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I

검색결과 3,485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어와 일본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을 위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gree of Phonetic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owels)

  • 권성미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3호
    • /
    • pp.47-66
    • /
    • 2007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degree of phonetic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owels in terms of acoustic features by performing the speech production test on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For this purpose, the speech of 16 Japanese speakers for Japanese speech data, and the speech of 16 Korean speakers for Korean speech data were utilized. The findings in assessing the degree of the similarity of the 7 nearest equivalents of the Korean and Japanese vowel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i/ and /e/ turned out to displa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1 and F2 with their counterparts, Japanese /i/ and /e/, and the distribution of F1 and F2 of Korean /i/ and /e/ in the distributional map completely overlapped with Japanese /i/ and /e/. Accordingly, Korean /i/ and /e/ were believed to be "identical." Second, Korean /a/, /o/, and /i/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F1 or F2, but showed a great similarity in distribution of F1 and F2 with Japanese /a/, /o/, and /m/ respectively. Korean /a/ /o/, and /i/, therefore, were categorized as very similar to Japanese vowels. Third, Korean /u/, which has the counterpart /m/ in Japane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F1 and F2, and only half of the distribution overlapped. Thus, Korean /u/ was analyzed as being a moderately similar vowel to Japanese vowels. Fourth, Korean /${\wedge}$/ did not have a close counterpart in Japanese, and was classified as "the least similar vowel."

  • PDF

ON CLEAN AND NIL CLEAN ELEMENTS IN SKEW T.U.P. MONOID RINGS

  • Hashemi, Ebrahim;Yazdanfar, Marzieh
    • 대한수학회보
    • /
    • 제56권1호
    • /
    • pp.57-71
    • /
    • 2019
  • Let R be an associative ring with identity, M a t.u.p. monoid with only one unit and ${\omega}:M{\rightarrow}End(R)$ a monoid homomorphism. Let R be a reversible, M-compatible ring and ${\alpha}=a_1g_1+{\cdots}+a_ng_n$ a non-zero element in skew monoid ring $R{\ast}M$. It is proved that if there exists a non-zero element ${\beta}=b_1h_1+{\cdots}+b_mh_m$ in $R{\ast}M$ with ${\alpha}{\beta}=c$ is a constant, then there exist $1{\leq}i_0{\leq}n$, $1{\leq}j_0{\leq}m$ such that $g_{i_0}=e=h_{j_0}$ and $a_{i_0}b_{j_0}=c$ and there exist elements a, $0{\neq}r$ in R with ${\alpha}r=ca$. As a consequence, it is proved that ${\alpha}{\in}R*M$ is unit if and only if there exists $1{\leq}i_0{\leq}n$ such that $g_{i_0}=e$, $a_{i_0}$ is unit and aj is nilpotent for each $j{\neq}i_0$, where R is a reversible or right duo ring. Furthermore, we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clean and nil clean elements of R and those elements in skew monoid ring $R{\ast}M$, where R is a reversible or right duo ring.

현대전 $C^3$I 역할

  • 이상철;김영기;이성우
    • 전자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2-83
    • /
    • 1988
  • 본문에서는 현대전에 있어서 군전력의 핵심이 되는 지휘. 통제, 통신 및 정보(C3I)체계에 대하여 논의코자 한다. 먼저 C3I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C3I 체계의 기능과 계층별 구조 및 그 운용 개념등을 설명하였다. 우리나라의 C3I체계 구현을 위해서 선진국의 C3I체계 개발 현황을 소개하였고 소요 핵심 기술과 특히 연구 개발자를 위한 군요구 정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체계 개발을 위한 점진적 개선 방안을 건의 하였고 군 전력 승수(force multiplier)로써의 C3I 역할을 설명하였다.

  • PDF

퇴계 이황의 『중용』 해석 (Toegye(退溪)'s interpretation of Chungyong(中庸))

  • 서세영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45-76
    • /
    • 2014
  • 본고에서는 성리학의 조선식 수용의 완성을 이끌었던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이, "중용(中庸)"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는지, 그 해석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작업이 중점을 두는 것은 "중용"에 대한 독자적인 퇴계의 관점을 밝히는 것보다는 퇴계가 어떤 방식을 통해 주희(朱熹)가 제시한 성리학의 체계에 맞추어 "중용"을 이해해 나갔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먼저 "중용" 이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는데, 이 작업은 조선 시대 "중용" 해석의 사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작업을 통해 도출되었다. 1) "중용"의 전체 구조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와 2) "중용" 본문에 나타나는 주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두 가지 연구 방향이다. 이 연구 방향을 기준으로 퇴계의 "중용" 이해를 분석하였는데, 곧 퇴계의 작업은 전체 구조를 파악함에 있어 "중용장구(中庸章句)" 장절(章節) 구조와 분절 체제를 따르며, "중용"의 주요 개념을 이해함에 있어 주희의 주석과 "중용장구대전(中庸章句大全)"의 소주(小註)를 바탕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중용석의(中庸釋義)"와 "중용질의(中庸質疑)"의 분석을 통해 구조적 측면에서 "중용장구"의 구조와 분절 체제를 따르고 있음을 살폈고, 이어서 "중용장구"의 의미 단락에 근거하여 각 부분의 주요 개념들에 관한 퇴계의 논의를 살펴 주자주와 소주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맥락 안에서 "중용"을 이해하며, 해석의 다양성을 줄이고 하나의 의미를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