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naround tim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IoT에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름 기반 서비스 탐색 메커니즘 (A Name-based Service Discovering Mechanism for Efficient Service Delivery in IoT)

  • 조국현;김정재;류민우;차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
    • /
    • 2018
  • IoT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이다. IoT의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들은 이종간의 정보시스템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IoT 엔드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 또는 스토리지의 형태가 어떠한지 알 수 없어도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SD(Service Discovery)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SD 구조는 물리적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물리적 위치에 따른 서비스 탐색으로 인해 반환시간이 증대된다. 둘째,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따로 관리하는 데이터 구조가 요구된다. 이는 관리자의 서비스 구성복잡도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 중심의 SD 구조는 실제 IoT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NSSD(Name-based Service Centric Service Discovery)라는 SD 구조를 제안한다. NSSD는 이름 기반의 중앙집중형 SD를 제공하며 IoT 에지 게이트웨이를 캐싱 서버로 사용해 서비스 탐색속도를 향상시킨다. 기존의 DNS와 DHT 기반 DS 구조와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NSSD가 평균 반환시간에 있어 약 2배 정도 향상된 성능을 제공함을 입증하였다.

분산시스템에서 상태 정보 추론을 이용한 그룹 부하 균등 알고리즘 (Croup Load Balancing Algorithm Using State Information Inference in Distributed System)

  • 정진섭;이재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259-1268
    • /
    • 2002
  • 분산 시스템에서 전체 시스템의 부하 균형을 이루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시스템간의 부하를 균등하게 함으로써 처리기의 가동률을 높이고 작업 반환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식 기반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각 노드에서 과거 및 현재의 정보를 기반으로 추론한 미래 부하상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최적의 부하 균등화를 이루는 의사 결정 규칙과 정보 교환 규칙을 설계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각 노드의 가동률이 균등해지고 처리 속도의 향상을 보였으며, 시스템의 신뢰성과 가용성이 향상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분산 운영 체제의 부하 조절 알고리즘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비대칭키 암호화 기술을 결합한 건강정보 관리서버 (Hyperledger Fabric and Asymmetric Key Encryption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 한혜경;황희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922-931
    • /
    • 2022
  • Recently, the need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s has been increasing for efficient medical and IT technology research. However, health information is requiring security management by law. When permissioned blockchain technology is used to manage health information, the integrity is provided because only the authenticated users participate in bock generation. However, if the blockchain server is attacked, it is difficult to provide security because user authentication, block generation, and block verification are all performed on the blockchain server.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a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which uses a permissioned blockchain algorithm and asymmetric cryptography. Health information is managed as a blockchain transaction to maintain the integrity, and the actual data are encrypted with an asymmetric key. Since using a private key kept in the institute local environment, the data confidentiality is maintained, even if the server is attacked. 1,000 transactions were requ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erver's average response time was 6,140ms, and the average turnaround time of bock generation was 368ms, which were excellent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technology. This paper is that a model was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ermissioned blockchains.

RFID를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의 QoS 보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연구 (A Study on RFID Based Biz-Model for QoS Guarantee for Container Terminals)

  • 박두진;박진희;김현;남기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17
    • /
    • 2006
  • 최근 세계의 항만은 중국 효과 및 세계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항만 체증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선사는 선박의 대형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을 위하여 기항지 항만의 축소에 따라 지역 내 항만간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다. 항만 체증에 따라 선사는 선박대기시간비율과 재항시간 등의 항만 서비스품질 (QoS : Quality of Service)을 기항지로 선택하는 평가기준으로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신성장 산업의 기반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는 RFID (Radio Frequence IDentification) 기술을 항만 운영시스템에 활용함으로써 트윈리프트 갠트리크레인 (Twin-lift Gantry Crane)의 하역 생산성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RFID기반의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을 활용하여 항만 QoS가 보장되는 유비쿼터스 항만(U-Port)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PGA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능력 향상 (Enhancement of Real-Time Transmission Performance of PGA data)

  • 임인섭;최인영;정순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7-4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지진감시 시스템의 필수 조건이 되는 PGA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을 제안한다. 현재 전국에 120개 이상의 지진 관측소가 설치되었으며, 지진 재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더욱 많은 지진 관측소들이 설치될 예정이다. 실시간 지진감시 시스템은 각 지진 관측소의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든 PGA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감시를 수행한다. 실시간 지진감시 시스템 구축을 위해 효율적인 PGA데이터 송 수신이 필수적이다. 제안 데이터 전송 방식은 국내에 설치된 지진 관측소를 각각 유일한 ID로 관리하고 패킷 헤더에 각 ID별로 1 bit를 할당하여 데이터 포함여부를 표시한다. 기존의 전송 방식보다 많은 관측소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데이터 유실율도 최소화한다. 제안한 데이터 전송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약 91,000개의 패킷에 대한 처리 시간 및 데이터 유실을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로써 제안한 전송 방식은 기존 전송 방식에 비해 약 50%정도의 처리시간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데이터 유실율은 기존 전송 방식에 비하여 87.5%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GDH & Toxin Test for the Diagnosis of Clostridioides difficile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 Joo, Ho-Joong;Kim, Sang-Ha;Kwon, Pil-Seung;Ryu, Jae-Ki;Yook, Keun-Dol;Yu, Young-Bin;Kim, Young-Kw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0-2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DH & Toxin (GDT) test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presence of Clostridioides difficile (C. difficile) as well as to detect whether any toxin was present in the feces of patients suspected of diarrhea associated with C. difficile. Data related to the results of toxin and culture (TC) tests and GDT tests conducted on patients with diarrhea and suspected CDI between January 2017 and august 2018, positive test rates, patient ages and sexes, whether the patients were hospitalized, and turnaround time (TAT)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Of the 7,554 total tests conducted for CDI diagnosis, 1,010 TC tests (14.9%) were positive, while 92 GDT tests (12.0%) were positive. Of these positive cases, 815 (80.7%) identified through TC test and 80 (87%) identified through GDT test were inpatients. also, among the patients with positive test results, 497 (49.2%) diagnosed through TC test and 45 (48.9%) diagnosed through GDT test were aged 61 years or older. The total time required to complete a TC test was 83.6 hours, while the time required for a GDT test was 11.2 hours, equating to an approximately three-day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s. The detection of toxin-producing C. difficile is important in CDI diagnosis, but the commonly used Enzymeimmunoassay (EIA) toxin tests with low sensitivity result in delayed CDI diagnosis time. Therefore, primary screening tests for CDI diagnosis using the GDT method and secondary tests using additional methods are considered most effective.

하역장비 작업시간 중심의 컨테이너터미널 혼잡도 산정방식 (Method of calculating the congestion of container terminals centered on the working hours of unloading equipment)

  • 신재영;조현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62
    • /
    • 2023
  • 지난 COVID-19로 인해 항만 노동자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다수의 노동자가 격리됨에 따라 항만 운영 프로세스 곳곳에서 병목과 대기가 발생하여 터미널의 혼잡도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터미널 운영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터미널 혼잡도는 터미널의 운영 효율성과 직결되는 핵심 지표임에도 터미널 내부 하역장비 중심의 혼잡도는 명확한 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하역장비 중심의 컨테이너터미널 혼잡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여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혼잡도 산정방식은 이미지 기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혼잡도를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양적하 계획에 따라 움직이는 하역장비의 특성상 기존의 혼잡도 산정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비의 대기시간 및 turn around time 등을 활용한 터미널 혼잡도의 산정방식을 제시하고, 부산항 A 터미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정된 혼잡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PDF

Effect of Steam Curing on Concrete Piles with Silica Fume

  • Yazdani, N.;F. Asce, M. Filsaime;Manzur, T.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9-15
    • /
    • 2010
  • Silica fume is a common addition to high performance concrete mix designs. The use of silica fume in concrete leads to increased water demand. For this reason,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DOT) allows only a 72-hour continuous moist cure process for concrete containing silica fume. Accelerated curing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producing high-performance characteristics at early ages in silica-fume concrete. However, the heat greatly increases the moisture loss from exposed surfaces, which may cause shrinkage problems. An experimental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steam curing of FDOT concrete with silica fume in order to reduce precast turnaround time. Various steam curing durations were utilized with full-scale precast prestressed pile specimens.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shrinkage were determined for various durations of steam curing. Results indicate that steam cured silica fume concrete met all FDOT requirements for the 12, 18 and 24 hours of curing periods. No shrinkage cracking was observed in any samples up to one year age. It was recommended that FDOT allow the 12 hour steam curing for concrete with silica fume.

ICC 기반의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사용한 별색 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ot Color Proofing using ICC-based Color Management System)

  • 정청숙;강상훈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1-94
    • /
    • 2007
  • Recently, the trend in the printing industry includes shorter run lengths and with fast turnaround times. As new markets have made it possible to produce small quantities of high-quality color products at affordable price, the general commercial printing meets the customer's diverse demand by using spot color besides process four colors. Especially, by using spot color for printing the enterprise's logo or specific color, we can see the effect of printing is getting better. With the combination of the right software, ink, media, and device can be treated as a digital proofer for spot color printing, providing significant time and cost savings compared to conventional procedu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spot color proofs printed by ink-jet and dye sublimation proofer using ICC-based color management system. An Epson Stylus Color 3000 ink-jet proofer combined with Best Color Proof XXL RIP was tested for glossy and matte paper. 3M Rainbow dye sublimation proofer was examined using 3M Rainbow controller ver. 4.1 RIP on the manufacturer recommended proofing paper. ICC profiles were generated for each device using ECI 2002 visual target and evaluated for the accuracy of process 4 color reproduction. The test charts consisting of Pantone color 1140 was selected to test the quality of spot color reproduction.

  • PDF

Electrochemical Non-Enzymatic Glucose Sensor based on Hexagonal Boron Nitride with Metal-Organic Framework Composite

  • Ranganethan, Suresh;Lee, Sang-Mae;Lee, Jaewon;Chang, Seung-Cheol
    • 센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79-385
    • /
    • 2017
  • In this study, an amperometric non-enzymatic glucose sensor was developed on the surface of a glassy carbon electrode by simply drop-casting the synthesized homogeneous suspension of hexagonal boron nitride (h-BN) nanosheets with a copper metal-organic framework (Cu-MOF) composite. Comprehensive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X-ray diffraction (XRD), cyclic voltammetr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amperometr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urface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BN-Cu-MOF composite. The FE-SEM, FT-IR, and XRD results showed that the h-BN-Cu-MOF composite was formed successfully and exhibited a good porous structure. The electrochemical results showed a sensor sensitivity of $18.1{\mu}A{\mu}M^{-1}cm^{-2}$ with a dynamic linearity range of $10-900{\mu}M$ glucose and a detection limit of $5.5{\mu}M$ glucose with a rapid turnaround time (less than 2 min). Additionally, the developed sensor exhibited satisfactory anti-interference ability against dopamine, ascorbic acid, uric acid, urea, and nitrate, and thus,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on-enzymatic glucose sen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