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or control

검색결과 2,017건 처리시간 0.031초

Pap Smear Combined with HPV Testing: A Reasonable Tool for Women with High-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Treated by LEEP

  • Mo, Ling-Zhao;Song, Hong-Lin;Wang, Jian-Li;He, Qing;Qiu, Zhang-Can;Li, F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297-4302
    • /
    • 2015
  • Background: To evaluate HPV testing by Hybrid Capture II (HCII) in conjunction with cytology in detecting the residual/recurrence disease after treatment of high-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II-III) with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158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CIN II-III who underwent LEEP between January 2011 and October 2012 was conducted. Post-treatment control was scheduled at the 3rd, 6th, 12th and 18th month.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by Pap smear and HR-HPV genotype and viral load testing. Results: Pre-treatment, HR-HPV DNA, was detected in all specimens of the patients. At follow-up, 25 patients were diagnosed as the residual/recurrent disease during the FU visit, among whom, 16 patients with positive margin: 13 patients (52%) with HR-HPV DNA+/cytology+, 2 patients (8%) with HR-HPV DNA+/cytology-, 1 patient (4%) with cytology+/HR-HPV DNA-; 9 patients with clean margin - 5 patients (55.6%) with HR-HPV DNA+/cytology+; 2 patients (22.2%) with HRHPV DNA+/cytology-, 2 patients (22.2%) with cytology+/HR-HPV DNA-. None of them persisting HR-HPV DNA-/cytology-with positive or negative margin was identified as the residual/recurrent disease. The majority of residual/recurrent disease was detected at the 12th and 18th month FU, and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between at the 3rd month and the 6th month FU visits. 14 residual/recurrence disease (14/46:30.4%) had pre-treatment high viral load (>5 000 RUL/PC) and 11 (11/112, 9.8%) with pre-treatment low viral load, P<0.05. Conclusions: (1) The persistence HR-HPV DNA is the root cause of the residual/recurrent disease for the women treated for high-grade CIN; the pre-treatment viral load and margin can be seen as the predictor. (2) The FU visit beginning at the 6th month post-treatment and lasting at least 24 months with the combination of cytology and HPV testing. (3) Patients with high pre-treatment HPV load, which is considered as one risk of developing the residual/recurrent disease,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especially above 500RUL/PC) to by clinicians.

腫瘍細胞가 致死에 미치는 溫熱處理의 生物學的 作用에 관한 硏究(1)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on of Hyperthermia on Tumor Cell Mortality (1))

  • Kang, Man-Sik;Lee, Chung-Ch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9-81
    • /
    • 1983
  • 溫熱處理가 SCK 腫瘍細胞에 미치는 生物學的 環境을 몇가지 측면에서 檢討하였다. 첫째로, 溫熱處理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生殘曲線을 구하여 비교하여 본 바, in vivo의 경우에 더욱 큰 腫瘍細胞 致死效果를 보았다. 둘째로, 이러한 細胞致死作用의 차이가 나타나는 原因을 알아보기 위해서 溫熱處理가 腫瘍組織과 筋肉組織의 溫度와 pH에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 지를 측정하여 본바, 腫瘍의 경우 溫度는 筋肉보다 높아졌으며, pH는 초기의 上昇을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낮은 狀態를 유지했다. 이와 같은 腫瘍내의 酸性狀態가 溫熱處理의 細胞致死效果를 增强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로, 이와같은 腫瘍내 pH의 酸性化의 原因을 규명해 보기 위해서 腫瘍과 肝 속의 乳酸含量을 정량하여 본 바, 腫瘍의 경우 溫熱處理 후 1시간에는 增加하였으나 그 후에는 계속 減少된 상태를 유지했다. 이에 반해서 肝의 경우 5시간에 最大値를 보였고 24시간 동안 계속해서 上昇된 값을 유지했다. 이러한 腫瘍내 乳酸含量의 減少는 예기치 못했던 결과였는데, 이는 溫熱處理로 말미암아 腫瘍내의 細胞가 계속해서 死滅되는 결과로 腫瘍 단위 重量당 乳酸量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었다. 넷째로, 溫熱處理에 의한 細胞致死效果의 표적을 찾아 보기 위한 한가지 試圖로서 膜表面蛋白質의 變化를 관찰하였던 바, 高分子蛋白質의 減少와 더불어 低分子蛋白質의 增加라는 一般的인 現象을 볼 수 있었고, 특히 70K 단백질이 特異的 增加를 보인 것과 이의 증가가 $41^\\circC$에서 最大의 값을 보인 것은 興味로운 일이었다. 溫熱處理가 腫瘍내 pH의 酸性化를 招來하는 原因과 膜表面蛋白質에 特異한 影響을 미치는 機作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욱 많은 硏究가 傾注되어야 할 興味있는 問題로 생각된다.

  • PDF

인간 골육종 세포주에서 Zoledronic acid의 종양 억제에 대한 생체내 실험 (Tumor Suppressive Effect of Zoledronic Acid on Human Osteosarcoma Cells in Vivo)

  • 김재도;서태혁;이동원;권영호;장재호;이영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3
    • /
    • 2005
  • 목적: Bisphosphonate(BPs)는 endogenous pyrophosphates의 유사체로 Paget's disease, 골다공증, 종양 유발성 골용해와 같은 골격계 질환의 치료에 쓰이고 있으며, 유방암의 골파괴성 전이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골전이의 양상이 골흡수성 및 골생성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전립선암의 전이에서도 치료제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BPs는 파골세포성 골흡수가 과하게 일어난 질환에 대해서는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골종양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가장 강력한 질소 함유(nitrogen-containing) BPs인 Zoledronic acid(ZOL)로서 골육종이 발현된 nude mouse model을 이용하여 ZOL의 종양 억제능을 생체내 실험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간 골육종 세포주로는 MG-63과 HOS 골육종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종양의 크기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GFP 유전자가 형질 전환된 MG-63-GFP, HOSGFP 세포를 6주령된 수컷 마우스 10마리에 각각 피하주사하여 종양의 조각이 $3{\times}3{\times}3$ mm이 될 때까지 사육한 후, ZOL을 120 ug/kg의 농도로 일주일에 2번 피하에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를 일주일에 두 번씩 측정하고, 형광조명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결과: HOS 골육종 세포주를 이용한 생체실험에서 대조군의 종양의 평균 크기는 2,520 $mm^3$이며 ZOL 투여군은 131 $mm^3$로서 94%의 감소를 보이며, MG-63 골육종 세포주를 이용한 생체실험에서는 대조군의 종양의 평균 크기는 2,866 $mm^3$이며 실험군은 209 $mm^3$로서 72%의 감소를 보였다(P<0.05). 결론: Nude mouse를 이용한 생체실험에서 ZOL은 골육종의 세포사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앞으로 골육종 치료의 약제중 하나로 선택되어 질수 있다고 판단되며, 종양세포주에 따라 ZOL의 영향이 다를 수 있으므로 ZOL에 감수성 있는 종양세포를 찾아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 주위 재건물 감염 후유증 시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Using a Combined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Replacement in the Sequelae of an Infected Reconstruction on Either Side of the Knee Joint)

  • 전대근;조완형;박환성;남희승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7-44
    • /
    • 2019
  • 목적: 슬관절 주위 악성 골연부 종양 치료 시 종양의 도약전이나 슬관절 내 침범, 종양인공관절 치환술 후 반복적 감염 치료를 위한 인접골 절제, 국소재발 및 기계적 파괴가 발생한 경우 슬관절 상하부 전치환술은 하지와 슬관절 기능을 보존하는 한 방법이다. 이 중 반복된 감염 치료를 위해 슬관절면 반대측 골까지 절제 후 한시적 슬관절 고정술을 한 환자에서 가동관절로 재치환술 시 적응증, 합병증, 치환물의 생존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슬관절 상하부 전치환술 환자 34예 중 슬관절 주위 종양인공관절 치환술 후 반복적인 감염으로 슬관절면 반대측 골까지 절제한 후 한시적 슬관절 고정술이 불가피했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원발병소의 위치, 슬관절 상하부 전치 환술을 받기 전까지 수술 횟수 및 기간, 재 재건술 후 치환물의 생존율, 합병증,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 치환물의 Kaplan-Meier 법에 의한 5, 10년 생존율은 각각 69.0%±12.8%, 46.0%±20.7%였다. 총 13예 중 6예(46.2%)에서 주 합병증이 발생하여 3예는 내고정물을 제거 후 슬관절 고정술을, 2예는 내고정물의 부분교체를, 나머지 1예는 감염된 육아조직만 제거하였다. 최종 추시상 가동관절을 유지한 10예의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기능평가 점수는 평균 24.6점(21-27점)이었다.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이 실패하여 슬관절 고정술로 재치환 한 3예의 기능평가 평균 점수는 12.3점(12-13점)이었다. 가동관절을 유지한 10예의 슬관절 가동 범위는 평균 67°였다(0°-100°). 슬관절 능동적 신전제한은 평균 48° (20°-80°)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 종양인공 치환술 후 반복적인 감염으로 슬관절면 반대측 골까지 절제 후 한시적 슬관절 고정술이 불가피했던 환자에서 슬관절 상하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은 합병증의 위험성은 높으나 슬관절 고정술에 비해 기능적 결과가 월등하므로 시도할 가치가 있는 술식이다. 고정된 슬관절을 가동관절로 치환 시 반흔 조직을 철저히 제거하고 연부조직을 확보하여 종양인공관절을 삽입 후 굴곡 및 신전이 가능할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술식의 성공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Application of Tumor Markers SCC-Ag, CEA, and TPA in Patients with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 Farzaneh, Farah;Shahghassempour, Shapour;Noshine, Bahram;Arab, Maliheh;Yaseri, Mehdi;Rafizadeh, Mitra;Alizadeh, Kamya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3911-3914
    • /
    • 2014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potential clinical utility of tumor markers CEA, TPA, and SCC-Ag for early detection of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A case-control study was carried out on 120 women (46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and 74 healthy controls). The significance of serum selected tumor markers in early detection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were assessed. Results: Of the case group, the rates of CIN I, II, III, was 69.6%, 23.9%, and 6.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cut-off values of 2ng/ml, 5ng/ml, and 70 U/ml for SCC-Ag, CEA and TPA tests, in that order, SCC-Ag test had a sensitivity of 13%, but CEA and TPA tests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case and control groups. The diagnostic sensitivities were highest at cut-off values of 0.55 ng/ml for SCC-Ag, 2.6ng/ml for CEA, and 25.5 U/ml for TPA which were 93%, 61%, and 50%, respectively. However,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the largest for SCC-Ag (0.95 vs. 0.61 and 0.60 for CEA and TPA, respectively). Moreover,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direct correlation between SCC-Ag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r=0.847, p<0.001). Conclusions: The new cutoff of 0.5 for SCC-Ag test might be useful as a tumor marker in Iranian patients with CIN and it needs to be more evaluated by studies with larger populationa.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서의 플라보피리돌의 방사선민감화 효과 (In Vitro Radiosensitization of Flavopiridol Did Not Translated into In Vivo Radiosensitization)

  • 김수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83-90
    • /
    • 2011
  • 목 적: 이전의 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실내 연구에서 플라보피리돌은 암세포의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서 플라보피리돌의 방사선민감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우스 유방암 세포주인 EMT-6를 Balb/c 마우스에 피하주사하여 종양을 만든 후 플라보피리돌 단독 치료군, 방사선 단독 치료군,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 및 대조군으로 나누어 종양의 성장 속도를 비교 하였다. 플라보피리톨은 2.5 mg/kg을 하루 2회 복강내에 주사하였고, 방사선은 1일 1회, 회당 4 Gy를 조사하여 총 28 Gy를 조사하였다. 각 치료군에서의 종양 성장 곡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종양으로 파라핀 절편을 만틀어 TUNEL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종양 성장을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에서 종양 성장이 지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플라보피리돌 단독 치료군 사이에서는 종양 성장에 차이가 없었고,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TUNEL 염색으로 아포토시스율을 비교했을 때 각 치료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Ku70 발현을 비교했을 때에도 각 치료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플라보피리돌은 마우스 유방암 모델에서 방사선민감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과 환자-대조군 분석 (Outcom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Case-control Study with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 조완형;이수용;송원석;공창배;원호현;홍윤석;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0
    • /
    • 2009
  • 목적: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종양으로 연부조직육종에 비해 어느 정도의 치료 성적을 보이는 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두 악성 연부 육종의 치료결과를 비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12례의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 환자와 짝짓기 환자-대조군 분석을 위해 악성도 3등급의 연부조직 육종 중 골외성 골육종 환자와 유사한 위치, 크기, 나이를 가진 환자 6배수를 선별하였다. 결과: 골외성 골육종 환자 나이는 35~77세 (중간값 50세)였다. 위치는 상지 5례, 둔부 4례, 하지 3례 였다. 5년 생존율은 52% 였다. 대조군인 연부조직육종의 5년 생존율은 55%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 국소재발율은 골외성 골육종이 58%, 연부조직육종이 36%이었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 전이율은 각각 67%, 51%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 결론: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연부조직종양과 비슷한 전이 및 국소재발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골외성 골육종의 증례가 적으므로 다기관 연구를 통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hytol과 들미나리추출물이 Sarcoma 180마우스의 T Subset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hytol and Small Water Dropwort Extract on the T Subset in the Sarcoma 180-Transplanted Mice)

  • 김광혁;장명웅;박건영;이숙희;류태형;선우양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1
    • /
    • 1993
  • 본 연구는 녹황색채소류에서 추출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활성 물질로 보고되어 있는 phytol과 들미나리 추출물을 sarcoma 180마우스에 주사한 후 적출한 비장세포내 T임프구와 T subset, 그리고 asialo GM1$^{+}$세포를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양 마우스에 phytol 을 투여하였을 때 비장세포내의 T cell과 T-subset은 종양세포이식에 의해서 상승된 치를 더욱 증가시켰다. 그러나 들미나리추출물의 경우는 대동소이하였다. 2) Asialo GM1$^{+}$세포는 종양마우스에 phytol이나 들미나리추출물을 주사하였을 때 모두 상승하였으며 정상마우스에 phytol 을 투여하였을 때도 대조군에 비하여 상승했지만 들미나리추출물을 작용시켰을 때는 저하되었다. 3) L3T4$^{+}$/Lyt-2$^{+}$세포비는 종양마우스에 phytol을 주사하였을 때 감소를 보였지만 정상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는 더욱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들미나리추출물을 정상마우스에 투여 하였을때는 크게 감소하던 것이 종양마우스에 적요 시켰을 때는 증가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hytol이나 들미나리추출물은 종양마우스에서 작용자 세포인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 인자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경부 편평 세포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p53 발현 (The Overexpression of p53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s Prognostic Marker)

  • 정승원;이형석;박철원;박용욱;박찬금;장세진;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3
    • /
    • 2001
  • Objectives: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encodes a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critical regulator of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through its action in cell-cycle checkpoint control. The wide variety of stressful stmuli which include DNA damage, hypoxia, heat shock, metabolic changes activate the p53 protein, which in turn drives a series of events that culminate either in cell cycle arrest or apoptosis. Mutations of the p53 gene is the most common genetic alteration in human cancer. This gene is altered in approximately 40-60% of head and neck cancers. Whereas the wild-type form of the p53 protein plays a central role in cell-cycle control in response to DNA damage, most of the mutant forms are unable to do so. The high levels of p53 protein expression in tissues are related to the increased cellular proliferative activity and may be associated with the poor clinical outcome.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p53 protein has prognostic significance and is associated with patterns of treatment failure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We analyzed p53 overexpression in 40 cases of HNSCC.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a monoclonal antibody (DO7) specific for p53 protein was used to detect expression of the protein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umor samples from 40 HNSCC. We evaluated p53 protein express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53 overexpression and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survival rate, recurrence. All reported P values resulted from two-sided statistical tests. Results: Overexpression of p53 was detected in 20 cases(50%) among 40 cases of HNSCC. The p53 overexpr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recurrence and survival rate. Conclusions: In our results, p53 was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HNSCC. Based on many previous studies, It is evident that p53 has a certain role in tumorigenesis of HNSCC. So,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p53 in HNSCC.

  • PDF

Hearing Outcome after Gamma Knife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Vestibular Schwannoma Patients with Serviceable Hearing

  • Cho, Jae-Hoon;Paek, Sun-Ha;Chung, Hyun-Tai;Jeong, Sang-Soon;Jung, Hee-Won;Kim, Dong-Gy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0권5호
    • /
    • pp.336-341
    • /
    • 2006
  • Objective :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preservation rates of serviceable hearing and to determine its prognostic factors after gamma knife stereotactic radiosurgery[GK SRS] in the patient with vestibular schwannomas. Methods : Between December 1997 and March 2005, 54 patients with a sporadic vestibular schwannoma and serviceable hearing [Gardner Robertson grade I-II]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lectronic database of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before and after GK SRS were investigated to the last follow up. The mean marginal dose was $12.3{\pm}0.7Gy$. The mean maximum dose delivered to the tumor center was 24.7Gy [$22{\sim}30Gy$]. The median tumor volume was 2cc [$0.1{\sim}9.1cc$].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was 31 months [$6{\sim}99\;month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of audiometry was 24 months [$4{\sim}70\;months$]. Results : The tumor control rate was 100% in the patients with the follow up period more than 2 years. The trigeminal and facial nerve preservation rates were 98% and 100%, respectively. Twenty-eight [52%] of the 54 patients preserved serviceable hearing and 16 [30%] patients retained their pre-GK G-R grade level after GK SRS. In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reservation of the serviceable hearing. Conclusion : The hearing preservation rate is still un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other cranial nerve preservation and tumor control in the treatment of vestibular schwannoma by GK SRS. More sophisticated strategy during and after GK SRS is necessary to improve long-term hearing pre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