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F4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6초

Evaluation of flux stabilisation using Bio-UF membrane filter on KZN Rivers, South Africa

  • Thoola, Maipato I.;Rathilal, Sudesh;Pillay, Lingam V.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4호
    • /
    • pp.313-325
    • /
    • 2016
  • South Africa recognises piped water as the main source of safe drinking water supply. Remote areas do not have access to this resource and they rely solely on surface water for survival, which exposes them to waterborne diseases. Interim point of use solutions are not practiced due to their laboriousness and alteration of the taste. Bio-ultra low pressure driven membrane system has been noted to be able to produce stable fluxes after one week of operation; however, there is limited literature on South African wa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rivers namely; Umgeni, Umbilo and Tugela. Three laboratory systems were setup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echnology in terms of producing stable fluxes and water that is compliant with the WHO 2008 drinking water guideline with regards to turbidity, total coliforms and E.coli. The obtained flux rate trends were similar to those noted in literature where they are referred to as stable fluxes. However, when further comparing the obtained fluxes to the normal dead-end filtration curve, it was noted that both the Umbilo and Tugela Rivers responded similarly to a normal dead-end filtration curve. The Umgeni River was noted to produce flux rates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btainable under normal dead-e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no stabilisation of flux noted. However, feed water with low E.coli and turbidity concentrations enhances the flux rates. The technology was noted to produce water of less than 1 NTU and 100% removal efficiency for E.coli and total coliforms.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용 선 스펙트럼 주파수 계수 양자화기 설계 (Design of the LSF Parameter Quantizer for the Wideband Speech Codec)

  • 지상현;강상원;윤병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3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 음성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의 선 스펙트럼 주파수 (line spectral frequency: ISF) 계수 양자화기를 설계하였다.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를 위한 효율적인 LSF 계수 양자화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상관도를 이용하였으며, 각 해당 프레임의 ISF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인접 프레임간 상관도가 높은 프레임과 상관도가 낮은 프레임으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수행하였다. 인접 프레임간 상관도가 높은 프레임의 LSF계수 양자화를 위하여 예측 피라미드형 벡터 양자화기 (predictive pyramid vector quantizer: PPVQ)를 사용하여 양자화하였고, 상관도가 낮은 프레임의 LSF 계수는 피라미드형 벡터 양자화기 (PVQ)를 사용하여 양자화 하였다. PPVQ에서 예측기로 1차 AR 예측기를 사용하였다.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를 위해 본 논문에서 설계된 UF 계수양자화기를 평균스펙트럼 왜곡(spectral distortion: SD) 성능 관점에서 실험한 결과, LSF계수 양자화에 할당된 비트가 프레임당 40비트일 때, 평균 SD값이 1 dB 내외이고, 2 dB 이상 및 4 dB 이상 outlier가 각각 3.87%및 0.01%인 transparent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좁쌀약주의 청징화 (Clarification of Foxtail Millet Wine)

  • 김효선;양영택;정용현;고정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106
    • /
    • 1992
  • 제주도 전통주인 좁쌀약주를 청징화시키기 위하여 원심분리에 의한 청징화 방법, 단백효소제(papain, bromelain, ficin)에 의한 청징화 방법과 한외여과에 의한 청징화 방법들을 검토하여 좁쌀청주의 가장 효과적인 청징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서만은 혼탁물질의 완전한 제거는 불가능하였으며, 단백효소제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효소농도 $5{\times}10^{-4}%(w/v)$ 작용시간 2시간, 작용온도 $35^{\circ}C$에서 매우 우수한 청징효과를 나타냈다. 효소별 청징도는 papain과 bromelain은 거의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나, ficin의 청칭력은 약간 떨어졌다. 한외여과(여과막 크기 100k와 $0.22{\mu}m$막)에 의한 청징화는 효소에 의한 최고의 청징화 수준보다 약간 우수한 청징효과를 보였으며, 효소처리에 비하여 향미성분의 손실이나 색도가 좀더 나아서 UF에 의한 청징화 방법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었다.

  • PDF

친화성 고분자 및 한외여과 분리막을 이용한 트립신의 선택적 분리에 관한 연구 (Selective Separation of Trypsin by Affinity Polymer and Ultrafiltration Membranes)

  • 이제권;정용섭;홍석인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305-312
    • /
    • 1994
  • 트립신과 키모트립신 혼합물은 분자량 및 화학적 구조가 유사하여 기존의 분리방법으로는 분리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우수한 선택적 분리 기능이 있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막분리 공정의 장점을 결합한 유가식 분리동정이 연구 되었다. 트립신에 대하여 더 친화성이 있는 수용성 고분자와 제조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한외여과막에 의해 트립신-친화성 고분자 복합체가 시스템 내에 유지되었으며, 결합되지 못한 효소들은 제거되었다. 사용된 한외여과막의 기공크기는 막 제조시 에탄올 농도에 의해 조절했으며, 친화성 고분자는 $4^{\circ}C$에서 아크릴아마이드와 N-아크리로일-m-아미노벤자미딘으로 중합에 의해 제조하였다. 트립신은 친화성 고분자와 제조된 UF-50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용출 완충용액으로 여과한 결과 순도 86%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연어(Oncorhynchus keta) 추출물 중의 Anserine, 단백질 및 철분 함량에 미치는 추출방법의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Method on Anserine, Protein, and Iron Contents of Salmon (Oncorhynchus keta) Extracts)

  • 민혜옥;박인명;송호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0-228
    • /
    • 2017
  • 본 연구는 수산동물을 원료로 한 천연 anserine의 추출을 위해 여러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연어로부터 anserine을 추출하였으며 각 추출방법에 따른 불순물(protein, iron)과 anserine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Anserine 추출용 시료로서 연어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anserine은 약 43.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용 시료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가열처리와 한외여과처리, 그리고 이온교환 및 한외여과처리를 이용한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60^{\circ}C$, $80^{\circ}C$, $100^{\circ}C$로 가열 처리한 경우 $100^{\circ}C$ 가열처리구가 총철과 단백질 등 불순물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anserine 함량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외여과방법을 통해 분자량을 조절한 추출물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가열처리 추출물보다 단백질 약 81%, 총철 함량이 약 97%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anserine의 함량 변화는 가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Dowex $1{\times}8$ 수지를 이용하여 1차 이온교환을 하고 이온 교환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MW 500까지 한외여과처리를 한 후 CM-cellulose를 이용하여 2차 이온교환을 병행한 추출물의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가열-한외여과처리 추출물보다 단백질 및 총철의 함량은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anserine 함량을 나타내어 이온교환-한외여과처리 추출방법이 단백질 및 총철과 같은 불순물의 함량은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anserine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추출방법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전기영동 및 HPLC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LC/MS를 이용하여 표품 anserine과 1차 이온교환-한외여과처리 추출물, 2차 이온교환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모두 동일한 분자량(MW 240)을 가진 물질로 확인되어 1, 2차 이온교환 및 한외여과처리를 병행한 추출법이 anserine의 추출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

Fouling behaviours of two stages microalgae/membrane filtration system applied to palm oil mill effluent treatment

  • Teow, Yeit Haan;Wong, Zhong Huo;Takriff, Mohd Sobri;Mohammad, Abdul Wahab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5호
    • /
    • pp.373-383
    • /
    • 2018
  • Fouling by solids and microorganisms is the major obstacle limiting the efficient use of membrane wastewater treatment. In our previous study, two stages microalgae/membrane filtration system was proposed to treat anaerobic digested palm oil mill effluent (AnPOME). This two stages microalgae/membrane filtration system had showed great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AnPOME with high removal of COD, $NH_3-N$, $PO_4{^{3-}}$, TSS, turbidity, and colour. However, fouling behavior of the membrane in this two stages microalgae/membrane filtration system was still unknown. In this study, empirical models that describe permeate flux decline for dead-end filtration (pore blocking - complete, intermediate, and standard; and cake layer formation) presented by Hermia were used to fit the experimental results in identifying the fouling mechanism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Both centrifuged and non-centrifuge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medium with 3 days RT intervals, from day 0 to day 12 to study their influence on fouling mechanisms described by Hermia for ultrafiltration (UF), nanofiltration (NF), and reverse osmosis (RO) filtration mode. Besides, a more detailed study on the use of resistance-in-series model for deadend filtration was done to investigate the fouling mechanisms involved in membrane filtration of AnPOME collected after microalgae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fouling of UF and NF membrane was mainly caused by cake layer formation and it was also supported by the analysis for resistance-in-series model. Whereas, fouling of RO membrane was dominated by concentration polarization.

Treatment of natural rubber wastewater by membrane technologies for water reuse

  • Jiang, Shi-Kuan;Zhang, Gui-Mei;Yan, Li;Wu, Ying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1호
    • /
    • pp.17-21
    • /
    • 2018
  • A series of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for natural rubber (NR)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Three types of spiral wound membranes were employed in the cross-flow experiments. The NR wastewater pretreated by sand filtration and cartridge filtration was forced to pass through the ultrafiltration (UF), nanofiltration (NF) and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successively. The UF retentate, which containing abundant proteins, can be used to produce fertilizer, while the NF retentate is rich in quebrachitol and can be used to extract quebrachitol. The permeate produced by the RO module was reused in the NR processing. Furthermore, about 0.1wt% quebrachitol was extracted from the NR wastewater. Besides, the effluent quality treated by the membrane processes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the biological treatment. Especially for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total phosphorus (T-P), the removal efficiency improved 53.11% and 49.8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exceeded 99%. The total nitrogen (T-N) and ammonia nitrogen (NH4-N) had approximately similar removal efficiency (93%).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P concentration in the effluent, the T-P was reduced from 200 mg/L to 0.34 mg/L. Generally, it was considered to be a challenging problem to solve for the biological processes. In brief, highly resource utilization and zero discharge was obtained by membrane separation system in the NR wastewater treatment.

복류수를 이용한 한외여과공정의 장기운전 평가 (Long Term Evaluation of UF Membrane process using River-bed Water)

  • 김충환;임재림;강석형;김수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9-436
    • /
    • 2008
  • Membrane system has been increasingly considered as a safe and cost-effective water treatment process especially in case of small scale water works. This research is a basis of membrane application in water works through a long period test with obtaining operation skills and evaluation of water quality and cost competitiveness. For the research, the UF membrane system was installed in small water treatment plant that uses river-bed water as raw water. The system was consisted of 2 stage membrane and operated in constant flow mode (Flux: 1.5, 1.0, 0.9, 0.6). In each different flux condition, TMP trends were showed better results at lower flux condition. And through the high flux condition test, it is certified that membrane system could deal with breakdown of one stage. Water quality of permeate was satisfied the water quality standards especially turbidity. To know what mainly causes fouling on membrane, the test by membrane with several cleaning agents and EDX analysis have done in lab. Through the tests, ferrous concentration in raw water, backwashing water and membrane surface etc. was high and it causes fouling inside and outside of membrane. So acid cleaning using organic acid such as oxalic acid is necessary in Chemical in Place (CIP). At the economical aspect the electrical cost of membrane system is higher than that of slow sand filtration but labor cost can be reduced by automation. However, the use of labor should be determined considering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operation. Because during the operation, there are several breakdown such as electrical shock by lightning, water drop in summer, etc.

폐부종 및 신부전을 동반한 개와 고양이에서 체외초미세여과법을 이용한 치료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Ultrafiltration Therapy Given to a Dog and a Cat with Pulmonary Edema and Renal Failure)

  • 박형진;변석영;최준혁;이종복;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4-38
    • /
    • 2016
  • 1년동안 ACVIM C단계의 심부전 및 IRIS 4단계의 신부전으로 관리 중이던 13세의 중성화 잡종견과 급성으로 발병한 신부전으로 인한 요독증과 이에 속발한 형태의 폐부종이 동반된12세의 중성화 암컷 잡종 고양이가 본원에 내원하였다. 본 환자들에 체외초미세여과법을 이용한 투석요법을 적용하여 폐부종, 요독증 및 이에 동반된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등이 개선되었다. 본 증례는 초미세여과법을 이용한 투석요법이 이뇨제 저항성 및 심한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심장신장증후군 환자와 이뇨제를 이용한 폐부종 치료 도중 급성으로 신장기능 이상이 발생한 환자 등에서 생명을 구하는 치료옵션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북한 우라늄 농축시설로 인한 한반도에서의 공기중 우라늄 입자 농도 예측 (Estimation of Uranium Particle Concent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aused by North Korea's Uranium Enrichment Facility)

  • 곽성우;강한별;신중기;이정현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127-133
    • /
    • 2014
  • 북한 우라늄 농축 시설은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위협중 하나이다. 특히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국가 안보에 관련된 사안이므로 항상 주시하고 대비를 하여야 한다. 북한 미신고 우라늄 농축시설 탐지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설로 부터 장 단거리에 따른 공기중 우라늄 농도를 예측하였다. 북한 농축시설에 대해 국제 사회에 알려진 정보와 다른 국가의 농축 시설 운영 데이터를 근거로 북한 시설로부터 공기중으로 누출되는 $UF_6$ 선원항(source terms)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선원항과 영변 주변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장 단거리 대기 확산 모델 - Gaussian Plume and HYSPLIT Models -을 이용하여 북한 농축시설 주변과 멀리 떨어진 남한 지역에서의 공기중 우라늄 농도를 결정하였다. 최대 공기중 우라늄 농도와 위치는 기상 조건과 방출 높이에 따라 시설 바로 근처와 0.4 km 이내 이고, 농도 약 $1.0{\times}10^{-7}g{\cdot}m^{-3}$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가정을 적용하였을 때, 수 십 ${\mu}g$ 정도의 우라늄 샘플을 채취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십 ${\mu}g$ 우라늄 양은 현대 측정 장비로 어려움 없이 측정 가능한 양이다. 반면에 영변 농축시설에부터 수 백 km이상 떨어진 남한 지역의 농도는 $1.0{\times}10^{-13}{\sim}1.0{\times}10^{-15}g{\cdot}m^{-3}$이하로 자연 방사성 우라늄 농도보다 낮은 값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 의하면 북한 영변 농축시설 주변에서 공기포집에 의한 신고 및 미신고 핵활동 탐지는 가능하지만 장거리에서는 불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