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bidity reduction syste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9초

호내 부유물질 거동 분석을 통한 도암댐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of Doam Dam Operation by the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Behavior in the lake)

  • 염보민;이혜원;문희일;윤동구;최정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70-480
    • /
    • 2019
  • The Doam lake watershed was designated as a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area in 2007 to improve water quality based on watershed management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f non-point source reduction with respect to the watershed management impacting the pollutant transport of the reservoir. However, a litt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impa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the management of the dam operation or the guidelines on the dam operation. In this study, the impact of in-lake management practices combined with watershed management is analyzed, and the appropriate guidelines on the operation of the dam are suggested. The integrated modeling system by coupling with the watershed model (HSPF) and reservoir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was applied for analyzing the impac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A scenario implemented with sedimentation basin and suspended matter barrier showed decrease in SS concentration up to 4.6%. The SS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scenarios adjusting withdrawal location from EL.673 m to the upper direction(EL.683 m and EL.688 m). The water quality was comparably high when the scenario implemented all in-lake practices with water intake at EL.673 m. However, there was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was moved to EL.688 m during the summer by preventing sediments inflow after the rainfall. Therefore, to manage water quality of the Doam lake, it is essential to control the water quality by modulating the height of water intake through consistent turbidity monitoring during rainfall.

정수장 약품 최적 주입률 결정을 위한 지능형 제어기 개발 (Intelligent Controller for Optimal Coagulant Dosage Rate in Water Treatment Process)

  • 이호현;신강욱;홍성택;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69-376
    • /
    • 2015
  • 정수장 유입수에 포함된 다양한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약품을 주입하고 있으나 적정 주입률 결정은 4~7시간 후에나 탁도를 통하여 확인 가능함에 따라 실시간 피드백 제어가 불가하다. 또한 실험실에서 실시하는 Jar-Test 및 운영자의 경험에 따른 수동운전은 유기물 특성 및 수질 변화로 인하여 실험 및 휴먼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야간/주말 등에는 실험을 실시할 수 없어 운영자 판단에 의한 간헐적 변경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지능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정 약품 주입률을 학습하여 실시간 약품 주입과 주입량 감소로 원가절감을 달성코자 하였다.

수질 취약지역 및 관말에서 플러싱 적용 먹는물 수질 개선 효과 (Effects of flushing techniques on water quality at extremity with low chlorine residuals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 고경훈;권지향;김인자;임우혁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3-324
    • /
    • 2011
  • Several complaints from consumers on red or turbid waters were often filed at the same places although various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drinking water plant. The red water problems were occurred due to corrosion of main water pipe, especially at extremity. The low concentrations of chlorine indicating poor water quality were detected at the problematic location. To solve the poor water quality at the extremity, flushing techniques, i.e., conventional flushing, unidirectional flushing, and continuous flushing, were recently practiced. In this study, effects of conventional flushing on water qualiti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urbidity and residual chlorine before and after flushing. In addition, more detailed analyses on water qualities at the tap water were conducted to learn a reduction pattern during flushing. Five items fro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water distribution were used to obtain a relationship with water quality, washing duration or amounts of washing water. The flushing was effective to meet the National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with simple and relatively short time operation. The key operational parameter in flushing was amounts of washing water which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water quality of the consumer's tap wat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chlorine and pipe length implied that detention time in the pipeline was the main cause of the complaints. More experiments on effectiveness of flushing are needed to determine reasonable strategies of flushing.

정수처리용 응집.한외여과 혼성공정에서 응집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agulation in Coagulation/Ultrafiltration Hybrid System in Water Treatment Process)

  • 문성용;이상협;김승현;윤조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37-843
    • /
    • 2005
  • 한외여과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 응집을 적용하였으며, 막여과 공정에 미치는 응집공정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예상되는 응집 효과는 수질 개선, 막오염 저감 및 역세척 효율 향상 등이며, 응집 한외여과 막여과 공정을 연속운전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때 적용된 응집제는 황산반토, PACS, 염화제2철이다. 연구 결과 응집을 통해 처리수 수질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현탁물질 보다는 유기물 제거율에 높은 효과가 있었고, 최대 30.6%의 제거율 향상을 나타내었다. 막오염 저감에 있어서는 세 종류의 응집제 모두 뚜렷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장기운전에 TA어서 PACS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역세척 효율은 철염응집제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적정 응집제 주입량에 가까울수록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한 원통형 여과장치의 평가 (Assessment of Cylinder-Shaped Filter System for Improving Reservoir Water Quality)

  • 이선호;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75-983
    • /
    • 2008
  • 다공매질을 이용한 여과에서 오염물은 바깥 부위에서 활발히 제거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여과장치인 폴리에스터 재질의 원통형 다공매질을 고안하여 이 장치가 호소수에서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지 경산시의 삼천지에서 실험하였다. 원수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은 여재에 포획된 후 시간을 두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오염물질 제거효율은 탁월하여 COD$_{Cr}$ 19$\sim$27%, COD$_{Mn}$ 37$\sim$43%, BOD$_5$ 67$\sim$81%, SS 99% 이상, 탁도 93% 등이었다. 본 연구로부터 이 장치가 호소의 수질개선책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Complexation of Amphotericin B With Egg Phosphatidylcholine Liposomes

  • Kim, Jin-Chul;Lee, Eun-Ok;Yang, Ji-Won;Choe, Tae-Boo;Kim, Jong-Du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84-89
    • /
    • 1995
  • The complex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gg phosphatidylcholine (PC) liposome containing amphotericin B(AmB) were investigated through circular dichrosim(CD) spectra, the size distribution, the turbidity change, and the calcein release. CD spectra of AmB-containing egg PC mxture exhibited a positive peak around 330 nm indicative of complexation of AmB and four negative peaks. The positive peak increased up to $2.2{\;}millidegree/{\mu}g$ AmB as AmB contents increased up to 12% (w/w), suggesting that AmB-phospholipid complexation was promoted by the antibiotics. The effective diameter of liposomesa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ecreased from 450 nm to 220 nm as the amount of AmB in liposomes increased from o to 30% (w/w). The complexation may be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in size. On the other hand, at around 1 mN deoxycholate (DOC), the reltive turbidities of 5 and 10% (w/w) AmB-containing liposome suspension were less than 1 probably due to the soblubilization of the complex, while those of pure PC liposome suspension were larger than 1 at the same concentration. Deoxycholate-induced release of liposomes, indicating the intercalation of the drug into the bilayer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 AmB/eggPC/water system, AmB-phospholipid complexcoexists with AmB-containing liposomes.

  • PDF

용수 살균을 위한 자외선과 플라즈마 처리장치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Ultraviolet and Plasma Treatment Devices for Water Sterilization)

  • 김영재;박전오;이행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6-90
    • /
    • 2019
  • 본 연구는 수산양식분야에서 용수를 살균하기 위해 제품화되어 있는 UV 및 플라즈마 장치를 100 ℓ 수조에 적용하고 처리수를 1 ℓ씩 채수, 농축하여 시료 내 세균 수의 변화를 확인하여 두 가지 처리 방식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장치를 6시간 동안 작동시키면서 일반 해수 내 세균을 MA, TCBS, SS 배지에 배양하여 세균 수 변화를 확인하였고, 살균처리된 해수 내 Edwardsiella piscicida를 인위 접종한 후 처리수 내 E. piscicida 세균 수 변화를 확인한 결과 UV 장치와 플라즈마 장치 간의 세균 저감 효율은 99.5~99.9% 수준으로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2가지 장치를 적용하여 100 ℓ의 수량을 동일한 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플라즈마 방식의 경우 UV 장치와 비교하여 더 짧은 시간 안에 세균을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6시간)으로만 세균 수 변화를 확인한 것으로, 사료찌꺼기, 배설물, 연안 오염 등에 따라 수질의 변동이 크고 biofilm과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실제 양식환경을 고려할 때, 탁도와 유기물의 존재에 따라 한계가 있는 UV 처리 방식보다는 지속적이고 일정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처리 방식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지역 지하수 수질: 배경수질전용측정망에 의한 심도·지질별 특성 (Groundwater Quality in Gyeongnam Region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th and Geological Features by Background Water Quality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 차수연;서양곤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39-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심도와 지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의 배경수질전용측정망을 통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의 503 세트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대장균군과 몇 극소량 존재하는 항목 즉 수은, 페놀 등을 제외한 수질매개변수는 심도와 지질에 따라 유의하거나 아주 유의하였다.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고, 수온, 용존산소 산화물 환원 전위, 비소, 총대장균군 그리고 탁도는 감소하였고, 먹는물 수질 부적합율은 낮아졌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 합은 쇄설성퇴적암에서 가장 높았고 변성암에서 가장 낮았다. 먹는물 수질 부적합율은 변성암에서 가장 높았고 쇄설성퇴적암, 미고결퇴적물, 그리고 관입화성암 순이었다. 상층관정과 쇄설성퇴적암의 일부 지점에서 외부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Na-Cl 수질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