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ular Cell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42초

수컷 생쥐 생식기관의 형태에 미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선택적 촉진제의 농도별 영향 (Concentration Effect of Estrogen Receptor-${\alpha}$ Selective Agonist on the Morphology of Reproductive Organs of the Male Mice)

  • 한지연;조영국;조현욱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1호
    • /
    • pp.37-45
    • /
    • 2011
  • 암컷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에스트로겐이 실제로는 수컷 생식기관에도 영향을 미친다. 에스트로겐은 수용체와 결합하여 그 작용을 나타낸다. Propyl pyrazole triol (PPT)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파에 410배 혹은 1,000배 더 높은 선택적 친화성으로 결합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촉진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체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castor oil에 각각 0.01 mg, 0.1 mg, 1 mg, 4mg의 농도로 희석한 PPT를 1주에 1회씩 8주 동안 피하주사 하였다. 대조군은 castor oil을 주 1회씩 동일한 기간 동안 생쥐에 피하주사 하였다. 정소, 수출소관, 부정소의 조직학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PPT 4mg의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체중, 정소, 부정소의 무게가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PPT에 의해 세정관의 직경, 부정소의 상피세포 높이가 감소되었다. 부정소에 붙어 있던 지방세포의 크기는 PPT에 의해 줄어들었다. PPT 4 mg 투여군의 경우, 부정소의 꼬리 부위에 저장되는 정자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농도의 PPT 투여로 인해 성체 수컷 생쥐의 정자형성 억제와 같은 생리학적 변화가 유발되었고 동시에 생식기관의 조직학적 변화도 유발되었다.

알루미늄 화합물이 흰쥐의 신장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uminum Compound on Kidney Tissues of Rats)

  • 한성희;김중만;백승화;한두석;신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64-1268
    • /
    • 1997
  • 알루미늄 화합물 종류에 따라 흰쥐의 신장에 축적된 알루미늄 함량과 그로 인한 신장조직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S-D계 수컷 75마리를 5개 그룹 즉 대조군, 250 ppm $AlCl_3$ 500 ppm $AlCl_3$ 250 ppm $Al_2(SO_4)_3$ 500 ppm $Al_2(SO_4)_3$로 나누어 2주 동안 투여한 후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신장의 알루미늄량은 $AlCl_3$ 투여군은 $64.12{\sim}91.98\;ppm$ 이었고, $Al_2(SO_4)_3$ 투여군은 $113.58{\sim}135.49\;ppm$으로 $AlCl_3$보다 $Al_2(SO_4)_3$ 투여군에서 더 많이 축적되었다. 신장조직에서 $AlCl_3$, 투여군은 세뇨관 부위의 갑상선화와 간질세포내의 염증세포의 침윤, 수질의 세뇨관 파괴부위에 알루미늄이 침착되었고, $Al_2(SO_4)_3$ 투여군에는 피질에 심한 출혈, 사구체의 파괴 및 염증부위에서 알루미늄 침착이 관찰되었다.

  • PDF

Novel method of histopathological analysis after testicular sperm extraction in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nd obstructive azoospermia

  • Cito, Gianmartin;Coccia, Maria Elisabetta;Picone, Rita;Nesi, Gabriella;Cocci, Andrea;Dabizzi, Sara;Garaffa, Giulio;Fucci, Rossella;Falcone, Patrizia;Bertocci, Francesco;Santi, Raffaella;Criscuoli, Luciana;Serni, Sergio;Carini, Marco;Natali, Alessandr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5권4호
    • /
    • pp.170-176
    • /
    • 2018
  • Objective: To assess whether the "testicular pool" could be used for histological analysis and whether it gave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March 2018, this single-center prospective study included 60 azoospermic men undergoing conventional bilateral testicular sperm extraction. Six samples were excised from each testicle and transferred to an embryologist. One additional biopsy was randomly taken from each testis for a histological analysis. After processing, the testicular pool was also sent for a histological analysis, which showed normal spermatogenesis (NS), hypospermatogenesis (HYPO), maturation arrest (MA), Sertoli cell-only syndrome (SCOS), and tubular atrophy (TA). Results: Twenty of the 60 patients (33.3%) had obstructive azoospermia (OA), while the remaining 40 (66.6%) had nonobstructive azoospermia. Their mean age was 40.5 years. All patients with OA had previously undergone unsuccessful testicular fine-needle aspiration. Successful sperm retrieval (SSR) occurred in 93.3% of patients.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testicular biopsy revealed NS in 12 patients (20%), HYPO and TA in 28 patients (46.6%), MA in eight patients (13.3%), and SCOS in 12 patients (20%).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showed NS in 12 patients (20%), HYPO and TA in 44 patients (73.3%), MA in four patients (6.6%), and SCOS in no patients. In four patients with MA (6.6% of the total sample) and 12 patients with SCOS (20% of the total sample) according to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the embryologist found SSR with cryopreservation. Overall, in 44 patients (73.3%),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confirmed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In the 16 cases (26.6%) with a discrepancy between the single-biopsy histological findings and SSR,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confirmed the embryological data on SSR. Conclusion: The testicular pool proved to be easily analyzable, practical, manageable, and more accurate for predicting sperm retrieval than standard testicular biopsy.

Dietary crude protein levels during growth phase affects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but not reproductive efficiency of adult male Japanese quails

  • Retes, Pamela Lacombe;Neves, Danusa Gebin das;Bernardes, Laryssa Fernanda;Alves, Victoria Veiga;Goncalves, Natalia de Castro;Lima, Diego de Rezende;Alvarenga, Renata Ribeiro;Pereira, Barbara Azevedo;Seidavi, Alireza;Zangeronimo, Marcio Gilbert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385-398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dietary crude protein (CP) levels during the growth phase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as well as the body development of adult male Japanese quail. Methods: Three hundred one-day-old male quails were distributed into five treatments with diets containing different CP levels (18%, 20%, 22%, 24%, and 26%)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six replicates of ten birds each. The CP diets were applied only during the growth phase (1 to 35 days). At 36 days of age, the birds were transferred to 30 laying cages with three males and nine females each, and all birds received the same diet formulated to meet production-phase requirements until 96 days of age. Results: The growth rate of the birds increased linearly (p<0.01) with increasing dietary CP, but the age of maximum growth decreased (p<0.05). At growth maturity, all birds had the same body weight (p>0.05). At 35 days of age, higher weight gain was obtained (p<0.05) with diets containing 22% CP or higher. No effects on feed conversion were observed in this phase. The increase in dietary CP enhanced (p<0.01) nitrogen intake and nitrogen excretion but did not affect (p>0.05) nitrogen retention. Testis size, seminiferous tubular area, number of spermatogonia, and germinal epithelial height at 35 days of age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dietary CP, while the number of Leydig cells decreased (p<0.01). The Sertoli cell number at 60 days of age increased linearly (p<0.01) with dietary CP. Dietary CP levels did not affect cloacal gland size, foam weight, foam protein concentration, semen volume, or flock fertility at 90 days of age. Conclusion: Dietary CP concentration affected body and testicular development in male Japanese quails but did not affect reproductive efficiency.

Proton Pump Inhibitor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의 혈관형성 억제효과 (Suppression of Helicobacter pylori-induced Angiogenesis by a Gastric Proton Pump Inhibitor)

  • 진성호;이화영;김동규;조용관;함기백;한상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91-199
    • /
    • 2005
  • 목적: Helicobacter pylori(H. pylori) 감염이 숙주의 혈관형성을 유도하는 작용은 잘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혈관형성 유도작용을 억제하는 기전이나 치료법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HP 감염이 위 점막의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gastric proton pump inhibitor (PPI)의 강력한 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H. pylori 양성인 20명의 위염 환자들과 음성인 18명의 위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시경생검으로 수집한 위 점막의 CD34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alpha})$와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발현은 RT-PCR로 측정하였다. H. pylori 감염이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혈관형성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 염색 검사상 H. pylori음성 위염에서 보다 H. pylori양성 위염에서 위 점막층의 CD34양성 혈과이 유의하게 많이 발현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HIF-1{\alpha}$의 발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H. pylori에 감염된 위 점막 세포의 조건화된 배지는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의 세관 형성을 자극하였다. 그리고 H. pylori 박멸치료에 사용되는 PPI가 HP 유도성 혈관형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를 발견하였고, PPI의 작용은 H. pylori 유도성 혈관형성의 주된 신호전달 경로인 MAP kinase ERK1/2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 이루어졌다. 결론: PPI가 H. pylori 유도성 혈관형성을 억제하다: 결과는 H, pylori가 관련된 암 발생의 예방을 위하여 PPI를 사용한 항혈관형성 치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PDF

생후 발생중인 흰쥐의 턱밑샘 및 혀밑샘에서의 비만세포와 신경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of Mast cells and Nerves in the Developing Postnatal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Glands of Rats)

  • 김재곤;안수현;이영수;백병주;조의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50-364
    • /
    • 1999
  • 본 연구는 출생 후 성장과정에 있는 흰쥐의 턱밑샘과 혀밑샘에서 비만세포와 신경의 분포양상을 알아보고 이들이 침샘의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는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만세포는 출생 후 턱밑샘과 혀밑샘에서 모두 관찰되었으며 성장에 따라서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8주 이후에는 세포밀도가 변화하지 않았다. 출생시 턱밑샘보다는 혀밑샘에서 더 많은 수의 비만세포가 존재하였고 2주와 4주에서는 대부분의 비만세포가 신경혈관요소의 주변 결합조직에서 분포하였으나 일부는 선포와 근접하여 분포하고 있었다. Protein gene product 9.5 (PGP 9.5)에 면역 반응을 보이는 신경섬유들은 출생 후 모든 시기의 선조직에서 관찰되었으며, 꾸불꾸불한 형태로써 주로 도관과 혈관 주변에 분포하고 있었다.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섬유는 출생 후부터 8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2주에 신경섬유는 선포주변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4주와 8주에는 분화하는 도관주변에서 특히 증가하였다. 이후부터 24주까지는 도관주변에 신경섬유가 감소하는 것 이외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결과 출생 후 성장기의 흰쥐의 턱밑샘과 혀밑샘에서 비만세포의 분포변화와 PGP 9.5에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섬유가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며, 비만세포와 신경섬유는 선포의 분화 및 성숙, 그리고 도관구조의 분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세포와 신경은 출생 후성장기의 턱밑샘과 혀밑샘에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로의 분화를 유도하고 촉진시킴으로서 선포와 도관의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Streptomyces exfoliatus에서 생성되는 배양 상청액내의 mutanase 가 인공치태 형성에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구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시한 점에 있다. 결 론: 본 실험 결과 전신방사선조사시, 조직등가 고체팬텀과 산란판 사이의 간격이 $50{\sim}60cm$일 때 표면선량을 처방선량에 가장 근접하게 조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란판과 환자와의 거리를 $50{\sim}60cm$에 위치시켜 표면선량의 over dose나 under dose의 발생 방지를 위한 주의가 반드시 필요하겠다.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본에서 III군에 비해 크기가 큰 기포가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e의 약동학은 cimetidine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 PDF

IgA 신병증 환자에서 Interleukin-17 수용체 A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연관성 연구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s in Interleukin-17 receptor A gene and childhood IgA nephropathy)

  • 백승아;한원호;조병수;김성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15-221
    • /
    • 2010
  • 목 적 : IgA 신병증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사구체 질환으로 최근 들어 interleukin (IL)-17의 면역조절 반응에 있어서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IL-17RA 유전자의 단일 염기다형성과 소아 IgA 신병증의 발생 및 진행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직 검사를 통해 확인된 IgA 신병증 환아 156명과 건강한 정상 성인 245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말초혈액을 채취하였다. PCR 방법으로 IL-17RA 유전자의 SNP (rs2895332, rs1468488, rs4819553)를 분석하였다. 환자군을 단백뇨(${\leq}4$ and >$4mg/m^2/hr$, ${\leq}40$ and >$40mg/m^2/hr$)와 병리학적 진행 여부에 따라서 두 그룹으로 나누어 IL-17RA SNP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 과 : IgA 신병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IL-17RA 유전자 rs2895332, rs1468488, rs4819553의 발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IL-17RA 유전자 각각에 대하여, 병리학적 진행성 병변을 가진 군과 그렇지 못한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rs2895332 유전자의 경우, 단백뇨가 있는 군(단백뇨>$4mg/m^2/hr$)과 없는 군(단백뇨${\leq}4mg/m^2/hr$)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IL-17RA 유전자 rs2895332의 단일염기다형성은 소아의 IgA 신병증에서 단백뇨의 발생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이 있었다.

카드뮴 투여수준이 흰쥐의 임상적인 중독증과 정자능력 및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admium Level on Clinical Toxicity, Sperm Capacity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Rats)

  • 한찬규;노정해;이남형;채찬희;김광식;이복희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1999
  • 카드뮴 (Cd)의 투여가 흰쥐의 임상적인 중독 정도와 청자능력 및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카드뮴의 임상적인 중독증 유발을 위한 시험사료는 흰쥐용 purified diet(AIN-76)에 CdCl를 이용하여 Cd 농도가 각각 0, 25, 50, 100 및 250ppm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생후 7주령 ( 평균체중 231$\pm$14g) 된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 30 수를 체중에 따라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6수씩 5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중체량, 사료섭취량 및 음수량은 카드뮴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무게에 있어서 특히 신장과 정소의 무게는 카드뮴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비대하였고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Hematocrit 치와 hemoglobin 함량 역시 Cd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식이중 카드뮴의 간과 신장조직에의 평균 축적율은 간 조직이 34.1%, 신장조직이 54.3% 이었고, 저수준의 Cd 투여군이 고수준의 Cd 투여군 보다 간과 신장조직에의 축적율이 대체로 높았다. 간 조직중 metallothionein(MT) 함량은 대조군 (A) 이 30.0 $\mu\textrm{g}$/g 인데 비해 250ppm 투여군 (E) 에서는 138.6 $\mu\textrm{g}$/g 으로 카드뮴 투여수준에 따라 MT 합성은 유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자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Cd 투여수준에 따라 유의한 감소 경향 (P<0.05) 이었고, 정자 활력은 비록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Cd 투여군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한편 카드뮴 투여가 조직병변에 미치는 결과를 보면 육안병변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Cd l00ppm과 250ppm 투여군의 흰쥐에서 외관상 수척되어 있었고, 특히 250ppm 투여군의 흰쥐에서 신장과 고환의 현저한 위축이 관찰되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Cd 투여군에서 간상간세포의 변성, 간세포와 간세포사이의 모세혈관이 sinusoid에서의 호산성물질의 저류 및 Kupffer cell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신장의 경우 Cd 투여군에서 세뇨관 상피세포의 변성 및 호염성병변이 관찰되었으며 고환에서는 Cd 투여 농도에 의해서 세포변성, 정자세포수의 감소 및 거핵세포의 출현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카드뮴에 장기간 노출은 성선조직의 변화에 의해 정자활력 및 농도의 감소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번식효율이 저하되는 한 요인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