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lane Rural Highwa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2+1차로 도로 도입에 따른 교통운영 및 경제적 비용 측면의 기대효과 분석 (Evaluation of 2+1 Roads Application to Improve Rural Two-lane Highway in Korea)

  • 채찬들;이동민;조한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85-92
    • /
    • 2013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expected effects on traffic operational and economic aspects of 2+1 roads application in Korea. METHODS : Micro simulation study using VISSIM 5.0 was used to analyz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2+1 roads compared to two-lane highways and four-lane highways. Some scenarios for various traffic volumes were set up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2+1 roads under various traffic situations. Also imaginary road networks were set up for each type of roads. The MOEs to measure the operation efficiency were selected with average travel speed and delay. For analyzing economic effect of 2+1 roads, construction cost of a specific imaginary 2+1 road was compared to construction cost of a four-lane highway with same conditions. RESULTS: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a 2+1 road is more effective with 19 percents higher average travel speed and 39 percents lower average delay than a two-lane highway. In the economic analysis, construction costs to construct a 2+1 road are saved as approximately 26.4~40.7 percents when compared to construction of four-lane highway.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2+1 roads can improve the traffic operational level of service for two-lane highways and 2+1 roads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design alternative for higher-volume two-lane highways in Korea.

지방부 도로의 양보차선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이론적 연구 (A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s for Passing Lenes on Rural Two-Lane Highways)

  • 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7-82
    • /
    • 1993
  • The effects of passing lanes on traffic flow on rural two-lane highway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Field stud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 TRARR, TRARR model appears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field study results except that average speed and distribution of platoon sizes showed a small amount of discrepancy, which is believed to be caused by too large a headway definition of 6 second for a vehicle platoon. Using the TRARR model, 4 situations including the existing condition, installation of passing lanes, improvement of design speed, and expansion to a four lane highway were evaluated. Traffic volume levels of 500,1000, and 1500 vph and truck composition of 20 and 40% were also considered making a total of 24 computer runs. It is concluded in this research that the installation of passing lane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raffic operation on two-lane high ways except the alternative of four lane highway expansion.

  • PDF

지방부 2차로도로의 차두시간 분포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dway Distribution Models of Rural Two Lane Roads)

  • 문재필;김동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9-56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was done to model the headway distribution of rural two lane roads. METHODS : Time headway data for the various level of traffic volumes was measured in twelve sites. Based on the time headway data, existing seven mathematical models were evaluated and selected by comparing graphically the measured and theoretical distributions and conduct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Schul model and Composite Model were the most appropriate models of the models. Based on the measured time-headway distributions, this study proposed a new headway distribution model by the shift of the Schul model. CONCLUSIONS : The shifted Schul model has the ability to describe time headway distirbutons for random, intermediate, and constant-headway states.

우리나라 양방향 2차선 도로의 용량 및 서비스 수준 체계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Two-Lane Highway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in Korean Rural Roads)

  • 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8
    • /
    • 1991
  • Two-Lane, two-way roads account for approximately 92% of total road length in Korea and accomplish the majority of regional transport activities. Nevertheless not too many research have been made on two-lane roads particularly efficiency related topics such as capacity and travel time studies. In this study a full scal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video equippments on rural two-lane roads to determine capacity Passenger Car Equivalents(PCE) and Level of Service criterion. Various PC programs were utilized to reduce traffic data and Walker ME? and Headway Method were employed to determine PCE's for heavy vehicles. The reseach has shown that capacity and PCE's for two-land two-way roads in Korea are 3200 pcph and 1.1∼1.9 resectively. In addition percent time delay was used as the basis of developing Level of service criterion on two-lane roads in Korea.

  • PDF

국내 2+1차로 도로의 적정 교통량 및 계획기준 개발 (Estimation of Design Service Traffic Volume for 2+1 Roads Based on Korean Two-Lane Highway Conditions)

  • 이동민;채찬들;조한선;이석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0
    • /
    • 2013
  • 현재 지방부 도로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양방향 2차로 도로는 4차로 도로로 확장하기에는 장래 교통량이 부족하지만 양방향 2차로 도로로 계속 운영하기에는 교통량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방향 2차로도로의 추월행태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과 사고 심각도가 높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2+1차로 도로의 도입을 검토하게 되었는데,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양방향 2차로 도로를 2+1차로 도로로 신설 또는 확장함으로써 예산 투자 효율화와 안전성 향상의 효과를 거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국, 독일, 스웨덴, 아일랜드, 핀란드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2+1차로 도로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국내 양방향 2차로 도로 개선방안의 하나로 도입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도로에 2+1차로 도로를 도입하는 경우 적정 교통량 수준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2+1차로 도로의 계획기준을 개발하였다. 2+1차로 도로가 감당할 수 있는 교통량 수준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국내 양방향 2차로 도로의 도로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보정한 결과 중차량 비율에 따라 7,300대/일에서 17,000대/일 정도로 분석되었다. 이는 독일 등 유럽의 2+1차로 도로에서 관측된 최대교통량에 비해 약간 작은 값이고, 아일랜드의 관측 최대교통량(17,250대/일)과 유사한 값이다.

2차로도로에서 저속전기자동차 혼입에 따른 교통류 특성분석 (The analysis of two-lane highway traffic flows in case of the neighborhood electric vehicle involved)

  • 장근우;정성화;조주명;정필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24-134
    • /
    • 2011
  • 전기자동차의 보급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를 위한 교통기반시설의 공급과 효율적인 정책결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시설표준화 및 지침구축은 미비한 상태이다. 시설표준화 및 지침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한 기준지표와 자료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차로도로 시뮬레이션모형(TWOPAS)을 이용하여 이상적인 조건에서 저속전기자동차가 혼입되었을 때의 교통특성을 평균통행속도, 추종시간백분율, 총지체를 통해 분석하고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나리오는 교통량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저속전기자동차 혼입율을 1%~30%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나리오 별로 분석한 결과, 교통량이 650대/시인 시나리오 1의 경우와 교통량이 2,600대/시인 시나리오4가 교통량이 1,300대/시, 1,950대/시인 시나리오2, 시나리오3보다 교통영향이 작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통량이 적은 경우 추월이 비교적 원활해 영향이 작게 나타나며, 교통량이 많은 경우는 기존의 교통류가 전기자동차 주행특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영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적 원활한 교통소통을 보이는 시나리오2와 시나리오3은 저속전기자동차의 혼입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내 도로와 같이 교통량이 많은 도로와 교통량이 비교적 한산한 지방부 2차로 도로의 경우는 저속전기차동차에 대한 친화도가 높은 반면 교통량이 1,300대/시~1,950대/시인 도로는 저속전기자동차에 대한 친화도가 낮아 기하구조의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부 국도의 사고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Expected Safety Performance Models for Rural Highway Segments)

  • 오주택;김도훈;이동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31-143
    • /
    • 2012
  • 그동안 다양한 도로설계 안전성 평가 연구는 교통사고다발지역인 교차로에 집중되어 왔다. 또한 도로구간에서는 특정한 기하구조 요인이 교통사고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었으나, 도로구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원인분석을 위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도로구간을 지방부 2차로 도로와 다차로 도로구간으로 구분하여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구간에서의 교통사고는 "0"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통계적 분석 시에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의 비선형적 요소를 설명하는 허들모형이 전통적인 포아송 및 음이항모형보다 도로구간에서의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더욱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의 사고빈도 예측모형 개발 및 도로구간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지방부 2차로 도로구간과 다차로 도로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모델분석결과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변수가 각각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imple Approach for Determining No-Passing Zones in Two-Lane Rural Highways

  • Son, Bong-Soo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The 4th International Transport Symposium
    • /
    • pp.141-151
    • /
    • 1998
  • Provision of Passing Sight Distance (PSD)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wo-lane highway design and has a critical impact on capacity of highway and safety of drivers. Many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estimate PSD reasonably. However, each of them has a number of shortcomings for reflecting the real traffic conditions. This paper introduces a revised model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sing maneuver. The changes in passing sight distances under different assumptions about acceleration and vehicle length, which are related to vehicle types, are presented. The results obtained by the revised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existing models. There is an important link between geometric design decisions which determine the available sight distance and the quality of service which the road provides. In this paper, we examine one aspect of this relationship. That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ing sight distance is provided by improving horizontal alignment for a specific roadway section or passing may be restricted to save the road construction cost. To do so,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traffic delay in no-passing is introduced.

  • PDF

지방부 2차로도로의 새로운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Level of Service for Rural Two-Lane Highways)

  • 박제진;하태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7-56
    • /
    • 2008
  • 2차로도로는 우리나라 포장도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2차로도로가 국내의 교통흐름에 있어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매우 높다할 수 있다. 그러나 2차로도로는 진행방향당 한 차로만이 허용되어 있어 저속차량에 의해 지체가 발생할 경우 고속차량이 대향차로를 이용하여 추월해야 한다. 이러한 추월은 교통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추월에 의한 사고는 중앙선 침범에 의한 정면 충돌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고의 심각도 또한 매우 높다할 수 있다. 그러나 2차로도로의 전반적인 운영상태 등을 나타내는 서비스수준에 대하여 현행 KHCM 에서는 '서비스수준이란 통행속도, 통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그리고 교통안전 등 도로의 운행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실제 서비스수준을 산정함에 있어서 서비스수준의 개념에 나타나 있는 바와는 달리 총지체율만을 이용하여 서비스수준을 산정하기 때문에 지체만을 고려하고 사고(교통안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서비스수준 산정방법인 총지체율을 이용하여 지체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 후, 여기에 지체비용을 곱하는 방식으로 총지체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사고를 고려하기 위해 교통사고예측모형을 통하여 교통사고건수를 예측하고 여기에 평균교통사고비용을 곱하는 방식으로 총교통사고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산출된 총지체비용과 총사고비용을 합산하여 운영비용을 산출함으로써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서비스수준의 새로운 판정척도를 개발하고 더불어 서비스수준을 제시하였다.

도로(道路) 선형개선(線形改善)의 Performance 분석기법(分析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A Performance Analysis Methodology for Evaluating Highway Geometric Improvement)

  • 최재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75-88
    • /
    • 1989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도로기하구조(道路幾何構造) 개량(改良)이 발생(發生)하게 될 performance 분석(分析) 모형(模型)을 최근(最近) 기법(技法)을 통하여 개발(開發)하였고 그 절차상(節次上)의 산정(算定) 과정(過程)을 전산화(電算化)하여 GUCAM(Geometric-specific User Cost Analysis Moded)을 개발(開發)하였다. GUCAM과 HIAP 모형간(模型間)의 비교(比較)를 위하여 지방부(地方部) 2차선도로(車線道路)를 4차선도로(車線道路)로 확장하는 현장(現場) 자료(資料)를 입력(入力)하였다. 그 결과(結果) GUCAM이 도로(道路)의 기하구조개량(幾何構造改良)에 보다 실제적(實際的)이고 민감하게 반응(反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도로(道路)의 평면곡선(平面曲線)과 구배를 반영하는 절차(節次) 개선(改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의 과제(課題)로는 GUCAM이 아직도 한 평면곡선(平面曲線)이나 구배의 개량(改良)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생각하여 이에 대한 보다 정확(正確)한 performance 분석(分析)에 관한 연구(硏究)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