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서비스

검색결과 1,790건 처리시간 0.052초

BPEL을 이용한 웹서비스 기반의 u-SCM 프로세스 모델링 (Web Service-based u-SCM Process Modeling using BPEL)

  • 박현실;최은미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2-558
    • /
    • 2008
  •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인프라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정착하고 있다. 산업분야에서는 관계적 협업이 중시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실시간 기업이 되기 위해 RFID, EPC 네트워크 등의 기술을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에 적용한 u-SCM으로 적용할 수 있다. 웹 서비스 환경에서 u-SCM을 적용하면서도 고차원의 공급사슬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상호작용주체가 참여하는 글로벌 프로세스 수준에서 u-SCM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SCM에 적용한 u-SCM 프로세스를,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언어인 BPEL(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을 적용하여, 각 업무프로세스를 웹서비스로 구성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적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기업, 조직 간에 적재적소에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접근 및 분석하여, 업무 프로세스의 중단이 없도록 u-SCM 프로세스의 진행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향후 u-SCM프로세스 수행 결과를 토대로 프로세스의 개선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PDF

시나리오 경영기법을 적용한 U-City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방안 연구: u-수질 모니터링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ology of the U-City Service Scenarios which Apply the Scenario Management Techniques)

  • 서현식;이종면;오재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44
    • /
    • 2009
  • U-City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u-Service를 필요로 한다. 각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U-City 건설 및 u-Service 발굴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러 연구들을 통해 그 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정부도 다양한 정책 및 시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U-City 서비스 관련 많은 연구들은 기술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복잡하고 다원적인 U-City 환경을 명확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현상은 U-City를 기획함에 있어서 미래의 환경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기인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투명한 U-City 방향성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시나리오 경영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U-City 전문가들과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U-City 구축에 있어서의 불투명성을 확인 하였다. 시나리오 적용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u-수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여러 논의를 거친 후, 유관기관과의 상호연계 서비스, 지자체간 상호연계 서비스 등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U-City 서비스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U-City 개발 관련자들은 U-City의 특정을 예측하고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프레임워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비쿼터스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서버 디바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u-Server Device for Ubiquitous Web Services)

  • 김태균;황윤영;임형준;이규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72-7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컨버전스 할 수 있는 u-서비스버스(Universal ServiceBus)와 u-서비스 프로토콜(Universal Service Protocol)을 탑재하여 어떤 형태의 서비스도 연동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구현한다. 이를 통해 u-서비스버스와 연동되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가진 u-서버 디바이스(Universal Server Device)를 구현한다. 또한 u-서비스 프로토콜을 탑재함으로써 현재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의 수정 없이 Plug-and-Play가 되어 동작하도록 하여 다양한 프로토콜을 가진 디바이스와 모두 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u-Home 표준화와 서비스

  • 박상훈
    • TTA 저널
    • /
    • 통권110호
    • /
    • pp.33-35
    • /
    • 2007
  • "u-home 서비스는 21세기를 대비하기 위한 신성장동력 산업의 핵심에 있으며,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u-home 서비스가 다양한 기술로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간의 상호운용성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사용자의 불편함을 고려하면 산.학.연 관계자는 머리를 맞대고 표준화를 추진해야 할 일이다. 또한 u-city 아키텍처 안에서 u-home을 구현하여야 홈네트워크 산업이 꽃을 피울 수 있게 될 것이다(전호인 경원대 교수)"- 이번 호에서는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 망으로 융합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상관없이 우리에게 편리함, 안전함, 즐거움, 건강한 삶을 제공하게 될 u-home 서비스 및 표준화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전략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PDF

u-Healthcare의 개념 및 보건의료서비스에의 적용 (Defining u-Healthcare with Application in Healthcare Areas)

  • 김시연;이윤태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9-382
    • /
    • 2008
  • u-Healthcare 활성화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시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이해자들의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개념정립 및 분류체계가 미비한 실정이다. 새로운 서비스 영역인 u-Healthcare 분야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적 전략과 제도적 정비 등의 기반조성이 필요하며, 이에 앞서 명확한 개념 정의와 영역 범주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biquitous computing 속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u-Health 환경과 u-Healthcare를 정의하며, 보건의료적 접근에 의한 분류를 통해 보건의료서비스에의 적용가능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u-City 서비스 정보보호 위협 및 보호대책

  • 이익섭;김호성;이완석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5
    • /
    • 2008
  • 유비쿼터스 기술의 보급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도시시설 등이 IT기술과 융합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개별 네트워크에서 운영되던 각종 IT 서비스들도 u-City 서비스로 융합되고 있다. 하지만, u-City 안에서 새로이 융합되는 신규 IT서비스들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보안요소의 고려 및 적용이 미흡할 경우에 u-City 서비스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u-City 서비스에서 발생 가능한 정보보호 위협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보보호대책 및 정책 과제를 제시하도록 한다.

한국의 u-City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Quality of u-City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Korea : Focusing on Public Services)

  • 곽진조;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1-1358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의 u-City 공공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 정보시스템 품질 평가의 근간인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에 "공공성" 요인을 추가하여 u-City서비스 품질 평가 개념에 대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SPSS 12.0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AMOS 16.0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연구모형의 적합기준과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의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u-City서비스품질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분석 결과,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공공성"요인은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요인은 유용성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u-City 공공 서비스는 누구나 공평하게 그리고 지역적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자원의 충족성이 중요한 서비스 속성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U-City 통합운영센터 구축을 위한 서비스 분류 및 정의에 관한 연구 (U-City Service Taxonomy and Define for Construction of U-City Management Center)

  • 백남석;김병건;임춘성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0-114
    • /
    • 2009
  • 최근 정보기술과 유비쿼터스기술을 바탕으로 도시를 미래화하는 유비쿼터스도시(U-City)구축이 범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8년 9월 25일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발표하였으며,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U-City Service)를 크게 행정, 교통, 보건 의료 복지, 환경, 방범 방재, 시설물 관리, 교육, 문화 관광 스포츠, 물류, 근로 고용 등의 분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 및 관리하는 시설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U-City Management Center)는 다양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도시정보를 통합, 분석하고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도시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구축은 운영조직구성, 운영비용확보, 통합서비스 제공방안, 법 제도 정비 등의 해결과제를 가지고 있어 구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유형을 제시하고 정의한다.

  • PDF

효율적인 U-street 형성을 위한 서비스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Service Plan for Forming The Effective U-street)

  • 류윤진;최윤길;김도년;진상윤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8-254
    • /
    • 2010
  •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도시의 구조가 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2004년 이후부터 대두된 유비쿼터스 도시(U-City)는 사회 각 분야에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U-City는 언제 어디서나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유비쿼터스기술을 도입한 도시 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며 현재 우리나라의 U-City는 체계적인 서비스 도출 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특징적인 가로를 대상으로 U-서비스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체계적인 서비스 도출 방안과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 방안,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도출 방안에 대해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비쿼터스 도시내에서의 교통 돌발상황 대응조치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정의 연구 (The Study on Transportation Incident Reaction Management Service In The Ubiquitous City)

  • 장정희;안승주;한상주;조용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09-612
    • /
    • 2010
  • 유비쿼터스 IT시대에 우리사회가 적절하게 대응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u-City 서비스 개발에 대한 움직임이 강하게 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u-City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돌발상황에 대하여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 할 수 있도록 교통 돌발상황 대응조치 서비스에 관한 정의서를 작성 하였다. u-교통 돌발상황 대응조치 서비스의 주요 특징, 프로세스, 서비스 주요 기능을 정의하고, 비즈니스 모델 및 R&R, 시스템 구성을 분석 정의 하였다. 이 정의서를 통하여, u-Ctiy 내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적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