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o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41초

이규화몰리브덴 고온발열체의 제조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of $\textrm{MoSi}_2$ Heating Elements)

  • 김원백;심건주;장대규;서창열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9호
    • /
    • pp.763-771
    • /
    • 1997
  • 이규화몰리브덴 고온발열체의 제조공정을 개발하였다. 원료분말은 상용 MoSi$_{2}$분말이었으며 Bentonite, Si$_{3}$N$_{4}$, B, ThO$_{2}$를 각각 가소제와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이들은 진공압출, 소결, 단자부 기계가공, U자형 성형, 용접 등의 과정을 거쳐 U자형 발열체로 제조되었다. 사용제품의 분석결과 최근 사용온도가 크게 증가된 것으로 알려진 190$0^{\circ}C$용 발열체는 다량(33wt%)의 W이 Mo을 치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열체의 전기비저항은 겉보기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첨가물들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1400-1$600^{\circ}C$에서 용접한 경우 용접면에서의 전기비저항은 비용접부보다 낮았으며 용접온도가 증사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발열시험결과 제조된 발열체는 표면온도가 1$700^{\circ}C$이하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며 17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원형의 융기가 표면에 발생하면서 급속하게 파괴되었다. 이 융기는 X-선 회절분석결과 SiO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발열체의 파괴는 MoSi$_{2}$/SiO$_{2}$계면에서의 Si(in MoSi$_{2}$) + SiO$_{2}$=2SiO(g)반응에 으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두 Lotus종과 그들 교잡종간의 유식물 활력 비교 (Seeding Vigro of Two Lotus Entries and Their Reciprocal F Hybrids)

  • Sam Nam Hur;C. J. Nelson;P. R. Beuselinck;J. H. Coutts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8-294
    • /
    • 1994
  • Birdsfoot trefoil(MO-20)과 tetraploid narrowleaf trefoil(PI302921)및 이들 종간 잡종의 유식물 확력을 건물축적량 광합성율 생장분석 등을 통하여 비교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종간 잡종의 표현형은 그 들 부모의 중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암호흡, 광합성 및 휴식물생육은 이 들 모계 계통인 MO-20 birdsfoot trefoil과 유사하였다. 중간잡종은 birdsfoot trefoil 보다 빨리 자랐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교잡종은 narrowleaf trefoil보다 유식물 활력이 더 우수하였는데 그것은 낮은 암호흡율과 높은 상대성장율에 기인되었다. 앞으로 birdsfoot trefoil의 유식물 활력의 유전적인 개량은 새로운 분야로서 개량의 여지가 많음을 보여 주었다.

  • PDF

Eu3+ 농도에 따른 Ba1-xMoO4:Eux3+ 형광체의 발광 특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Ba1-xMoO4:Eux3+ Phosphors Subjected to Eux3+ Concentration)

  • 황수민;박태준;정우진;장원우;김춘수;조신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추계총회 및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104
    • /
    • 2012
  • 고상반응법을 사용하여 $Eu^{3+}$ 이온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Ba_{1-x}MoO_4:Eu{_x}^{3+}$ 형광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합성한 적색 형광체의 결정 구조, 표면 형상, 발광 및 흡수 스펙트럼은 각각 XRD, SEM,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형광체 분말의 결정 구조는 $Eu^{3+}$ 이온의 농도비에 관계없이 $2{\theta}=26.52^{\circ}$에 주 피크를 갖는 정방정계이었으며, 최대 적색 발광 스펙트럼은 618 nm에서 관측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HIGH-DENSITY U/AL DISPERSION PLATES FOR MO-99 PRODUCTION USING ATOMIZED URANIUM POWDER

  • Ryu, Ho Jin;Kim, Chang Kyu;Sim, Moonsoo;Park, Jong Man;Lee, Jong 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5권7호
    • /
    • pp.979-986
    • /
    • 2013
  • Uranium metal particle dispersion plates have been proposed as targets for Molybdenum-99 (Mo-99) production to improve the radioisotope production efficiency of conventional low enriched uranium targets. In this study, uranium powder was produced by centrifugal atomization, and miniature target plates containing uranium particles in an aluminum matrix with uranium densities up to 9 $g-U/cm^3$ were fabricated. Additional heat treatment was applied to convert the uranium particles into UAlx compounds by a chemical reaction of the uranium particles and aluminum matrix. Thus, these target plates can be treated with the same alkaline dissolution process that is used for conventional $UAl_x$ dispersion targets, while increasing the uranium density in the target plates.

Phase-field simulation of radiation-induced bubble evolution in recrystallized U-Mo alloy

  • Jiang, Yanbo;Xin, Yong;Liu, Wenbo;Sun, Zhipeng;Chen, Ping;Sun, Dan;Zhou, Mingyang;Liu, Xiao;Yun, D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226-233
    • /
    • 2022
  • In the present work, a phase-field model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crystallization on bubble evolution during irradiation.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bubbles and grain boundary (GB), a set of modified Cahn-Hilliard and Allen-Cahn equations, with field variables and order parameters evolving in space and time, was used in this model. Both the kinetics of recrystallization characterized in experiments and point defects generated during cascade were incorporated in the model. The bubble evolution in recrystallized polycrystalline of U-Mo alloy was also investiga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GB with a large area fraction generated by recrystallization accelerates the formation and growth of bubbles. With the formation of new grains, gas atoms are swept and collected by GBs. The simulation results of bubble size and distribution are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스테인레스 스틸/질화규소 접합체의 기계적 특성 및 유한요소법에의한 잔류응력 해석 (Mechanical Strength and FEM Residual Stress Analysis of Stainless Steel/$Si_{3}M_{4}$ joints)

  • 김태우;박상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68-475
    • /
    • 1995
  • 활성금속 브레이징 방법으로 스테인레스 스틸과 질화규소를 접합하여 기계적 특성 및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접합체에서 발생되는 잔류응력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고강도 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성금속인 Cu 및 Cu/Mo 적층체를 중간재로 사용하였으며, 중간재의 두께 및 구조에 따라 접합체에서 발생되는 잔류응력의 크기 및 분포가 접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중간재인 Cu의 두께가 0.2mm 일대 세라믹스에 발생되는 최대 잔류응력의 크기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최대 접합강도가 나타났다. Cu/Mo 다층 중간재를 사용한 접합체에서는 Cu/Mo 두께비가 감소할수록 접합강도는 증가되었다. 스테인레스 스틸/질화규소 접합체에서 Cu/Mo 중간재의 사용은 Cu 중간재 사용보다 접합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최대 접합강도는 450Mpa 정도이었다. Cu/Mo 중간재를 사용한 접합체에서는 Mo에 최대 인장방향의 잔류응력이 발생하여 강도 측정시 Mo의 지배적인 소성변형으로 잔류응력이 감소되어 접합체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