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ML profile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UML Profile for developing Android Application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UML 프로파일)

  • Ko, Min-Hyuk;Kuk, Seung-Hak;Yun, Sang-Pil;Kim, Hye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148-151
    • /
    • 2011
  • UML은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모델링 언어이다. UML은 잘 정의된 풍부한 모델링 개념들과 표기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어떠한 시스템이라도 쉽게 모델링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렇지만 UML은 시스템 개발을 위한 모델링 시 개발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특정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요소들에 대한 개념까지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UML은 이런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장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UML의 확장 메커니즘은 새로운 UML 모델링 요소를 정의하여 표준 UML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UML의 확장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로파일을 구현한다. 표준 UML로는 표현 할 수 없는 안드로이드의 특정 요소들을 UML 확장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효과적인 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

UML 2.0 Profile for an Architecture Modeling (아키텍쳐 모델링을 위한 UML 2.0 프로파일)

  • 노성환;김경래;전태웅;승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12-414
    • /
    • 2004
  • UML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모델링 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UML을 확장(extension)하여 UML이 지원하지 않는 핵심적인 아키텍쳐 개념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UML1.x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비해 공식 발표될 예정인 UML2.0은 아키텍쳐 모델링에 관한 개념을 보다 많이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UML2.0에도 명시적인 표현이 어려운 아키텍쳐의 핵심 개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UML2.0은 아키텍쳐 기술에 불필요하거나 관련이 적은 모델링 요소들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ML2.0에서 표현된 아키텍쳐 모델링 요소를 살펴보고, 아키텍쳐를 표현하기 위해서 UML2.0을 어떻게 아키텍쳐 기술 언어에 대한 프로파일로 확장하고 정의할 것인지를 고려한다.

  • PDF

Defining UML Profile for Application Development on the Windows Phone 7 Platform (윈도우폰7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UML 프로파일의 정의)

  • Min, Bup-Ki;Kuk, Seung-Hak;Kim, Hye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41-1344
    • /
    • 2011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범용 모델링 언어로 일관된 표기형식을 제공하여 표준 모델링 언어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특정 도메인에 종속적이지 않은 UML의 특징 때문에 기존의 표준 UML의 표현 방식으로는 특화된 분야의 상세한 아키텍처의 모델링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ML은 새로운 개념을 추가할 수 있는 확장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특정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의미를 표현한 아키텍처 모델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UML의 확장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윈도우폰7 애플리케이션의 모델링을 위한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윈도우폰7의 특성을 분석하고 확장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UML을 확장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윈도우폰7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화된 모델링을 할 수 있다.

Design Automation for Heterogeneous SUGVs with UML Profile Mechanism (UML 프로파일 메커니즘을 이용한 이종 소형 무인지상차량 설계 자동화)

  • Kim, Woo-Yeol;Son, Hyun-Seung;Kim, R. Young-Chu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12
    • /
    • pp.705-715
    • /
    • 2008
  • Today raises its head on the issue of interoperability caused by the complexity of the embedded software and the diverse development environment about SUGV(Small Unmanned Ground Vehicle). So, we propose to adopt the original MDA mechanism for this heterogeneous embedded development.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y for developing SUGV with MDA(Model Driven Architecture) using the original UML profile mechanism. Through this method, it can be semi-automatically transformed into TSM(Target specific model) after modeling TIM(Target Independent Model). Then we can also automatically generate the heterogeneous source codes. Therefore it will be reduced the development cycle and effort of the heterogeneous systems. We verify the benefits of our proposed approach and the reliability through analyzing the generated codes.

A Systematic Design Automation Method for RDA-based .NET Component with MDA

  • Kum, Deuk Ky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0 no.2
    • /
    • pp.69-76
    • /
    • 2019
  • Recent Enterprise System has component driven real-time distributed architecture (RDA) and this kind of architecture should performed with satisfying strict constraints on life cycle of object and response time such as synchronization, transaction and so on. Microsoft's .NET platform supports RDA and is able to implement services including before mentioned time restriction and security service by only specifying attribute code and maximizing advantages of OMG's Model Driven Architecture (MDA). In this study, a method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extended model of essential elements in an enterprise-system-based RDA as well as the platform specific model (PSM) for Microsoft's .NET platform are proposed. To realize these ideas, the functionalit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enterprise system development are specified and defined in a meta-model and an extended UML profile. In addition, after defining the UML profile for .NET specification, these are developed and applied as plug-ins of the open source MDA tool, and extended model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is tool. Accordingly, by using the proposed specification technology, the profile and tools can easily and quickly generate a reusable extended model even without detailed coding-level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alities considered in the .NET platform and RDA.

Generic ADL Definition based on UML2.0 (UML 2.0 기반의 Generic ADL 정의)

  • Roh Sunghwan;Kim Kyungrae;Jeon Taewoong;Yoon Seokji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3 no.2
    • /
    • pp.167-185
    • /
    • 2006
  • Software architecture, which is the high level model of a software system, should be specified with ADLs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s) for its clarity and preciseness. Most of ADLs such as ACME, however, have not come into extensive use in industries since ADL users should learn a distinct notation specific to architecture. On the other hand, UML is a do facto standard general modeling language for software developments. UML provides a consistent notation and various supporting tools during the whole software development cycle. UML, being a general modeling language, does not provide all concepts that are important to architecture description. UML should be extended in order to precisely model architecture. A number of researches on architecture modeling based on WML have been progressed. Ail of them, however, are based on the UML1.x. UML2.0 embraces much more concepts that are important to architecture modeling than UML1.x. In this paper. we defined an architecture modeling language based on UML2.0. We defined Generic ADL by extending UML2.0 and applied the defined Generic ADL to a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UML Profile for iOS Application (iO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ML 프로파일)

  • Seo, Yong-Jin;Mun, Dea-Geon;Kuk, Seung-Hak;Kim, Hye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116-119
    • /
    • 2011
  •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전화보다 더 향상된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PC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하드웨어 센서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은 설계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UML은 소프트웨어 모델링 언어로, 다양한 도메인을 모델링할 수 있지만, 특정 도메인의 특성을 상세히 표현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UML은 확장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확장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iOS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UML을 확장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TO On-board Software Using UML Modeling Tool (UML 모델링 도구를 이용한 ATO 차상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Yoon, Yeong-Hwan;Bang, Yung;Um, Jung-Kyou;Cho, Yong-Gi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06a
    • /
    • pp.384-389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UML modeling of ATO on-board software. An automatic train operation (ATO) system is a real-time control system, which operates a train without a manual operation by a driver. For the safe and comfortable service, real-time embedded software for ATO on-board equipment should have both of high performance and reliability. UML-based object-oriented modeling technique is introduced and used widely to design software that satisfies this requirement. We used Rhapsody, which is a modeling tool for real-time embedded software, to model the construction and the behavior of ATO on-board equipment. As a result, ATO on-board software which performs the profile calculation and the real-time speed control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brief modeling result includ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 PDF

A Study for Modeling Combat System Architecture With UPDM and UML (UPDM&UML을 이용한 함정전투체계 모델링 방안에 대한 연구)

  • Park,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1-24
    • /
    • 2017
  • 본 논문은 함정 전투체계의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세부 기능을 분석 및 구현하기 위한 방안 연구를 위해 작성되었다. 함정 전투체계와 같이 복잡도 높은 대규모 시스템에서 문서 산출물에 근거한 개발은 산출물 간 유기적인 연결이 어렵고 요구조건의 변화에 따른 영향 요소 식별 및 반영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모델 기반 개발 방법론을 함정 전투체계에 적용하기 위해 미 국방 분야 표준 아키텍처인 DoDAF와 이를 지원하는 UPDM, 시스템 엔지니어링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의 모델링을 지원하는 SYSML/UML을 살펴보고 함정 전투체계에 적합한 모델 구성 및 각 개발 단계 별 모델링을 수행하는 절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