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III 극치분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초

한국 연안 심해 설계파고의 극치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n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s of Deepwater Design ave Heights off the Korean Coast)

  • 정신택;김정대;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0-141
    • /
    • 2004
  • 연안 및 항만구조물의 설계에서 심해 설계파는 매우 중요한 환경인자이다. 특히, 심해설계파고의 분포 정보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신뢰성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해양연구원(2003)에서 제시한 1979년부터 1998년까지의 한국연안 67개 지점의 16방향별 최대 유의파 산출자료를 이용하여 극치분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성분석에 사용된 극치분포함수는 Weibull, Gumbel, Log-Pearson Type-III, Lognormal 분포이며, 각 분포함수의 매개변수는 모멘트법, 최우도법 그리고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극치분포함수의 적합성은 95% 신뢰도 수준으로 $\chi$$^2$및 K-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연안의 심해 설계파고는 Gumbel 분포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파악되었으며, 최적 추정된 매개변수 및 재현기간 50년에 대한 심해 설계파고 정보를 제시하였다.

한강 인도교 지점의 계획홍수량 산정을 위한 지점빈도해석 (Point Frequency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Design Flood at Indogyo Site)

  • 윤용남;원석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69-481
    • /
    • 1998
  • 한강 인도교 지점의 1918년부터 1992년 간의 총 68년의 연최대 홍수량 계열 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3변수 대수정규분포, 제1형 극치분포, 제3형 극치분포 및 Pearson type-III분포에 의한 확률 홍수량의 값이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100년 및 200년 빈도 홍수량의 값은 각각 35,500 m3/sec 및 39,000 m3/sec로 계산되었다. 또한 유역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댐의 홍수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댐이 존재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홍수량 계열을 수정한 후 빈도해석을 실시한 결과 빈도 홍수량은 33,500 m3/sec 및 37,500 m3/sec 로 계산되었다. 200년 홍수량 37,500 m3/sec는 현 한강하류부 고시유량인 37,000 m3/sec와 비교하면 비슷한 값이며,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증가성향을 감안하면 현 고시유량의 고수가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강우자료의 분리효과 (Separation Effect Analysis for Rainfall Data)

  • 김양수;허준행
    • 물과 미래
    • /
    • 제26권4호
    • /
    • pp.73-83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자료에 대한 분리효과를 검토하였다. 2변수 대수정규분포, 3변수 대수정규분포등, TYPE-극치분포, 2변수 Gamma 분포, 3변수 Gamma 분포, Log-Pearson Type-분포, GEV분포 등 7개 분포함수를 선정하고, Monte C미개 실험을 이용하여 과거 강우기록 자료로부터 얻은 왜곡도의 평균과 표준편차와 각 분포형들로부터 모의된 왜곡도의 평균과 표준편차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강우자료는 3변수 Gamma 분포를 제외한 나머지 6개 분포형에서 분리현상을 보였다.

  • PDF

남서 해역 심해 설계 파고 및 풍속의 극치분석 (The Extreme Value Analysis of Deepwater Design Wave Height and Wind Velocity off the Southwest Coast)

  • 김강민;이중우;이훈;양상용;정영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51
    • /
    • 2005
  • 연안 및 항만시설물의 설계에서 심해 설계파 및 풍속은 매우 중요한 설계 파라메타이다. 특히, 최근 부각되고 있는 방재공학 측면에서 이러한 정보에 대한 분석단계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도관측소의 기상연보에서 제시한 1978년부터 2003년까지의 풍속자료와 한국해양연구원 파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16방향별 최대 유의파 산출자료를 이용하여 극치분석을 수행하였다. 특성분석에 사용된 극치분포함수는 Weibull, Gumbel, Log-Pearson Type-III, Normal, Lognormal, Gamma 분포이며, 각 분포함수의 매개변수는 모멘트법, 최우도법 그리고 확률 가중 모멘트법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극치분포함수의 적함성은 5${\%}$의 유의수준 즉, 95${\%}$신뢰도 수준으로 $x^{2}$및 K-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 남서연안의 심해 설계파고는 Gumbel 분포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파악되었으나, 본 연구의 대상영역에 적합한 모형은 각각의 극치자료에 따라 선정된 확률분포에 의해 다르게 나타났다.

  • PDF

설계갈수량의 유도를 위한 수문통계학적 연구(II) (Statistical Studies on the Derivation of Design Low Flows (II))

  • 이순혁;박명근;박종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9-47
    • /
    • 1992
  • Derivation of reasonable design low flows was attempt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low flows was derived by Power and SMEMAX transformations for the normalizations of skewed distribution and by Type m extremal distribution presented in the first report of this study with annual low flows in the five watersheds of main river basins in Korea. The results were ans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1.Basic statistics of annual low flows for the selected watersheds were calculated by using Power and SMEMAX transformations. 2.Power thansformation has found to be the best for the normalization of skewed distribution among others including log, square root and SMEMAX transformations. 3.Design low flows for the selected watersheds were derived by the Power and SMEMAX transformations. 4.Judging by the relative suitabilities of the Type III extremal distribution, Power and SMEMAX transformation, it was found that design low flows of all methods are closer to the observed data within 10 years of the return period and those of Power transformation can be acknowledzed as a reasonable one among oth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an between values of Type m extremal distribution and SMEMAX transformation in addition to closing the observed than others over 10 years of the return period.

  • PDF

설계갈수량의 유도를 위한 수문통계학적 연구 (I) (Statistical Studies on the Derivation of Design Low Flows (I))

  • 이순혁;박영근;박종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52
    • /
    • 1992
  • Design low flows were derived from the decision of a best fit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of an optimum transformation method can be contributed to the planning of water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hydraulic structures during dry season in the main river systems in Korea.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1.Basic statistics for the selected watersheds were calculated as one of means for the analysis of extremal distribution. 2.Parameters for the different frequency distributions were calculated by the method of moment. 3.Type m extremal distribution was confirmed as a best one among others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low flows by x$^2$ goodness of fit test. 4.Formulas for the design low flows of the Type m extremal distribution with two and three parameters were dervied for the selected watersheds. 5.Design low flows for the Type m extremal distribution when a minimum drought is zero or larger than zero were derived for the selected watersheds, respectively. 6.Design low flows of the Type m extremal distribution with two parameters are appeared to be reasonable when a minimum drought approaches to zero and the observed low flows varied within a relating small range while those with three parameters are see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low flows when a minimum drought is larger than zero and the observed low flows showed a wide range.

  • PDF

간헐(間歇) 수문과정(水文過程)의 모의발생(模擬發生) 모형(模型)(I) - 교대재생과정(交代再生過程)(ARP)과 연속확률분포(連續確率分布) - (A Simulation Model for the Intermittent Hydrologic Process(I) - Alternate Renewal Process (ARP) and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

  • 이재준;이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09-521
    • /
    • 1994
  • 본 연구는 간헐 수문과정인 일 강수계열의 모의발생 모델을 개발한 것으로서, 일 강수계열의 구조적 특성인 강수발생과정과 습윤일의 강수량과정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두편이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I)에서는 강수발생과정을 위하여 고대재생과정(ARP)을 이용하였으며, 건조 습윤계속기간 분포에 대해서는 TBD, TPD, TNBD, LSD의 4가지 이산형 확률분포를 적용하였다. 후속논문인 연구(II)에서는 강수발생과정으로 Markov 연쇄모델을 이용한다. 그리고 습윤일의 강수량 분포에 대해서는 Gamma 분포, Pearson Type-III 분포, Type-III 극치분포, 3모수 Weibull 분포의 4가지 연속형 확률분포를 적용하였다. 연구(I)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대구, 고령, 밀양, 영주 관측소 및 섬진강 유역의 하동, 순창, 구례 관측소의 일 강수계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강수발생과정과 습윤일의 강수량과정을 조합하여 구성한 두가지의 일 강수계열 모의발생 모델 A-W, A-G 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한정된 자료로 추정한 설계파고의 신뢰구간 분석 (Analysis of Confidence Interval of Design Wave Height Estimated Using a Finite Number of Data)

  • 정원무;조홍연;김건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91-199
    • /
    • 2013
  • 부산항 신항에서 측정한 14년 동안의 파랑자료를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파고와 신뢰구간을 추정 분석하였다. 극치분석에 사용한 함수는 Gumbel 함수와 Weibull 함수, Kernel 함수이며, 각각의 방법으로 추정한 설계파고의 신뢰구간을 Monte-Carlo 모의기법 중의 하나인 Bootstrap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설계파고의 추정 신뢰구간을 분석한 결과, 약 ${\pm}$10% 수준의 신뢰구간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150년 이상의 자료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가능한 자료의 개수를 25~50개 정도(25~50년 동안의 추정자료)로 간주하는 경우, Type I 분포함수의 경우 허용오차가 ${\pm}$16~22% 정도이며, Type III 분포함수의 경우, ${\pm}$18~24% 정도로 파악되었다. 한편 비모수적 방법에 해당하는 Kernel 분포함수를 이용한 방법은 Type I과 III을 사용한 것에 비해 신뢰구간은 40% 이하 수준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반면, 설계파고는 1.2~1.6 m 정도 낮게 추정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량 및 월 강수량의 확률분포형 결정 (The Determina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Annual, Season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Korea)

  • 김동엽;이상호;홍영주;이은재;임상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 량 그리고 월 강수량의 최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국 32개의 강우 관측소에서 얻은 자료에 대하여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과 평균가중거리 값을 이용하여 각 강수량별 최적 확률분포를 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최적 확률분포형을 관측 지점별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강수량에서는 3변수 Weibull 분포(W3), 봄과 가을에는 3변수 대수정규분포(LN3), 여름과 겨울에는 일반화된 극치분포(GEV)가 관측값에 가장 잘 적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강수량에서는 1월은 LN3, 2월과 7월은 W3, 3월은 2변수 Weibull 분포(W2), 4월, 9월, 10월, 11월은 일반화된 Pareto 분포(GPA), 5월과 6월은 GEV, 그리고 8월과 12월은 log-Pearson type III 분포(LP3)가 가장 잘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적 확률분포형의 지점별 적합도 검정의 결과, 1월, 4월, 9월, 10월, 11월의 GPA와 LN3에 대한 기각율이 확률 분포의 매개변수 추정에서의 오류와 상대적으로 높은 AWD 값으로 인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23개 관측소의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해본 결과 기존의 32개 의 관측소 자료를 이용한 것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보다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더 장기간의 표본자료를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