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culous meningiti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4초

급성 경추 경막외 농양 및 경추척추염과 동반된 결핵성 수막염 1예 (A Case of Tuberculous Meningitis Combined with Acute Cervical Epidural Abscess and Cervical Spondylitis)

  • 이동국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4권2호
    • /
    • pp.140-145
    • /
    • 2002
  • Neurologic sequelae of tuberculous meningitis include hemiparesis, paraparesis, quadriparesis, aphasia, developmental delay, dementia, blindness, visual field defect, deafness, cranial nerve palsies, epilepsy, and hypothalamic and pituitary dysfunction. But cervical epidural abscess and cervical spondylitis are rare. A 64-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as tuberculous meningitis presented a severe neck pain and stiffness after 3 weeks of anti-tuberculous medication. Electromyography and cervical X-ray showed a cervical spondylosis with polyradiculopathy. But cervical MRI showed an acute cervical epidural abscess and mild cervical spondylitis. After continuous anti-tuberculous medication with supportive care, she showed a slow clinical improvement. But about 1 month of anti-tuberculous therapy, she presented a more aggravation of neck pain, neck stiffness, radicular pain, and neck motion limitation. Follow-up cervical MRI showed an more advanced cervical spondylitis. Afterthen she has recovered slowly by cervical laminectomy with posterior stabilization and continuous anti-tuberculous medication.

  • PDF

Pulmonary Tuberculosis, Tuberculous Meningitis의 임상치험 3례 (The Clinical Report on the Pulmonary Tuberculosis, Tuberculosis Meningitis)

  • 손윤정;임중화;이도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2-360
    • /
    • 2004
  • Tuberculosis, one of the oldest diseases known to affect humans, is caused by bacteria belonging to the Mycobacterium luberculosis complex. The diseases usually affects the lungs, although in up to one-third of cases other organs are affected. If properly treated, tuberculosis caused by drug-susceptible strains is curable in virtually all cases. If untreated, the disease may be fatal within 5 years in more than half of cases. Transmission usually takes place through the airborne spread of droplets of nuclei produced by patients with infectious pulmonary tuberculosis. Two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one with Tuberculous Meningitis were recently examined. The changes in these patient's symptoms through both western medical treatment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are reported.

  • PDF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결핵성 뇌막염 환자에게서 하지마비로 나타난 신경근 척수염 1예 (A Case of Tuberculous Radiculomyelitis Despite of Proper Antituberculous Treatment in a Patient of Tuberculous Meningitis)

  • 신대수;이영주;김진석;박현영;장혁;김요식;조광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7권1호
    • /
    • pp.52-54
    • /
    • 2005
  • Tuberculous radiculomyelitis (TBRM) is a complication of tuberculous meningitis (TBM), which has been reported rarely in the modern medical literature. We describe a case of TBRM, which developed during the treatment of TBM. A 28-year-old man suddenly developed lower back pain, flaccid paraparesis, urinary incontinence, while the TBM was improving with the treatment at 9th day after admission. Spinal MRI revealed leptomeningeal enhancement along with thoracolumbar spinal canal, thickening of nerve roots, spinal meninges and intramedullary high signal lesion in T2 level.

  • PDF

En Plaque Tuberculoma: a Case Report

  • Kim, Young-eun;Lee, Donghoon;Hwang, Hokyeong;Kim, Minji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3호
    • /
    • pp.200-205
    • /
    • 2016
  • In Korea, tuberculosis is still common disease. Central nervous system tuberculosis can manifest in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tuberculous meningitis, tuberculous cerebritis, tuberculoma, tuberculous abscess, and miliary tuberculosis. Although intra-axial tuberculomas are the more common type of CNS tuberculosis, extra-axial lesions are rarely encountered. En plaque tuberculoma is an extremely rare presentation of intracranial tuberculosis with mimicking primary or secondary meningeal neoplasia. We describe a rare case of an en plaque tuberculoma accompanied by tuberculous meningitis and tuberculomas.

소아 결핵성 뇌막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uberculous Meningitis in Children)

  • 김우식;김종현;김동언;이원배;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64-72
    • /
    • 1997
  • 목 적 : 소아의 결핵성 뇌막염은 소아 결핵중 가장 심한 후유증을 남기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를 요하는 질환으로 국내에서의 소아 결핵성 뇌막염 발생은 1980년대에 와서 전반적으 로 다른 폐외결핵과 함께 현저히 감소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아 결핵이 소멸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 실정에서 실제 결핵성 뇌막염은 지속적으로 발생되며, 발병이 낮아진 상황으로 인하여 임상 경험 결여와 무관심에 따른 문제점이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서 전형적 또는 비전형적 소아 결핵성 뇌막염의 진단, 임상 특성, 합병증 및 예후 등에 관한 임상 연구는 요구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부터 1996년 사이에 가톨릭의대부속 성모자애 병원, 성가 병원, 성 빈센트 병원, 의정부 성모 병원에 결핵성 뇌막염으로 진단되어 입원 치료 및 경과 관찰이 이루어진 4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 환아들에서 결핵성 뇌막염의 진단적 기준, 초기 임상 특성, 신경학적 단계에따른 예후, 동반 합병증, 뇌 척수액 및 방사선 검사 소견들에 관한 내용을 의무 기록 내용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 1) 소아 결핵성 뇌막염의 발생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도 지속 되고 있으며, 3세 이하의 연령에서 높은 발병이 관찰되었다. 2) 이 질환의 진단은 활동성 결핵 환자와의 접촉력, 양성 결핵 반응, 항 결핵제 치료 반응, 뇌척수액 및 이외 가검물에서 결핵균 분리 또는 확인된 순으로 이루어 졌다. 이들 환아 들의 16%는 BCG 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였고, 40%에서만 결핵 반응 검사상 양성이었다. 3) 내원시 주증세는 발열, 구토, 두통, 권면, 식욕 감소, 체중 감소, 경부 강직, 경련, 복통, 운동 장애순이었다. 4) 내원시 신경적 단계는 1단계 59%, 2단계 32%, 3단계 9%이었고, 합병증으로는 경한 신 경 손상이 29.5%, 중한 손상이 4.6% 그리고 사망한 경우가 6.8%이었다. 5) 뇌척수액 검사상 염증 세포가 평균 $239.5/mm^3$, 단백은 펑균 239.5mg%, 당은 40.7mg%이었다. 그러나 31.8%에서 염증 세포, 단백 및 당의 검사 소견이 이와같지 않은 비정형 뇌척수액 소견이 보였다. 6) 입원 약 4병일정도에서 SIADH 소견이 약 45.5%에서 보였으며, 이들중 반 정도에서 SIADH 임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7) 뇌단층 촬영상 뇌수종, 뇌기저막 음영 증가, 혈류장애, 지주하막 염증순으로 이상 소견 이 34명에서 관찰되었다. 흉부 X선상 속립성 결핵(34.1%), 정상(29.5%), 폐침윤(11.4%), 석회 화 음영(9.1%)의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국내의 소아 결핵은 과거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보였으나 지속적 발생이 관찰되었고, 이들중 비정형 결핵성 뇌막염의 비율이 높아 광범위한 진단적 기준을 활용하여 조기 진단에 많은 고려가 있어야 하며 뇌 영상 검사의 적극적 활용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 고 SIADH에 대한소견도 임상 경과중에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인지해야 할 것이다.

  • PDF

현저한 정신증상으로 발현된 결핵성 뇌수막뇌염 1예 (A Case of Tuberculous Meningoencephalitis Presenting as Prominent Psychotic Features)

  • 유현정;오지영;김지현;김정은;박기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603-608
    • /
    • 2001
  • 저자들은 속립성 폐결핵과 연관되어 급성 경과를 보인 결핵성 뇌수막뇌염 환자에서 뇌혈관 자기공명영상으로 혈관염 소견을 확인하고, 스테로이드의 투여와 중단, 재투여에 따라 뇌증의 증세가 뚜렷히 변하는 임상경과, 증상이 호전된 후 추적한 뇌혈관 자기공명영상에서 혈관 영상이 정상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결핵성 뇌수막염에 동반된 뇌성 염분소실증후군(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1예 (A Case of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Associated with Tuberculous Meningitis)

  • 이자영;이은실;이재형;임은주;김형수;장지선;김현규;김두만;박용범;이재영;모은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306-310
    • /
    • 2005
  • 저자들은 결핵성 뇌수막염을 가진 31세 남자환자에서 심한 다뇨와 저나트륨혈증, 저혈압, 요중 염분소실이 동반되어 있어 CSWS로 진단하고 항결핵제 투여와 식염수, 염류코르티코이드의 투여 후 임상적 호전을 보인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범발성 두개내 결핵종 완치 1례 (A Case of Complete Treatment of Multiple Intracranial Tuberculoma)

  • 라은영;이창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9권1호
    • /
    • pp.117-121
    • /
    • 2002
  • 어린 영유아에서 결핵성 육아종 및 결핵성 수막염, 속립성 결핵 등의 중증 결핵은 치료 시작시 임상상태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경과가 진행될수록 예후가 좋지 못하다. 본 증례에서는 결핵성 육아종과 함께 결핵성 수막염 및 속립성 결핵이 동반된 영아에서 12개월 동안 항결핵 요법을 시행한 후 특별한 임상적, 이학적, 신경학적 이상 소견 없는 완치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무균성 뇌수막염을 동반한 Kikuchi-Fujimoto 병 (Kikuchi-Fujimoto disease with aseptic meningitis)

  • 박세진;문원진;김완섭;김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5호
    • /
    • pp.622-626
    • /
    • 2009
  • 키쿠치(Kikuchi) 병, 키쿠치-후지모토(Kikuchi-Fujimoto) 병, 혹은 조직구 괴사성 림프선염은 1972년 일본에서 키쿠치와 후지모토 두 사람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흔히 아시아 지역에서 30세 미만의 여성들을 주로 침범하는 자가 관해 질환으로 기술되어져왔다. 이 질환의 병인은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감염성(EBV, HHV-6 and -8, HTLV-1, cytomegalovirus, varicella-zoster virus, tuberculosis, toxoplasmosis, yersiniosis, cat scratch disease), 자가면역성(SLE, Kawasaki disease), 그리고 종양성 질환(lymphoma)이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발열과 통증 없는 경부 림프선염이다. 진단은 생검을 통한 조직병리학적으로 하게 되는데, 주로 풍부한 핵파괴(karyorrhexis)를 가진 피질 주위 지역에서 나타나는 국소 괴사, 괴사 지역 주위로 비정형적인 단핵구들의 집합, 중성구 및 형질 세포의 결핍, 그리고 대개 림프절 캡슐의 보존 등으로 특징 지워진다. 절대적인 치료법은 없어 대증 치료를 하게 되며 치료 없이도 대개 1-6개월 안에 자가 관해되고 재발률도 3.3%에 불과하다. 키쿠치-후지모토 병의 합병증으로 피부, 심장, 골수 등을 침범할 수 있으며 간질환, 무균성 뇌수막염, 간비비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입원 당시 결핵성 임파선염과 뇌수막염으로 오인되었던 무균성 뇌수막염을 동반한 키쿠치-후지모토 병을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