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en Riv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중국의 "일대일로" 창의와 두만강 지역 주요 항만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na'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Collaboration Scheme for the Main Ports in Tumen River Region)

  • 이종석;이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8
    • /
    • 2021
  • port is the intersection of highway, railway, waterway and other transportation modes, and is the key to realizing integrated transportation. There are many excellent ports around the Tumen River Region. With the obvious location advantages, Tumen River Region is an important part of Tumen River reg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nd is the key to realizing the "borrow port to sea", which is raised in "China Tumen River reg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ning outline -- regard Changjitu area as the development and opening leading area" (referred to as "planning outline"). This paper focus on the main ports in the Tumen River region, taking them as the research object. Furthermore, the paper makes the strategic plan for the port cluster in the Tumen River region as well as puts a collaboration scheme is proposed by analyzing the research reviews of the Tumen River region and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main ports.

임진정계시 '입지암류(入地暗流)'의 위치와 '토문강원(土門江源)'의 송화강 유입 여부 (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 Location of 'Yipjiamlyu' and the Confluence of 'Tomungangweon' into the Sungari River)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1-605
    • /
    • 2015
  •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목극등 지도의 '입지암류(入地暗流)'는 지리학적으로 '복류시작지점'을 의미하며, 오늘날 대각봉 북북동의 흑석구 하도, 해발고도 약 1,840m 지점이다. 둘째, 임진정계시 '토문강원(土門江源: 두만강원)'[흑석구]은 송화강에 유입되며, 목극등과 조선측 임진정계 참여자들도 1712년 5월 17~18일경 이 사실을 알았다. 이러한 두 가지 사실에 입각하여 임진정계를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목극등은 정계비를 압록강 송화강 최상류 분수계 부근에 세웠다. 압록강 토문강(두만강)의 최상류 분수계를 찾는다는 그의 의도대로라면, 정계비는 대연지봉에 세웠어야 한다. 5월 12일 그는 자신이 '토문강원(두만강원)'[흑석구]이라고 간주한 하도에서 '입지암류'를 발견했으며, 이곳으로부터 하도를 따라 복류하는 물이 다시 용출하여 토문강(두만강)이 된다고 생각하고, 5월 15일 정계비를 세웠다. 그러나 5월 17~18일경 이 하도가 토문강(두만강)이 아닌 '서류하천'(송화강 지류)에 연결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5월 19일 그는 다시 조선측이 가리킨 두만강(토문강) 용출처로 향했으며, 도중에 물이 나오는 것('수출(水出)')을 발견하고 자신이 '토문강원(두만강원)'이라고 생각한 물줄기가 다시 용출한 것이라고 지목하였다. 정계비로부터 이어지는 물줄기가 '입지암류' 지점에서 복류하기 시작하여 '수출'에서 다시 나와 토문강(두만강)이 된다고 이해한 것이다. 그는 "정계비-'토문강원(두만강원)'-'입지암류'-'수출'-토문강(두만강) 본류"로 물이 이어진다고 생각하고, 이를 조 청 국경으로 삼았으며, 그중 "정계비-'토문강원(두만강원)'-'입지암류'-'수출'"을 따라 경계표지물을 설치할 것을 조선측에 요구하였다. 그러나 목극등 귀국 후인 8월초 조선측 경계표지물 설치 실무자들은 목극등이 지목한 '수출'이 두만강(토문강) 수계가 아니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조선측 실무자들은 "정계비-'토문강원(두만강원)'-황화송전자 부근-'수출'"을 목극등이 설정한 경계로 이해하고 경계표지물 설치작업을 하다가, 자신들이 확인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까지 경계표지물을 연결하였다. 조선정부도 1713년 3월 이를 추인하였고, 이후 이러한 실무자들의 견해에 따라 중간의 경계표지물 미설치 구간에 대한 공사를 진행하였다. 경계표지물 설치에 대한 목극등의 요구와 조선측의 실행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조선측 실무자들이 이렇게 경계표지물을 설치한 것은 황화송전자 부근을 목극등의 '입지암류' 지점으로 이해했고, 자신들이 확인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가 진정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임진정계시 조 청 모두 압록강과 두만강(토문강)을 국경으로 인식하고 정계에 임하였다. 문제는 두만강(토문강) 수계를 잘못 이해했다는 점이다. 압록강에 대한 수계 판단은 비교적 정확했으나, 두만강(토문강)에 대한 수계 판단에서 유일하게 옳았던 것은 조선측 실무자들이 발견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였을 뿐이다.

  • PDF

두만강 북안 도선·도섭장 마을의 분포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A Ferry and Wade Village Tuman Riverside in China)

  • 임금화;김성중;김태영;장태현;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2-61
    • /
    • 2006
  •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Korean have emigrated to Tumen riverside. Their communities have different characters in accordance with the time, intention, and birthplace of emigrants who inclined to keep their fradifin and culture. There are many causes about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influenced by Dynasty's Policy in 1885, one of the reasons is to approve Han Min Zhuan Ken Di Qu(legal land development right for Korean immigrants), and provide land development district for Korean immigrants in the north region of Tumen river from 1885. In Tumen riverside, 69 Ferry and wade viuaces have existed for more than 90 years By and large, 21 communities and distributed in He-Long city, 28 communities in Long-Jing city, and 10 communities in tu-men city, and 10 communities in Hun-Chun city.

  • PDF

중국 두만강 하류 유역의 습지 분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etlands - Cases on the Watershed of Tumen River downstream in China -)

  • 주위홍;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50
    • /
    • 200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etland distribution and type-specific classification features with a focus on Tumen River downstream in China by adjusting and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Korea with a reference to inter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ir criteria & methods. In this study, wetland types were determined based on hydrology,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which are the most basic elements of wetlands. Also, topography analytical map, vegetation analytical map, and soil analytical map for wetland classification were developed and used based on currently available topography map, vegetation map, and soil map. In addition, codes were defined based on topography, location, hydrology, and vegetation.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Tumen River downstream, wetlands are often found near natural revetment and terrace land & river-bed lakes. In the discovered wetlands, riverine, lacustrine, and inland wetlands were mostly found at system level. Riparian and human-made wetlands were also identified. At a sub-system level, perennial and seasonal wetlands were found to a similar degree. At a class level, perennial open water, herbal plants, and shrubs were mostly found and sandy plain, hydrophytes, and forest tree types were also observed. An overall detailed classification shows that a total of 17 wetland types were found and a large distribution of sand dunes and river-bed lakes, which are scarce in Northeast Asia, indicates that other rare wetland types such as palustrine seasonal sand plain wetland and lacustrine seasonal sand plain wetland may be discovered.

중국과 북한 접경지역 두만강 일대의 Flora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the flora at Tumen river area,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 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2003
  • This study was executed by China along with the Tumen river, which formed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As a result 91 family, 282 genera, 363 species, 57 variety 4 species, total 424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The examination area was include the region that had various vegetation such as upper swampy land, seashore dune, a river, a high mountain grassy plain, deciduous tree zon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zone. The followings are representative plants, which found in an examination area but not in South Korea. Picea koraiensis, Larix gmelini var. principis-ruprechtii, Betula playphylla, Ulmus pumila, Populus koreana,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Rhododendron parvifolium, Salix brachypoda, Phacelurus latifolius, Carex gotoi, Carex capricornis, Calla palustris,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Lilium davuricum, Astragalus membranaceus, Trifolium lupinaster, Ledebourieila seselodeds, Polemonium racemosum, Scutellaria baicalensis, Linnaea borealis, Thladiantha dubia, Inula helenium, Trollius hondoensis, Hypocaeris ciliata, Aconitum kirinense, Aconitum arcuatum, Potentilla viscosa var. macrophylla. And there are 21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hich Korean Forest Sevice designated, such as Aconitum koreanum,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Polygonatum stenophyllum, Drosera rotundifolia, Iris setosa, Jeffersonia dubia, Lilium davuricum, Lilium cernum, Paeonia obovata, Penthorum chinense, Phacelurus latifolius, Rosa marretii, Sparganium stoloniferum, Thymus quinquecostatus, Trillium tschonoskii, Utricularia japonica, Tripterospermum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Vaccinium vitis-idaea, etc. Especially, plants like, Acanthopanax senticosus, Jeffersonia dubia and Lillum cernum which have high values of ornamental, and medical use are in an extinction crisis. High swampy land was formed to upper stream of Tumen river. It showed representative vegitation, like Carex sp., Scirpus radirans, Eriophorum latifolium. Wetlands plant and a dune plant were mixed in down stream area of Tumen river. On a dune, seashore plants, such as Carex kobomugi, Salsola collina, Raphanus sativus var. raphanistroides, Rosa rugosa, Scutellaria strigillosa, Linaria japonica, Phacelurus latifolius were appeared frequently.

두만강 국제하천 통합수자원 관리를 위한 포괄적·단계별 접근방안 (Holistic Hierarchical Approach to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Tumen International River)

  • 강부식;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323-332
    • /
    • 2005
  • 두만강은 하천규모는 작으나(약 $33,000km^2$), 상${\cdot}$하류 국가간 많은 갈등 요소를 안고 있음에도 변방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각국의 중앙정부로부터 정치${\cdot}$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1990년대 들어 UNDP등 국제적인 관심이 집중되면서 이 지역의 수자원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들이 제시되었으나 국제하천관리의 문제해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국제협력체계의 확고한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제도, 관리체계 및 기술적 대안이 필요한 국제하천관리의 기본원칙이 고려되지 않은 채 국가간 외교력에 의존한 접근방법이 한계를 맞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만강 수자원 관리 문제점들을 완화시키고 발전적인 전략적 대안 마련을 위하여 국제하천 문제해결의 합리적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제한적 영토주권"을 바탕으로 포괄적, 단계적인 접근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유사 사례분석을 통해 두만강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연안국간 평등성(equity)이 달성될 수 있도록 국제적인 협력네트웍의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두만강 유역의 합리적인 수자원 개발방안 도출을 위한 2인 비영합 협력게임 적용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two-person nonzero-sum game for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Tumen river basin)

  • 박완수;이상은;박희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2
    • /
    • 2010
  • This study aims to make a decision about the rational option for a multipurpose dams development of the Tumen river basin so that the adjoining countries will effectively deal with the chronic problems and fully satisfy the fast growing demand of water and power. It has been thus far investigated that the interest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losely depend on the selected option, and they are not well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se situations are defined in terms of the cooperative two-person nonzero-sum game. The Nash bargaining model is then applied to contemplate the rational option, considering two scenarios of economic growth of the North Korea. After analyzing the model, it was expected that 1) two multipurpose dams must be cooperatively developed, and 2) their benefits should be allocated according to demand of each country. The authors finally suggest that a cooperative organisation be established to effectively manage the dams beyond the border of the countries.

두만강지역 경제성장과 물류업탄소배출의 관계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carbon emission of logistics industry in Tumen River region)

  • 지택항;이광수;이용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46
    • /
    • 2016
  •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of Tumen River region from 1995 to 2014 is empirically analyzed by using the EKC model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turning point in the Kuznets curve of carbon emission in TumenRiverregion.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 sof "invertedU" curve, which conforms to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Meanwhile it is stil lintherisingst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proposed to set up the concept of low carbon logistics, optimize the energy structure, strengthen the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establish low-carbon development mechanism and so on.

북동아시아 페스트 발생중 두만강 유역 전염병 예방과 국제협력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Tumen River Basin During the NorthEast Asian Black Death)

  • Lee, Yongzh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6-285
    • /
    • 2017
  • 북동아시아 페스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연변지역의 방역에 관한 내용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북동아시아 페스트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변지역 지방사료들을 참고하고 당시 두만강유역(주로 현 연변지역) 폐페스트 예방조치와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문헌을 활용하여 사망수치에 대한 검증과 비록 제한적이지만 이 지역에 있었던 국제적 협력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페스트 역병방지에 있어 성과가 있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분광 TM 영상 변환기법과 감독분류 정확도 비교연구 -두만강 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Accuracy of Image Transformation Methods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s on Multi-Spectral TM: A Comparative Study on Lower Tumen River Area)

  • 이기석;남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1-32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두만강 하류지역 다분광 TM영상의 변환기법과 그에 대한 감독분류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체적 분류 정확도는 최대우도법이 높으며 식생은 MNF와 TC 변환 영상에서 비교적 좋은 분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MNF, TC, NDVI 등 영상들로 구성된 7차원 영상은 3차원 영상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며 그 중에서도 최대우도법의 분류 결과가 제일 좋았다. 다분광 영상은 두만강 지역 경제 개발 계획과 산업 입지 선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