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hoon Maemi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4초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해안부유쓰레기 거동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 유창일;윤한삼;김규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14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장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해안부유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제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자수치모의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 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범위를 유지하였다.

  • PDF

우리나라 남해안의 기상재해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Meteorological Disaster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2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최근 20년(1989-2008년)간의 우리나라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남해안의 기상재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년 동안에 남해안에서 발생한 기상재해는 총 149건으로 연평균 7.5건이었다. 7월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월, 9월의 순이었다. 7-9월의 기상재해가 전체의 약 42%를 차지하였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여름에 가장 많았고(전체의 약 39%), 그 다음은 가을, 겨울, 봄의 순이었다. 여름에 기상재해가 가장 많은 것은 주로 태풍과 호우와 같은 기상현상 때문이다. 태풍 중에서도 특히, 남해안에 상륙하는 경우가 대규모의 인적 물적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와 같은 태풍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9112호 글래디스와 0215호 루사 그리고 0314호 매미를 들 수 있다.

강릉지역 국도의 재해위험성 평가 (Hazard Risk Assessment for National Roads in Gangneung City)

  • 김기홍;원상연;윤준희;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9
    • /
    • 2008
  • 2002년의 루사, 2003년의 매미로 강원도에는 산사태 및 토석류 관련 심각한 재해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피해는 하천도로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2002년 이후 재해대장을 살펴보면 강원도의 산악지형에 이러한 피해가 집중된 현상을 볼 수 있다. 최근 GIS를 활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지역을 예측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산림청에서 제작한 산사태 위험도가 대표적인 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도로에 막대한 피해를 입은 강릉지역의 산사태위험도를 GIS기법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법과 결정론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2002년 이후 국도유지관리사무소의 재해대장과 현장조사를 통한 피해지점의 GIS DB를 구축하였으며, GIS 기법을 통해 제작한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 PDF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부유(해안)쓰레기 거동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 유창일;윤한삼;김규태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3-28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부유(해안)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재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 범위를 유지하였다.

  • PDF

최근 태풍의 Simulation 평가 (Estimate of Simulation for Recent Typhoons)

  • 오종섭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9-46
    • /
    • 2015
  • 시공간적으로 불규칙하게 작용하는 태풍의 변동풍속은 지표면의 조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불규칙한 변동풍속을 받는 저층 중층 고층건물의 안전 및 사용성의 평가는 이와 관련한 많은 파라미터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를 통과한 태풍 매미(2003), 곰파스(2010), 템빈(2012)의 변동풍속자료로부터 난류의 특성 및 스펙트럼의 평가를 알아 보기 위하여 6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했고, 선정된 각 지점에 대한 변동풍속자료는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했지만, 이 자료는 지상 10m 높이에서 관측되었고 1분의 평균자료이다. 이러한 기상청의 자료는 실측자료이기는 하나 1분 평균에 의한 진동수의 영역별 영향이 평균화될 수 있고, 높이에 따른 변동풍속의 특성을 잘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층건물에 영향을 미치는 지상 200m 높이에서의 변동풍속에 대한 확률분포, 난류특성 및 스펙트럼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상청 자료와 Monte Carlo Simu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변동풍속을 해석한 후 비교 검토하였다.

연안역에서 고파랑과 폭풍해일을 고려한 침수해석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Water Waves and Storm Surge in the Coastal Zone)

  • 김도삼;김지민;이광호;이성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41
    • /
    • 2007
  • In general, coastal damage is mostly occurred by the action of complex factors, like severe water waves. If the maximum storm surge height combines with high tide, severe water waves will overflow coastal structures. Consequently, it can be the cause of lost lives and severe property damage. In this study, using the numerical model, the storm surge was simulated to examine its fluctuation characteristics at the coast in front of Noksan industrial complex, Korea. Moreover, the shallow water wave is estimated by applying wind field, design water level considering storm surge height for typhoon Maemi to SWAN model. Under the condition of shallow water wave, obtained by the SWAN model, the wave overtopping rate for the dike in front of Noksan industrial complex is calculated a hydraulic model test. Finally, based on the calculated wave-overtopping rate, the inundation regime for Noksan industrial complex was predicted. And, numerically predicted inundation regimes and depths are compared with results in a field survey, and the results agree fairly well. Therefore, the inundation modelthis study i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inundation regime, due to the coastal flood of severe water wave.

설계풍속 상향조정에 따른 레일클램프의 쐐기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dge Angle of the Rail Clamp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sign Wind Speed Criteria)

  • 이정명;한동섭;이성욱;심재준;한근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03-110
    • /
    • 2006
  • The rail clamp is very important device to prevent that a container crane slips along a rail due to the wind blast as well as to locate the crane in the set position during an operating mode. Recently, the design wind speed criteria were intensified from the wind speed of 16m/s to 35m/s during an operating mode, and from 50m/s to 75m/s during a stowed mode in Korea, according to the 'Inspection Criteria for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Port' reformed after typhoon 'Maemi'. In order to design the wedge type rail clamp for the reinforced design wind speed criteria of 35m/s, we carried out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rail clamp with respect to the wedge angl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dge angle and the sliding distance of the rail clamp.

초고압 송전선로용 V련 현수애자장치의 개발 (A Development of V type Suspension String Set for UHV Transmission Lines)

  • 손흥관;이형권;금의연;민병욱;최진성;최인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97-499
    • /
    • 2004
  • Due to a typhoon named MAEMI on Sep12, 2004, 7 transmission towers collapsed and 3 were damaged in the Gyeongnam and Busan areas. These caused long-term black-outs in Goeje-do. When a transmission tower collapses or is damaged, Construction will take more than 2 months and this will be accompanied by long-term black-outs. Therefore a temporary iron pole is used in such emergencies. Current temporary rehabilitation angle steel iron Pole consistes of around 800 members, 2,800 bolts and it takes about 5 days to construct a temporary transmission line. Consiquently wide black-outs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transmission line. To reduce black-out time, the construction period must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his paper presents new methods to reduce temporary transmission line construction time to within 48 hours by applying a self-reliance assembling method instead of the current man power assembling method and by modulizing each angle steel with duralumin.

  • PDF

실시간 대화형 화산재 확산 예측 시스템에 의한 화산재 확산 예측 (Case Studies of Predicting Volcanic Ash by Interactive Realtime Simulator)

  • 김해동;이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2121-2127
    • /
    • 2014
  • Analyzing the observational data of volcanic activities around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odds of volcano eruption increases continuously. For example, the cumulative seismic moment and frequence observed near Mt. Baekdu show a sudden increased values. In this study, predicting the diffusion of volcanic ash for two ca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interactive realtime simulator, which was developed during last 2 years as a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he first case is Sakurajima volcano (VEI=3) erupted in August 2013. The second case is assumed as the volcanic eruption at Mt. Baekdu (VEI=7) under landing circumstance of typhoon Maemi (August 2003) in Korean peninsula. The synoptic condition and ash diffusion for the two cases were simulated by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model and Lagrangian dispersion model, respectively.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 of the first case (i.e., Sakurajima volcano) with satellite image, the diffusion pattern show acceptable result. The interactive realtime simulator can be available to support decision making under volcanic disaster around East Asia by predicting several days of ash dispersion within several minutes with ordinary desktop personal computer.

타워크레인 기초설계 및 안정성 검토 모델 (Tower Crane Foundation Design and Stability Review Model)

  • 호종관;한갑규;김선국
    • KIEAE Journal
    • /
    • 제7권6호
    • /
    • pp.99-106
    • /
    • 2007
  • Tower crane is a large construction equipment which is extremely tall for its section when it is erected, with its high slenderness ratio, and it has a heavy load by itself due to large lifting stuff to handle. In line with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these days which increasingly tend to become higher, larger and complex, the stuff and height subject to lifting are also getting larger and higher, which has also increased the risk of disastrous accidents. A stable foundation design thus to deal with the increasing self load becomes more important. When a typhoon Maemi swept the nation in 2003, as many as 43 tower cranes fell down or collapsed, causing a severe damage to the people and the properties. Considering such fatal damages, a technical evaluation of the stability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with the tower crane must be very crucial. Tower cranes operation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in fact, have been simply dependent on personal experience and intuition of the engineers.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the foundation design, it mostly depends on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The study hence was intended to develop the fundamental measures for granting the objective stability, instead of following the individual's experience only. The simulation model recommended in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mmitment to achieving an effective lifting work as well as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