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 sided adhe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신축성 전자패키지용 강성도 국부변환 신축기판의 계면접착력 향상공정 (Interfacial Adhesion Enhancement Process of Local Stiffness-variant Stretchable Substrates for Stretchable Electronic Packages)

  • 박동현;오태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1-118
    • /
    • 2018
  • 강성도가 서로 다른 두 polydimethylsiloxane (PDMS) 탄성고분자와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이루어진 soft PDMS/hard PDMS/FPCB 구조의 강성도 국부변환 신축기판을 개발하기 위해 PDMS와 FPCB를 acrylic-silicone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접합한 후 접합공정에 따른 PDMS/FPCB 계면접착력을 분석하였다. 완전 경화된 PDMS에 acrylic-silicone 양면테이프의 silicone 접착제로 접착한 FPCB의 pull 강도는 259 kPa이었으며, pull 시험시 PDMS와 silicone 접착제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60^{\circ}C$에서 15~20분 유지하여 반경화시킨 PDMS에 acrylic-silicone 양면테이프의 silicone 접착제로 FPCB를 접착 후 $60^{\circ}C$에서 12시간 유지하여 PDMS를 완전 경화시키면 pull 강도가 1,007~1,094 kPa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pull 시험시 계면 박리가 acrylic-silicone 양면테이프의 acrylic 접착제와 FPCB 사이에서 발생하였다.

직물접착심지에 관한 연구(3) (A Study on Fabric Adhesive Interlining(3))

  • 조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57-262
    • /
    • 1997
  • In this thesis considering the problems shown in the usage of interlining of clothes and in the process of sewing the breaking away strength which is meant by adhesion is analysed by experimennt in which Polyamide content is dealed with at the 5 level to raise the adhesive strength by using the one-sided non woven adhesive interlining made in this country as the samples. After examing the optimum in the process of Cotton and polyester fabrics and adhered fabrics practical for blouse and jacket and analysing the breaking away strength the wanted property of matter and the change with the repeated laundry We reach at the following results. 1.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wo adhered fabrics were strongly appeared in order of cotton>polyester. 2. The order of the breaking away strength by the interlinings of adhesive fabrics was A5> A4> A3> A2> A1. 3. The breaking away strength of the two adhered fabrics was weakened by the repeated laundry and the breaking away phenomena were fewer under the most suitable conditions than the various conditions.

  • PDF

시트-도막 복합방수공법의 접합부 2면 접착을 통한 분리거동 유도 기술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Induction Technology of Separation Behavior Using Two-sided Adhesion of Joint of Composites Waterproofing System)

  • 박진상;이태양;김동범;박완구;허능회;오상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12-219
    • /
    • 2015
  • 본 연구는 시트-도막 복합방수공법에서의 고질적인 접합부 파단 하자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한 접합부 2면 접착을 통한 분리거동 유도 기술의 적용에 있어 기술의 유효성 및 성능검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 시험군으로서 3면 접착 기술이 적용된 I형 접합부를 선정 및 제작하여 연구 대상 기술과 인장성능 및 신장률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3면 접착방식의 비교 시험군 접합부의 인장강도의 경우 14.2N/mm 신장률 335%로 확인되었고, 본 연구 대상인 분리 거동형 접합부의 경우 인장강도는 13.8N/mm 신장률 587%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3면 접착방식의 경우, 모든 재료가 구속되어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강도적 측면에서 본 연구 대상에 비해 높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연구대상인 분리 거동형 접합부의 경우, 인장응력 및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무절점 인장응력(Zero-span tension)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하부 시트층과 상부 도막층이 동시에 파단되지 않고, 하부 시트층과 상부 도막층이 분리거동 신축부재에 의해 분리되면서 하부 시트층 부터 순차적으로 1차 파단되고, 변위 허용 구간에 들어서면서 상부 도막층이 본연의 신축성을 나타내며, 지속적인 변위를 나타내다가 일정 변위 구간에서 2차적으로 파단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복구성 교재에 나타난 타이트스커트 봉제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wing Teaching of 'Tight Skirts' in Teaching Materials of Clothes Configuration)

  • 김선용;최영순
    • 복식
    • /
    • 제56권8호
    • /
    • pp.113-122
    • /
    • 2006
  • In this study, about forty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ight skirt sewing methodtreated in basic process in a college and a fashion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tudy objects limited with a belt, back centered zipper, and back double slits on a tight skirt, and used fifteen suitable teach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first study result appeared that every single teaching material suggested the different way of wick adhesion which is used in zipper slit, back slit, and belt part when the skit has been manufactured in order to do a form of clothes well. Secondly, it is the case of a back slit part used for the purpose of both functionality of action and decoration, and it is the section which varies a sewing and cutting way according to seam room width of a back middle seam. However, the majority of teaching materials appeared by being selecting the way how it had cut an inseam of the back center by the both upper part of back slit. F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it mentioned mainly only both sided zipper sewing method if it seems to be easy to treat the majority in a basic process even though use of a console zipper Is general on a zipper sowing way recently for several years. Also, two forms are used in the belt manufacturing, and they are based with a waist line. However, the teaching material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presented only a manufacture way of the straight line on the waist be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