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step adhesive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additional etching and ethanol-wet bonding on the dentin bond strength of one-step self-etch adhesives

  • Ahn, Joonghee;Jung, Kyoung-Hwa;Son, Sung-Ae;Hur, Bock;Kwon, Yong-Hoon;Park, Jeong-Ki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1호
    • /
    • pp.68-74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tional acid etching on the dentin bond strength of one-step self-etch adhesive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and pH. The effect of ethanol wetting on etched dentin bond strength of self-etch adhesives was also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human permanent molars were classified into 21 groups according to the adhesive types (Clearfil SE Bond [SE, control]; G-aenial Bond [GB]; Xeno V [XV]; Beauti Bond [BB]; Adper Easy Bond [AE]; Single Bond Universal [SU]; All Bond Universal [AU]), and the dentin conditioning methods. Composite resins were placed on the dentin surfaces, and the teeth were sectione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and the failure mode of the fractured specimens was examine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wo-way ANOVA and Duncan's post hoc test. Results: In GB, XV and SE ($pH{\leq}2$), the bond strength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dentin was etched (p < 0.05). In BB, AE and SU (pH 2.4 - 2.7), additional etching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p > 0.05). In AU (pH = 3.2), additional etching increased the bond strength significantly (p < 0.05). When adhesives were applied to the acid etched dentin with ethanol-wet bonding, the bond strengt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 ethanol-wet bonding groups, and the incidence of cohesive failure was increased. Conclusions: The effect of additional acid etching on the dentin bond strength was influenced by the pH of one-step self-etch adhesives. Ethanol wetting on etched dentin could create a stronger bonding performance of one-step self-etch adhesives for acid etched dentin.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between one-bottle dentin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using micro-shear bond strength

  • Song, Minju;Shin, Yooseok;Park, Jeong-Won;Roh, Byoung-Duc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1호
    • /
    • pp.30-3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mbined use of one-bottle self-etch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from same manufacturers have better bond strengths than combinations of adhesive and resin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Materials and Methods: 25 experimental micro-shear bond test groups were made from combinations of five dentin adhesives and five composite resins with extracted human molars stored in saline for 24 hr. Testing was performed using the wire-loop method and a universal testing machine. Bond strength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s post hoc test. Results: Two 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factors of dentin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 < 0.001). All combinations with Xeno V (Dentsply De Trey) and Clearfil $S^3$ Bond (Kuraray Dental) adhesiv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shear bond strength, but other adhes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mposite resin (p < 0.05). Contrary to the other adhesives, Xeno V and BondForce (Tokuyama Dental) had higher bond strengths with the same manufacturer's composite resin than other manufacturer's composite resin. Conclusions: Not all combinations of adhesive and composite resin by same manufacturers fail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s than mixed manufacturer combinations.

Effect of different air-drying time on the microleakage of single-step self-etch adhesives

  • Moosavi, Horieh;Forghani, Maryam;Managhebi, Esmatsadat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2호
    • /
    • pp.73-78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air-drying times on microleakage of three self-etch adhesive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Class I cavities were prepared for 108 extracted sound human premolars. The teeth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groups based on three different adhesives: Opti Bond All in One (OBAO), Clearfil $S^3$ Bond (CSB), Bond Force (BF). Each main group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regarding the air-drying time: without application of air stream,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for 10 sec more than manufacturer's instruction. After completion of restorations, specimens were thermocycled and then connected to a fluid filtration system to evaluate microleakag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wo-way ANOVA and Tukey-test (${\alpha}$ = 0.05). Results: The microleakage of all adhesives decreased when the air-drying time increased from 0 sec to manufacturer's instruction (p < 0.001). The microleakage of BF reached its lowest values after increasing the drying time to 10 sec more than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p < 0.001). Microleakage of OBAO and CSB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BF in all three drying time (p < 0.001). Conclusions: Increasing in air-drying time of adhesive layer in one-step selfetch adhesives caused reduction of microleakage, but the amount of this reduction may be dependent on the adhesive components of self-etch adhesives.

법랑소주 방향에 따른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DHESI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NAMEL RODS)

  • 조영곤;김종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344-351
    • /
    • 2005
  • 본 연구는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에 대한 3단계, 2단계 및 단일 단계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였다. 발거된 상$\cdot$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였다. 시편 중 협면과 설면 중앙부의 최 외층을 법랑소주의 말단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고, 내측에서 얻어진 시편을 법랑소주의 측면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다.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4개의 군 (1군 All-Bond 2, 2군: Single Bond, 3군: Tyrian SPE/One-Step Plus, 4군: Adper Prompt L-Pop)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당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이 노출된 시편을 각각 7개씩 선택하여 각각의 접착제와 Tygon tube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의 전단하중을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과 4군이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은 1군, 3군, 4군보다 그리고 4군은 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모든 군에서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결합강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상아질 접착제의 용매 증발이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vent evaporation of dentin adhesive on bonding efficacy)

  • 조민우;김지연;김덕수;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21-334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가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5세대 2단계 산부식형 접착제와 7세대 단일과정 자가부식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의 증발률과 전환률, 적용 후 용매의 공기건조 방법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접착 계면을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1. 시간에 따라 접착제의 증발률은 증가하나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증가 양상이 서로 달랐다. 2. 대부분 전환률은 증발률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결합강도는 대부분 under군, control군, over군 순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 FE-SEM에서 아세톤을 용매로 사용하는 접착제는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droplet이나 gap이 관찰되었다. 결론: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는 접착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아질 접착제의 선택과 사용 시 용매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Micro-CT evaluation of internal adaptation in resin fillings with different dentin adhesives

  • Han, Seung-Hoon;Park, Sung-H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1호
    • /
    • pp.24-31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rnal adaptation of composite restorations using different adhesive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Typical class I cavities were prepared in 32 human third molars. The teeth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3-step etch-and-rinse, 2-step etch-and-rinse, 2-step self-etch and 1-step self-etch system were used. After the dentin adhesives were applied, composite resins were filled and light-cured in two layers. Then, silver nitrate solution was infiltrated, and all of the samples were scanned by micro-CT before and after thermo-mechanical load cycling. For each image, the length to which silver nitrate infiltrated, as a percentage of the whole pulpal floor length, was calculated (%SP). To evaluate the internal adaptation using conventional method, the samples were cut into 3 pieces by two sectioning at an interval of 1 mm in the middle of the cavity and they were dyed with Rhodamine-B. The cross sections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by stereomicroscope. The lengths of the parts where actual leakage was shown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as a percentage of real leakage (%RP). The values for %SP and %RP were compared. Results: After thermo-mechanical loading, all specimen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P compared to before thermo-mechanical loading and 1-step self-etch system had the highest %SP (p < 0.05). There was a tendency for %SP and %RP to show similar microleakage percentage depending on its sectioning. Conclusions: After thermo-mechanical load cycl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nal adaptation among the groups using different adhesive systems.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와 결합된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 접착 (ENAMEL ADHESION OF LIGHT-AND CHEMICAL-CURED COMPOSITES COUPLED BY TWO STEP SELF-ETCH ADHESIVES)

  • 한세희;김은성;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69-179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2단계 자가산부식 접착제를 이용하여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의 결합강도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현미경적 인 관찰을 통하여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법랑질에서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비적합성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Isomet Low Speed Saw를 이용하여 발거한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 mm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여러 개의 절편을 만들었다. 치아의 절편들을4개의 군으로 분류한 후,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SE Bond 군, AdheSE 군, Tyrian 군 Contax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접착제를 각 절편의 법랑질 표면에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 또는 화학중합 복합레진 (Luxacore Smartmix Dual)을 접착하였다.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복합레진과 법랑질의 접착계면이 파절될 때까지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를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two-way ANOVA와 Tukey HSD검정 및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p = 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위해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이나 설면의 법랑질 일부를 Isomet Low Speed Saw로 절단한 후 각 군의 접착제와 광중합 복합레진 또는 화학중합 복합레진을 축조하여 각 군당 2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접착제 및 복합레진 계면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 모두에서 SE Bond 군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 강도는 다른 3개의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2.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 모두에서 AdheSE 군, Tyrian 군 Contax군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 전단 결합 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모든 군에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화학중합 복합레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4. 모든 접착제와 법랑질 계면은 긴밀한 접합을 나타내어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접착제 간에 비적합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 Kang, Hee-Young;Cho, Young-Go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68-568
    • /
    • 2003
  • I.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s(${\mu}TBS$), using one bottle adhesives. II. Materials and Methods Non caries human molars were sectioned to exposed the superficial dentin surfaces, etched 15 seconds using 32% phosphoric acid and 10 seconds rinsed. Samp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dhesives (Single Bond, One-Step) used. Each group we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different dentin surface treatment:15 second dry(D), blot dry(BD) or 15 second dry and rewetted with distrilled water(DW), Gluma Desensitizer(GD) and Aqua-Prep(AP) during 30 second, respectively.(omitted)

  • PDF

산부식 전처리에 따른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wo-step self-etch adhesive to ground enamel with and without prior acid-etching)

  • 김유리;김지환;심준성;김광만;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8-156
    • /
    • 2008
  • 자가부식 접착제는 사용하기 쉽고, 술식 민감성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특히 산도가 약한 자가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력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 (Kuraray, Okayama, Japan)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및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 (Heraeus Kulzer Gmbh, Hanau, Germany)의 결합강도와 비교하고자 하였고,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에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비산부식 군과 35% 인산 (Scotchbond Etchant, 3M ESPE)으로 산부식 후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산부식 군, 그리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한 군으로 정하였다. Bovine 전치의 순면을 십자가형으로 4등분하여 각 군으로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각 치아의 순면을 800-grit 실리콘 카바이드 지로 연마한 후 삭제된 법랑질면에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각 군의 접착제를 적용하고 Light-Core (Bisco)로 적층 충전하였다. 시편은 $37i{\acute{E}}$, 증류수에 일주일 동안 보관한 후 low speed precicion diamond saw (TOPMENT Metsaw-LS, R&B,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약 $0.8{\times}0.8mm$ 단면이 되도록 시편을 절단하여 미세시편을 제작하였다. 일주일마다 증류수를 교환하면서 한 달, 세 달 동안 $37i{\acute{E}}$, 증류수에 미세시 편을 보관한 후 각각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MPa)는 파절 시에 가해진 힘 (N)을 접착면적 ($mm^2$)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접착계면에서의 파절 양상은 실물현미경 (Microscope-B nocular, Nik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대한 통계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고, 사후감정은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방법을 이용하였다. 중합 후 1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접착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iBond 와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과 Scotchbond Multi- Purpose 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3개월 후의 결과에서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Clearfil SE Bond 산부식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즉 35% 인산으로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한결과 Clearfil SE Bond 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다양한 pH를 가지는 Universal adhesives와 이원 중합 레진 세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between universal adhesives with various pH and dual-cured resin cements)

  • 권성주;박정길;손성애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1-31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쓰임이 증가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범용 상아질 접착제와 삼차 아민을 포함 혹은 포함하지 않는 레진시멘트 간의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총 80개의 사람 대구치를 선정해 레진 블럭에 매몰하여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600-grit SiC paper로 연마한 후 3종류의 범용 상아질 접착제 Scotchbond universal (3M ESPE, pH 2.6), G-premio bond (GC, pH 1.5), All bond universal (Bisco, pH 3.2) 및 대조군으로 3-step etch and rinse system인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한 후 광중합 시행하였다. 그 위에 직경 2 mm, 높이 3 mm의 몰드를 이용해 삼차아민을 포함한 레진 시멘트인 Calibra(Dentsply) 혹은 삼차 아민을 포함하지 않는 레진시멘트인 RelyX Ultimate (3M ESPE)를 적용하고 20초간 광중합하였다. 그 후 $37^{\circ}C$ 증류수에 7일간 보관 후 미세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결과값을 ANOVA와 Tukey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Calibra를 사용한 경우 Scotchbond Multipurpose와 All bond Universal adhesive 적용시 G-premio bond 및 Scotchbond universal adhesive를 적용했을 때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전단강도를 나타냈다(p<0.05) RelyX Ultimate를 사용한 경우 adhesive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