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ular Cell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3초

가시오가피약침(五加皮藥鍼)이 당뇨유발억제(糖尿誘發抑制) 및 신장보호활성(腎臟保護活性)에 미치는 영향 (Preventive Effect on Development of Diabetes and Renoprotective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Aqua-acupuncture in Multiple Low-dos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정종운;이윤호;강성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14
    • /
    • 2003
  • Objective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AS) aqua-acupuncture into Sinsu(BL23) of the multiple low-does strep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 Methods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normal group of rats, control group of multiple low-does STZ-induced diabetic rats, NSAA group with 0.4ml normal saline(NS) aqua-acupunctured subcutaneously into Sinsu in multiple low-does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ASAA group with 0.4ml of 20% AS aqua-acupunctured subcutaneously into Sinsu in multiple low-does STZ-induced diabetic rats. Each of AS and NS aqua-acupuncture was done subcutaneously into both loci of Sinsu taking turns everyday for 3 weeks. Thereafter the levels of serum glucose, body weight, index of kidney hypertrophy, urine glucose, urinary albumin excretion, creatinine clearance, mesangial cell and TGF-${\beta}1$ expression in glomeruli and tubular cells were measured on the determined day. Conclusions : 1. Both ASAA and NSAA groups decreased the serum glucose levels in multiple low-dose STZ-induced diabetic rats as compared to the cintrol group, and ASAA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s than NSAA group. 2. Both ASAA and NSAA groups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diabetes in multiple low-dose STZ-induced diabetic ra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ASAA group prevented more markedly the development of diabetes than NSAA group. 3. Both ASAA and NSAA groups prevented the reduction of body weight in multiple low-dose STZ-induced diabetic ra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ASAA group showed the same as the normal group. 4. Both ASAA and NSAA groups did not show any changes of the creatinine clearance in multiple low-does STZ-induced diabetic rats. 5. Both ASAA and NSAA groups prevented the excretion of urinary glucose and albumin in multiple low-dose STZ-induced diabetic rats as compared to the cintrol group, and ASAA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prevention than NSAA group. 6. Both ASAA and NSAA groups prevented the expansion of glomerular cells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in multiple low-dose STZ-induced diabetic rats as compared to the cintrol group, and ASAA group prevented more significantly than NSAA group.

  • PDF

규조류 Skeletonema pseudocostatum Medlin (Thalassiosirales, Bacillariohyta)의 형태적 특징과 분자계통학적 위치 (Morpho-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atom Skeletonema pseudocostatum(Thalassiosirales, Bacillariophyta) from the Korean coast)

  • 한경하;이준;박준상;윤주연;김현정;곽경윤;오석진;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21-29
    • /
    • 2020
  • Skeletonema pseudocostatum의 세포는 규산질 성분의 돌기에 의한 사슬 형태로, 길이는 6~17.3 ㎛였고, 엽록체는 세포 당 1~2개를 포함하고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Skeletonema 종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자리 받침돌기끝(terminal fultoportula process)은 끝이 갈라지거나, 갈고리 모양이었고, 길이가 1.67±0.5 ㎛이고, 개각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개수는 8.10±1.1개로 개각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말단세포 입술돌기(terminal rimoportula process)는 두꺼운 원통형의 나팔관 모양으로, 개각의 중앙 근처에 위치하였고, 길이는 1.1±0.6 ㎛였으며, 개수는 1개였다. 연결세포 받침돌기(intercalary fultoportula process)는 대부분 1 : 1 결합으로 서로 맞물려 있는 형태였고, 1 : 2 결합도 종종 발견되었다. 계통분석 결과는 형태적 특징이 유사한 종 간의 유전학적 거리가 가깝다는 것을 나타냈고, 지리적 기원이 다른 동일 종의 경우, 유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S. pseudocostatum은 지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유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단일계통(monophyly)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Different Regulation of p53 Expression by Cadmium Exposure in Kidney, Liver, Intestine, Vasculature, and Brain Astrocytes

  • Lee, Jin-Yong;Tokumoto, Maki;Hattori, Yuta;Fujiwara, Yasuyuki;Shimada, Akinori;Satoh, Masahik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73-80
    • /
    • 2016
  • Chronic exposure to cadmium (Cd) is known to adversely affect renal function. Our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Cd induces p53-dependent apoptosis by inhibiting gene expression of the ubiquitin-conjugating enzyme (Ube) 2d family in both human and rat proximal tubular cell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d on protein expression of p53 and apoptotic signals in the kidney and liver of mice exposed to Cd for 12 month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effects of Cd on p53 protein levels and gene expression of the Ube2d family in various cell lines. Results showed that in the kidney of mice exposed to 300 ppm Cd for 12 months, there was overaccumulation of p53 proteins in addition to the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was triggered specifically in the proximal tubules. Interestingly, the site of apoptosis was the same as that of p53 accumulation in the proximal tubules. In the liver of mice chronically exposed to Cd, gene expression of the Ube2d family tended to be slightly decreased, together with slight apoptosis without the accumulation of p53 protein. In rat small intestine epithelial (IEC-6) cells, Cd decreased not only the p53 protein level but also gene expression of Ube2d1, Ube2d2 and Ube2d4. In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BMECs), Cd did not suppress gene expression of the Ube2d family, but increased the p53 protein level. In human brain astrocytes (HBASTs), Cd only increased gene expression of UBE2D3. These results suggest that Cd-induced apoptosis through p53 protein is associated with renal toxicity but not hepatic toxicity, and the modification of p53 protein by Cd may vary depending on cell type.

절수에 의한 Mongolian gerbil 신장조직의 변화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Kidney of the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 김무강;이근좌;정영길;송치원;이경열;박일권;이철호;이기훈;현병화;김길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433-452
    • /
    • 1997
  •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s been as an animal model for studing the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stroke and epilepsy because of the congenital incompleteries in Willis circle, as well as the investigation of water metabolism because of the long time-survival in the condition of water-deprived desert condition, compared with other species anima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this research, first of all another divided the laboratory animals 5 groups of which each group include the 5 animals. In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structure in the kidney, measured the plasma osmolalities at the time of sacrifice of indivisual animals, and the body weights every day during water-depri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body weights and decreasing rates of the body weight in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groups were continuosly decreased. 2. The plasma osmolalities were increased from the 5th water-deprived day, after then the gradually increasing reached nearly its equilibrium state at the 10th water-deprived day. 3. The urine volumes were abruptly decreased from the 2th water-deprived day, after then the gradually decreasing patterns were reached nearly its equilibrium state at the 10th day, and stopped the 11th day. 4. In the light microscopical observation of the kidney, glomerular capillary loop thickening, mesangial matrix increasing, sclerosis, glomerular cystic atrophy, interstitial fibrosis, tubular dilatation, mononuclear interstitial inflammation, interstitial mineralization, and hyperplasia of the collecting duct epithelium in the cortex area, were observed from the 10th water deprived day, and the lesions were gradually severe changed as the time lapse. 5. In the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the kidney, the degenerative changes of endothelial cell, podocyte and mesangial cell in glomeruli were initially observed on the 10th water-deprived day as well as the degeneration of microvilli and intracellular organelle in the renal tubules.

  • PDF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외투막 상피층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Mantle Epidermis in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ivalvia: Acridae))

  • 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13-222
    • /
    • 2002
  • 피조개의 외투막은 바깥 상피층, 결합조직층 그리고 안쪽 상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피층은 단층으로 지지세포, 섬모세포 및 분비세포들로 구성되며, 결합조직층은 주로 교원섬유와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안쪽 상피층의 지지세포들은 원주형으로 자유면은 미세융모로 덮여있다. 섬모세포들은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를 가지며, 이들 세포의 세포질 상부에서는 다수의 관상 미토콘드리아들이 관찰된다. 분비세포들은 주로 바깥 상피층에서 관찰되며, 분비과립의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A, B, C, D 네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A형 분비세포들은 점액세포들로서 가장자리와 중앙부의 외투막에서 주로 관찰되며, 이들 세포의 분비과립은 전자밀도가 낮고 막을 가지지 않는다. B형 분비세포들은 발달된 다수의 조면소포체와 골지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한다. C형 분비세포들의 분비과립은 섬유성분의 중심부와 균질성의 주변부로 구분된다. D형 분비세포들은 주로 중앙부와 각정부 외투막의 바깥 상피층에서 관찰되며, 이들 세포의 분비과립은 균질성의 중심부와 과립상의 주변부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피조개 외투막의 바깥 상피층은 패각형성에 관여하며, 안쪽 상피층은 외투강 정화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별망둑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조직학적 특성 및 동소 망둑어과 출현종들과의 비교연구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Pisces, Gobiidae), Compared to Sympatric Intertidal Gobies)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의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동소종(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들과 비교하였다. 별망둑은 튜브형 전비공, 표면과 평행하는 후비공, 세로배열의 한 개 후판, 두 개 비낭, 후상피 하부에 풍부한 림프구, 호산구, 후감각뉴런에서 후돌기 직경의 1/4의 섬모 길이의 일반적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특징들 중 1) 0.5~1.0 mm의 전비공 직경, 0.2~0.5 mm의 후비공 직경(vs. 미끈망둑의 0.2~0.3 mm, 0.2~0.3 mm; 날개망둑의 0.2~0.4 mm, 0.1~0.3 mm의 전비공과 후비공 직경), 2) 감각상피에서의 상대적으로 풍부한 림프구, 3) 비감각섬모의 부재(vs. 미끈망둑에서 높은 분포; 날개망둑에서 낮은 분포), 4) 후감각뉴런의 후돌기 대비 1/4의 섬모 길이(vs. 미끈망둑의 1/4에서 1 : 1 비율 혼재; 날개망둑의 2~3배)는 두 동소종들과 비교되는 특이적인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별망둑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특징들은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서 다른 동소종들 보다 더 적극적인 면역반응과 활동적인 움직임에 적응된 결과로 간주된다.

고추잠자리 複眼의 電子顯微鏡的 構造 (Ultrastructures of the Compound Eye in Dragonfly, Crocothemis servilia Drury)

  • 백경기;최춘근;신길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1-131
    • /
    • 1972
  • 고추잠자리 複眼의 망막의 미세구조가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되었다. 個眼의 綱膜層을 이루고 있는 細胞의 數는 모두 8個이나, 이는 綱膜層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한다. 따라서 綱膜細胞의 수에 의해 망막층은 三分되며, 中間層의 基部綱膜細胞는 부근의 두 感桿體를 연결하고 있다. 세 개의 感桿體가 서로 $120^{\circ}$의 각도를 갖고, 융합되어 이루어진 감간체는 횡단면에서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絨毛突起는 外心을 둘러싸고 전자밀도가 다른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밀도가 약한 내부 絨毛突起는 세포질과 서로 通하고 있다. 粗面小胞體는 綱膜세포의 端部에서 空胞와 연결되고 있으며 수많은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中間部位에 산재되어 있다. 圓錐晶體는 4個의 圓錐세포로서 구성되며 주위에는 많은 색소세포가 존재한다.

  • PDF

가잠의 전염성 연화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 증식에 관한 연구 (Multiplication of Infectious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
    • /
    • 1984
  • 가잠에 있어서 피해가 많은 전염성 연화병(Flacherie Virus; FV)과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의 증식에 관한 연구를 행하기 위하여 서당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양바이러스의 정제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바이러스 감염잠의 중장과 체액에서의 핵산과 단백질의 변동 및 감염중장 피막세포의 전자현미경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 일연의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서당밀도구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FV 및 DNV를 분획한 결과, base line이 낮고 좌우상칭의 단일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바이러스 분획을 얻었으며, 또한 이들 바이러스의 negative 염색에 의한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FV는 27nm, DNV는 21nm의 균일한 구형입자임이 확인되었다. 2. 두 바이러스 감염잠의 체중은 바이러스 접종 6일 후부터, 중장중은 바이러스 접종 3일 후부터 건전잠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다. 3. D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공히 중장에서는 전기간을 통해 건전잠에서 보다 높았고, 체액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초ㆍ중기에는 큰 변화가 없고 바이러스 접종 7일 이후에는 건전잠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4. R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다같이 바이러스 접종 초기에 중장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높았고, 체액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바이러스 접종 말기에는 중장 및 체액의 경우 공히 건전잠에서 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그 정도는 DNV 감염잠에서 더 심했다. 5. FV 및 DNV 감염잠에서 중장과 체액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접종 중기까지는 건전잠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접종 말기에서는 건전잠에서 보다 월등히 낮았다. 6.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FV 및 DNV 감염잠 중장 RNA 전기영동상은 건전잠의 중장 RNA인 26S, 17S, 5S 및 4S의 4종 band와 동일했다. 7. FV 및 DNV 감염잠의 중장 단백질 전기영동상은 바이러스 접종 1일과 5일 후에는 건전잠의 것과 큰 차이가 없고, 접종 8일 후에는 건전잠에 존재하는 이동도가 낮은 L band가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공히 소실되는 반면, 건전잠에서 볼 수 없는 이동도가 중간인 M band가 새로이 나타났으며 비교적 이동도가 높은 건전잠의 N band는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한편 원통세포 내에서 봉입체 관찰되고, 변형소구화된 배상세포가 중장강으로 탈락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11. DNV감염 중장조직을 acridine orange 염색을 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DNV접종 5일 후에 본 바이러스 증식 장소인 원동세포핵의 비대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12. 전자현미경에 의해 DNV감염 중장조직세포를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원동세포 핵내의 인이 소형 과립으로 붕괴되어 산재되었고, 접종 8일후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virogenic stroma가 출현하였으며, 감염 말기로 추정되는 핵내의 전자밀도가 전자보다 낮고 더욱 확대되어 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irogenic stroma도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virogenic stroma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유사체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virogenic stroma는 바이러스 전구물질의 합성 및 바이러스 조립장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유방암 세포(EMT6) 이식 마우스에서 녹차폴리페놀 음용이 시스플라틴의 암 조직 성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Tea Polyphenol on Tumor Growth Inhibition by Cisplatin in EMT6 Breast Tumor-bearing Mice)

  • 이병래;조정일;박평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7-54
    • /
    • 2014
  • 본 연구는 녹차폴리페놀이 시스플라틴의 항암작용과 신장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방암 세포(EMT6)와 암세포 이식마우스를 이용하여 in vitro와 in vivo 실험으로 관찰하였다. 배양한 EMT6 세포에서 녹차폴리페놀은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 독성을 증가시켰다. 마우스에 EMT6 세포를 주사하여 유발된 종양의 크기가 시스플라틴군(CP)보다 시스플라틴+녹차폴리페놀군(CP+GTP)에서 유의하게 작았고, 종양조직 p53와 caspase-3 활성화가 시스플라틴군(CP)보다 시스플라틴+녹차폴리페놀군(CP+GTP)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장 GGT와 AP 활성은 시스플라틴군(CP)보다 시스플라틴+녹차폴리페놀군(CP+GTP)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신장 조직학적 소견에서 신세뇨관 확장과 괴사가 시스플라틴군(CP)보다 시스플라틴+녹차폴리페놀군(CP+GTP)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 녹차폴리페놀은 EMT6 유방암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및 in vivo 실험에서 시스플라틴의 항암작용을 증강시키면서 신장에 대한 독성 부작용은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녹차폴리페놀의 시스플라틴 항암작용 증강과 신장 독성 억제 및 감소 효과는 시스플라틴에 의한 암 치료 시 화학요법제의 보조제로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항암화학요법제에 대한 보조제로의 개발을 위해서는 대규모 동물실험을 통한 효과 입증 및 부작용에 대한 실험과 임상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발생 중인 백서 신장에서 Angiotensin II 억제가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giotensin II inhibition on the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in developing rat kidney)

  • 임형은;유기환;배인순;홍영숙;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8호
    • /
    • pp.944-952
    • /
    • 2009
  • 목 적 :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EMT)은 태생기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발달과정일 뿐 아니라, 신 섬유화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nestin은 고전적인 줄기세포 표지자로 신 세뇨관 간질 손상에 있어 새로운 표지자로 밝혀지고 있다. 신생 백서 신장에서 Angiotensin (Ang) II가 EMT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를 투여한 신생 백서의 신장에서 EMT 표지자 및 nestin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방 법 : 7일 동안 신생 백서에게 enalapril (30 mg/kg/d) 또는 vehicle을 투여하였으며, ${\alpha}-smooth$ muscle actin (SMA), E-cadherin, vimentin 및 nestin에 대한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enalapril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신 피질 및 수질 모두에서 ${\alpha}-SMA$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확장된 세뇨관 상피 세포에서 뚜렷하였다(P<0.05). E-cadherin 발현은 enalapril 투여군의 신 피질 및 수질의 세뇨관 상피 세포에서 확연히 감소하였다(P<0.05). vimentin 및 nestin 발현은 신 피질에서는 양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신 수질에서는 enalapril 투여군에서 세뇨관 간질 세포에서 발현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결 론 : 신생 백서 신장에서 Ang II 억제는 ${\alpha}-SMA$ 발현을 증가시키고, E-cadherin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발달하는 신장의 EMT를 증가시켰다. Enalapril 투여는 또한 신 수질에서 vimentin과 nestin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신생 백서 신장에서의 Ang II 억제로 인한 EMT 과정 중 신 수질의 변화가 더욱 뚜렷한 것을 시사하며, Ang II 억제가 EMT 표지자들의 발현을 다르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