is needed for UV blocking.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nanometer sized $TiO_2$ particles in sols by increasing its internal pressure up to 200 bar in autoclave at $120^{\circ}C$ for 10 hrs. The synthesized $TiO_2$ sols were all formed with brookite phase and their particle size was several nm to 30 nm. Synthesized $TiO_2$ sols were coated on the backside of fluorine doped tin oxide(FTO) glass by ink jet printing method. With increasing coating thickness by repeated ink jet coating, the absorbance of UV region (under 400 nm) also increases reasonably. Decomposition test of titania powders dispersed in 0.1 mM amaranth solution covered with $TiO_2$ coating glass shows more stable dye properties under UV irradiation, compared to that with as-received FTO g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