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D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8초

UD(Ultra Definition) 동영상 실시간 처리를 위한 H.264/AVC CAVLC 병렬 아키텍처 설계 (Parallel Architecture Design of H.264/AVC CAVLC for UD Video Realtime Processing)

  • 고병수;공진흥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112-12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UHD($3840{\times}2160$)영상을 실시간 처리하는 고성능 H.264/AVC CAVLC 부호화기를 설계하였다. 연산처리 성능을 높이기 위해 통계값 탐색 과정과 코드워드 부호화 과정을 각각 1사이클에 처리하도록 설계하였다. 통계값 탐색과정을 1사이클에 처리하기 위해 16개 계수들의 '0' 또는 '0'이 아님을 표시하는 비트열을 만들어 산술 및 논리연산을 통해 통계값을 한 번에 구하였다. 그리고 코드워드 부호화 과정을 1사이클에 처리하기 위해 레벨의 코드워드 길이를 결정하는 계수들과 임계값들과의 비교 연산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코드워드 부호화 과정의 재귀적 연산을 제거하였다. 제안하는 H.264/AVC 병렬 CAVLC 부호화기는 통계값 탐색 단계과 코드워드 부호화 단계로 나뉘는 2단 파이프라인 구조로 고속 병렬 연산 회로를 구현하였으며, 산술 연산을 적용하여 코드워드 부호화 테이블을 회로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였다. 0.13um 공정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 게이트 수는 33.4Kgates이며, 최대동작주파수 100MHz에서 UD 영상을 초당 100프레임으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와 CFRP UD의 벤딩 해석 비교 (Comparison between Wire Rope and CFRP UD on Bending Analysis)

  • 박성민;신동우;권일준;유성훈;문완기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378-382
    • /
    • 2015
  • 인구밀도가 증가하고 매년 고층건물의 수가 늘어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루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일상생활 속에서 엘리베이터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매년 고층건물이 늘어남에 따라 고속 고층 승강기의 기술 요구 수준도 높아져 가고 있다. Carbon-fiber-reinforced plastics (CFRPs)는 높은 강성과 경량화 및 낮은 마찰력 등을 장점으로 하고 있으며, 엘리베이터용 wire rope에 매우 적합한 재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CFRP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wire rope와 CFRP UD의 인장 강도 및 수치 해석을 통한 벤딩 해석 비교를 진행하였다.

Effect of Ulmus davidiana Planch (Ulmaceae) on T-lymphocyte-producing cytokines such as IL-2, IL-6, and $IFN-{\gamma}$ production in collagen-induced arthritis of rats

  • Kang, Han-Ju;Kim, Kyung-Ho;Jo, Hyun-Seog;Hwang, Min-Seob;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33-41
    • /
    • 2005
  • Objective : The effect of Ulmus davidiana Planch(UD), which has long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ion and protective effects on damaged tissue, inflammation and bone among other functions, on the development of type II collagen (CII)-induced arthritis (CIA) in rats was studied. Methods : Male rats were immunized with an emulsion of $200\;{\mu}g$ of CII and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The rats were then given intraperitoneal stimulation of Ulmus davidiana Planch herbal acupuncture(UDHA)or saline during the experiment. When compared with rats treated with saline as control, UDHA at doses of more than $20{\mu}g/100\;g$ rat once a day for 7 days inhibited the ability of inguinal lymph node cells to produce T cell cytokines interleukin-2, interleukin-6, $IFN-{\gamma}$ when the cells were obtained from rats 14 days after immunization and cultured in vitro with CII. Results : When rat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UD -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ra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hen low doses of UD was given to rats. Conclusion : The recommended dose of UD in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rat CIA will be more than $20{\mu}g/100\;g$, which is two-firth of human therapeutic dose.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UDHA is dependent of dosage.

  • PDF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동향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 김보애;이연숙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147-156
    • /
    • 2014
  • 현대 다원화사회 및 민주사회의 진전은 인위적 창조물에 대한 일대 변화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유니버설디자인 패러다임을 부각시켰다. 이 패러다임은 전세계적으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달리 파급되어왔으며 최근 이러한 동향을 국제적으로 파악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의 국내 확산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융복합을 지향하는 현대사회의 학제간 교육을 고무시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방법은 내용분석 방법으로서 문헌유형, 연도, 전공영역, 연구대상, 연구내용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UD문헌은 344건이었으며 그중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전공영역 9개의 학계로 구분되었다. 연도별로는 실내디자인학계에서 도입되어 점차 비디자인계인 교육과 의료계까지 보급되었다. 학계별 UD연구에서 연구대상은 공공시설을 위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내용별로는 UD평가연구가 가장 많았다. 민주화 다원화 사회는 더욱 성숙될 것이므로 이러한 동향에 앞으로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양적, 질적 확산이 지속되리라 전망된다.

Evaluation of Carbon Fiber distribution in Unidirectional CF/Al Composites by Two-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Method

  • Lee, Moonhee;Kim, Sungwon;Lee, Jongho;Hwang, SeungKuk;Lee, Sangpill;Sugio, Kenjiro;Sasaki, Gen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29-36
    • /
    • 2018
  • Low pressure casting process for unidirectional carbon fiber reinforced aluminum (UD-CF/Al) composites which is an infiltration route of molten Al into porous UD-CF preform has been a cost-effective way to obtain metal matrix composites (MMCs) but, easy to cause non-uniform fiber distribution as CF clustering. Such clustered CFs have been a problem to decrease the density and thermal conductivity (TC) of composites, due to the existence of pores in the clustered area. To obtain high thermal performance composites for heat-sink appl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ber distribution and porosity has to be clear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CF distribution was evaluated with quantification approach by using two-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method as local number 2-dimension (LN2D) analysis. Note that the CFs distribution in composites sensitively changed by sizes of Cu bridging particles between the CFs added in the UD-CF preform fabrication stage, and influenced on only $LN2D_{var}$ values.

유리섬유/알루미늄 혼성 적층판의 인장특성과 파괴인성 평가 (Evaluation on Tensile Properties and Fracture Toughness of Glass Fiber/Aluminum Hybrid Laminates)

  • 우성충;최낙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9권6호
    • /
    • pp.876-888
    • /
    • 2005
  • Tensile properties and fracture toughness of monolithic aluminum, fiber reinforced plastics and glass fiber/aluminum hybrid laminates under tensile loads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plain coupon and single-edge-notched specimens. Elastic modulus and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GFML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Al kind, fiber orientation and composition ratio. Fracture, toughness of A-GFML-UD which was determined by the evaluation of $K_{IC}$ and $G_{IC}$ based on critical load was similar to that of GFRP-UD and was much higher than monolithic Al. Therefore, A-GFML-UD presented superior fracture toughness as well as prominent damage tolerance in comparison to its constituent Al. By separating Al sheet from GFMLs after the test, optical microscope observation of fracture zone of GFRP layer in the vicinity of crack tip revealed that crack advance of GFMLs depended on the orientation of fiber layer as well as Al/fiber composition ratio.

부영양 저수지에서 국내 담수산 패류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mestic Freshwater Shellfishes on the Water Quality in the Eutrophic Agricultral Reservoir)

  • 황순진;박구성;백순기;김백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8-155
    • /
    • 2010
  • Water quality and plankton community dynamics after the introduction of two domestic freshwater shellfishes (Unio douglasiae Griffith & Pidgeon and Cipangoplaudina chinese malleata Reeve), were monitored daily in enclosures, which constructed in the tidal zone of eutrophic agricultural reservoir (Shingu reservoir, Korea) for one week between July 31 and August 6, 2007. This biomanipulation stud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eutrophic lake, comprised eight enclosures (duplicate x four kinds), enclosure had no mussels (Control), stocked only with U. douglasiae at density of 60 individuals (UD), stocked only with C. chinese malleata at density of 60 individuals (CCM), and combined-stocked with 30 individuals of UD and 30 individuals of CCM (MIX), respectively. Our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UD strong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and increased the water transparency, whereas CCM and MIX (included CCM) did increase algal density or decrease transparency, due perhaps to the disturbance of C. chinese malleata. Therefore, the field application of shellfish to enhance the water quality of eutrophic agricultural reservoir, should consider the grazing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especially active moving animals like snail.

A New Species of Thelonectria and a New Record of Cephalotrichum hinnuleum from Gunwi and Ulleungdo in Korea

  • Das, Kallol;You, Young-Hyun;Lee, Seung-Yeol;Jung, Hee-Young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341-350
    • /
    • 2020
  • Three fungal strains belonging to the class Sordariomycetes were isolated from soils collected from Gyeongsangbuk-do in Korea. They were identified as Cephalotrichum hinnuleum (UD CT 1-3-3 and KNU-19GWF1) and Thelonectria chlamydospora sp. nov. (UD ST 1-2-1). T. chlamydospora sp. nov. was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T. truncata, but its specific macroconidial dimensions, lower number of septations, and chlamydospore diameter render it distinct from the strains of the genus Thelonectria. The strains UD CT 1-3-3 and KNU-19GWF1 were developed flat, velvety to felty, and golden gray to brown-gray after 14 days of incubation at 25 ℃ on PDA. These strains were produced polyblastic conidiogenous cells and conidia were pale brown to brown, smooth, thin-walled, subglobose to ellipsoidal, arranged in chains, and the diameters of 6.7-9.0 × 3.7-5.1 ㎛. The strains were also confirmed by using the multi-locus gene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partial large subunit (LSU),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TEF1-α), β-tubulin (TUB2), and actin (ACT) genes. This is the discovery of T. chlamydospora sp. nov. and Cephalotrichum hinnuleum, a new record from Korea.

초 고화질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차세대 오픈 케이블 방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ext generation OpenCable systems for 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 broadcasting)

  • 조창연;허준;김준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28-23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초 고화질 방송(Ultra-High Definition TV: UD-TV) 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고, 무선 채널에 비해 잡음의 영향이 적은 케이블 채널에서의 전송 가능성과 효율적인 전송방식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 국내 및 북미에서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전송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오픈 케이블(OpenCable, J.83 Annex B)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여, 기존의 256QAM에서 1024QAM으로 단순 확장된 시스템의 TOV(Threshold of Visibility) 증가를 살펴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오류 정정 부호기의 부호율 변화 및 터보 부호의 적용을 통해 수정 확장된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수정 확장된 1024QAM 오픈 케이블 시스템의 최대 성능 한계를 알아본다. 그 결과 기존 오류 정정 부호기의 구조를 갖는 오픈 케이블 시스템은 31.5dB 이하의 신호 대 잡음비에서는 오류 없는 수신이 불가능하며, 그보다 낮은 TOV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 오류 정정 부호기의 수정이 불가피함을 확인했다. 또한 UD-TV의 전송 가능성을 기존 6MHz채널 대역폭 내에서의 섀논 한계(Shannon Capacity) 및 차세대 동영상 압축 기술과의 관계를 통해 고찰해 보고, 2개 이상의 채널을 결합하여 UD-TV를 전송하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동해 울릉도-독도해역에서 질소, 인, 철 첨가실험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및 군집반응 (Growth and community response of phytoplankton by N, P and Fe nutrient addition in around water of Ulleungdo and Dokdo in East Sea)

  • 백승호;이민지;김윤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86-195
    • /
    • 2016
  • 동해 울릉도-독도 2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 및 수직적 영양염분포 특성과 표층 현장수를 이용하여 N, P, NP, Fe을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영양염소비 및 성장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장에서 영양염류농도는 유광층 상부에서 낮았고, 100 m보다 깊은 수심에서 증가하였다. N:P비는 Redfield비(16)보다 표층에서 21-25로 높았고, 조사 최대심도인 400 m 층에서는 6 전후로 극히 낮게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총개체수는 St.UD3과 St.50에서 각각 $4.9{\times}10^5cells\;L^{-1}$$1.9{\times}10^5cells\;L^{-1}$로 관찰되었다. 주요 우점종은 St.UD3에서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 은편모조류 Crytomonas spp., 규조류 Leptocylindrus danicus로 파악되었고, St.50에서는 규조류 Chaetoceros socialis, H. akashiwo, L. danicus로 각각 관찰되었다. 영양염첨가실험의 +N과 +NP실험군에서 빠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을 보였고, +P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식물플랑크톤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아울러 Fe을 첨가한 대조군, +N, +P, +NP실험군에서 Fe을 첨가하지 않은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형광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Fe첨가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p>0.05). 결과적으로 현장에서 우점한 H. akashiwo 와 L. danicus는 영양염이 추가적으로 공급된 환경의 생물검증실험에서도 빠르게 반응하여 높은 개체수로 우점한 것을 파악하였고, 특히 +Fe 실험군에서 L. danicus의 빠른 성장이 두드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