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hoon hi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2016년 태풍 차바에 의한 해빈변화 (Beach Deformation Caused by Typhoon Chaba in 2016 Along the Manseongri Coast Related Coastal Improvement Project)

  • 박일흠;박완규;정승명;강태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0-718
    • /
    • 2017
  •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량된 해빈자료와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 내습시 관측된 강력한 해빈변형외력으로부터 해빈변화가 현장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기술되었다.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빈은 양빈 이후 3개월에 걸쳐 자연외력에 반응된 안정화가 서서히 진행되었으나 태풍 차바에 의해 그 안정화가 깨어졌으며, 태풍내습 2개월 후부터 다시 안정적인 해빈을 나타내어 양빈 1년 후까지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태풍 차바 내습직후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은 도류제가 설치된 부근해빈과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서 주로 해안선이 후퇴하였고, 잠제배후역에서 해안선이 전진하였다. 또한 태풍내습직후 해빈체적이 $3,395m^3$ 감소하였는데, 감소한 영역은 주로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 집중되었으며 잠제배후의 후빈역은 오히려 퇴적되었다. 따라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수행된 연안정비사업은 파랑에 기인한 표사이동이 지배적인 이곳에서 해빈보존에 상당히 기여하였다

Gap characteristics and natural regeneration in Mt. Makiling rainforest, the Philippines

  • Kim, Hyun-Ji;Kim, Tae-Geun;Kim, Eun-Hee;Castillo, Manuel L.;Cho, Do-S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2호
    • /
    • pp.157-16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gaps and natural regeneration of trees on Mt. Makiling, the Philippines. Canopy gaps in or around two 1-ha permanent plots and on 3-km line transects were investigated. Most of the gaps studied were formed or affected by Typhoon Milenyo, which hit the study site in September 2006. The most frequent mode of gap maker death was snap-off, whereas uprooting was relatively less important. The most frequent gap maker was balobo (Diplodiscus paniculatus) followed by magabuyo (Celtis luzonica) and katmon (Dillenia philippinensis). In contrast, the most frequent gap filler was magabuyo (C. luzonica). At the sapling layer, the most important species was magabuyo (C. luzonica), but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lianas and palms. Most of the gaps had leaf area index (LAI) values between 3 and 5. A clear trend of a decrease in gap size and an increase in LAI was observed for 2 years from 2007 to 2009. New seedlings emerged very abundantly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e rapid changes in the gaps were partially due to the excellent capability of tropical trees to resprout after the crown or stem was damaged by the typhoon. This study on gap dynamics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regeneration process of trees in tropical rainforests.

타워크레인 로프가잉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Rope Guying of Tower Cranes.)

  • 이원석;호종관;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7-252
    • /
    • 2009
  • With the increasing use of tower cranes higher than free standing height, the importance of lateral support is also growing. Since the fall of 43 tower cranes hit by the last typhoon 'Mami' in 2003, regulations and concerns about safety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e increased and construction laws regarding lateral support have been strengthened.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large-scale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works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Rope Guying is a more economical construction method than Wall Brace which fixes building structure like building wall and slab. The safety of this Rope Guying is not verified and many construction works are still carried out based on the experience of site managers. There has been no case of construction work where frame and measurements are appl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fety of Rope Guying method and ensur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quipment and prevention of disasters.

  • PDF

긴급복구용 자주조립식 철주 절연암 개발 (Development of Arm Insulator for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 민병욱;위화복;박재웅;이철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7-108
    • /
    • 2007
  • Overhead transmission lines are complete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is causes faults in transmission lines due to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ome cases, transmission towers are damaged by typhoons and snow, as well as sleet on the transmission lines.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air the damaged towers. For emergency restoration purposes, steel poles are installed to temporarily supply power. Before 2003, emergency restoration steel poles were made of angled steel, which required a large number of beams, bolts, etc. In addition, the foundation of the steel pole and ground wire was constructed using excavation and burial methods, therefore it required a lot of manpower and time to construct temporary transmission lines. In September 2003, typhoon Maemi, whose maximum wind speed was 60m/s, hit Korea. 'Maemi' destroyed transmission lines in the Busan and Geojea area, causing long blackouts. To reduce the recovery time to the damaged transmission lines,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s were developed.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s reduced recovery time from 24 hours to 4 hours or less. However, the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had no arms, so the temporary transmission lines could only be constructed without curves in line routes. In this paper, solving these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limitations, using insulated arms(designed for use with the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shall be explained.

  • PDF

Accuracy Measurement of Image Process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 Jong-Hyun Lee;Sa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212-220
    • /
    • 2024
  • When a typhoon or natural disaster occurs, a significant number of orchard fruits fall. This has a great impact on the income of farmer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I-based method to enhance low-quality raw images. Specifically, we focus on apple images, which are being used as AI training data. In this paper, we utilize both a basic program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conduct a general image process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apples in an apple tree image. Our objective is to evaluate high and low performance based on the close proximity of the result to the actual numb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utiliz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VGG16, and RandomForest models, as well as a model utilizing tradition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study found that 49 red apple fruits out of a total of 87 were identified in the apple tree image, resulting in a 62% hit rate after the general image process. The VGG16 model identified 61, corresponding to 88%, while the RandomForest model identified 32, corresponding to 83%. The CNN model identified 54, resulting in a 95% confirmation rate. Therefore, we aim to selec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with outstanding performance and use a real-time object separation method employing artificial function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o identify orchard fruits. This application can notably enhance the income and convenience of orchard farmers.

태풍 내습 시 자갈 해빈의 지형반응 - 부산 태종대 감지 해빈의 사례 (Morphologic Response of Gravel Beach to Typhoon Invasion - A Case Study of Gamji Beach Taejongdae in Busan)

  • 이영윤;장태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30
    • /
    • 2020
  • 자갈해빈에 대한 태풍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태종대 감지 자갈해빈에서 2018년 10월에 내습한 태풍 '콩레이'와 2019년 7월의 태풍 '다나스'에 대하여 VRS-GPS, 드론 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전반적인 퇴적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입도분석을 하였으며, 자갈해빈의 회복력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감지해빈의 지형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자갈퇴적물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평균 -6.2Φ에서 -5.4Φ로 세립해지며, 해안선의 수직방향으로는 포말대(swash zone)에서 상대적으로 세립한 구형의 퇴적물(-4.5Φ)이, 범(berm)에서는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편평한 퇴적물(-5Φ - -6Φ)이 나타난다. 감지 자갈해빈은 특징적으로 2열의 범을 갖는데, 해빈의 전방에 정상조건에서 형성되는 하부 범(lower berm)과 약 10 m 후방에 상부 범(upper berm)이 존재한다. 태풍 콩레이 내습 후 감지해빈은 육지쪽에 위치한 상부 범에서 약 1.4 m의 침식이 발생하여 상부 범이 사라졌고, 상부 범의 배후지에서는 평균 약 50 cm 침식되어 그 고도가 낮아졌으나, 하부 범에서의 침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상대적으로 위력이 약한 태풍 다나스의 경우, 내습 직후 감지해빈은 하부 범과 상부 범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평균 80 cm 높이의 퇴적물이 침식되었으나, 반면 배후지에서는 50 cm 높이의 퇴적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내습 후 하부 범에서 빠른 속도로 퇴적이 발생하여 내습 약 3일내에 소실되었던 하부 범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지 자갈해빈이 태풍에 의한 지형변화가 일시적으로 발생하지만, 이후 정상조건에서 태풍 이전의 지형으로 매우 빠르게 회복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갈해빈의 경우 태풍침식에 대한 복원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부산 신항만에서 수로 및 박지 준설에 따른 항만정온도의 변화 분석 (Analysis of Harbor Responses due to the Dredging Work at Waterway and Mooring Basin in Busan New Port)

  • 이중우;이학승;이훈;양상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7-104
    • /
    • 2006
  • 최근 부산 신항만의 1단계 개발이 북 컨테이너 터미널쪽으로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12,000TEU 대형 컨테이너선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접근 수로 및 박지의 수심을 기존 15m 에서 18m로 준설작업을 통해 증심시킴과 아울러, 신항만의 웅동만 내 일부 수역을 매립하는 것으로 항만배후지 부분의 매립계획에 대한 수정이 논의되고 있다. 더구나 2003년 태풍 매미의 내습 이후 이곳 해역에서 항만구조물 설계의 기준이 되는 입사 파랑의 변화로 인해 각 부두에서의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에도 다소의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 부두에서의 정온도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후 현장 계측 자료와 함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태풍내습 시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부산 신항만에서 수로 및 박지 준설에 따른 항만정온도의 변화 분석 (Analysis of Harbor Responses due to the Dredging Work at Waterway and Mooring Basin in Busan New Port)

  • 이중우;이학승;이훈;양상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24
    • /
    • 2005
  • 최근 부산 신항만의 1단계 개발이 북 컨테이너 터미널쪽으로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12,000TEU 대형 컨테이너선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접근 수로 및 박지의 수심을 기존 15m 에서 18m로 준설작업을 통해 증심시킴과 아울러, 신항만의 웅동만 내 일부 수역을 매립하는 것으로 항만배후지 부분의 매립계획에 대한 수정이 논의되고 있다. 더구나 2003년 태풍 매미의 내습 이후 이곳 해역에서 항만구조물 설계의 기준이 되는 입사 파랑의 변화로 인해 각 부두에서의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에도 다소의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 부두에서의 정온도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후 현장 계측 자료와 함께 실험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태풍내습 시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of Water Areas from Satellite Imager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Sohn, Hong-Gyoo;Song, Yeong-Sun;Jung, Won-Jo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1호
    • /
    • pp.33-41
    • /
    • 2003
  • Every year, several typhoons hit the Korean peninsula and cause severe damage. For the prevention and accurate estimation of these damages, real time or almost real time flood information is essential. Because of weather conditions, images taken by optic sensors or LIDAR are sometimes not appropriate for an accurate estimation of water areas during typhoon. In this case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which are independent of weather condition can be useful for the estimation of flood areas. To get detailed information about floods from satellite imagery, accurate classification of water areas is the most important step. A commonly- and widely-used classification methods is the ML(Maximum Likelihood) method which assumes that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values of the images follows a Gaussian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values of the SAR image, however, usually does not follow a Gaussian distribution.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the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s) method independent of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images is applied to the SAR imagery. RADARS A TSAR images are primarily used for extraction of water areas, and DEM (Digital Elevation Model) is used as supplementary data to evaluate the ground undulation effect. Water areas are also extracted from KOMPSAT image achieved by optic sensors for comparison purpose. Both ANN and ML methods are applied to flat and mountainous areas to extract water areas. The estimated areas from satellite imagery are compared with those of manually extracted results. As a result, the ANN classifier performs better than the ML method when only the SAR image was used as input data, except for mountainous areas. When DEM was used as supplementary data for classification of SAR images, there was a 5.64% accuracy improvement for mountainous area, and a similar result of 0.24% accuracy improvement for flat area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PDF

숲가꾸기가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tending on Landslide)

  • 윤호중;우충식;이창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17-422
    • /
    • 2011
  • 숲가꾸기를 하여 산림건강성을 증진시키면 산사태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식이다. 이를 객관화시키기 위해 GIS를 이용하여 숲가꾸기와 숲가꾸기 하지 않은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발생개소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2006년 7월 15일 인제군에서 태풍 '빌리스'의 영향으로 발생한 산사태 집중지역이며, 인제 국유림관리소에서 획득한 숲가꾸기 자료를 이용하였다. 숲가꾸기 직후에는 산사태 발생이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가꾸기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은 영급에 따른 산사태 발생변화가 작지만 숲가꾸기를 실시한 지역은 영급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