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culosis patient polic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초

민간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결핵환자의 의료이용 분석 (Medical Care Utilization of Tuberculosis Patients in Private Sector)

  • 강길원;윤석준;김창엽;신영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814-827
    • /
    • 199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surance claims data to investigate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pattern of tuberculosis patients in private sector. We selected the claims of principal or secondary diagnosis with tuberculosis from claims database of National federation of Medical Insurance, from December 1995 to November 1996. Both spell-based analysis and person-based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spell-based analysis, type and location of treatment facilities, distribution of diagnoses, number of outpatient/inpatient treatments were analyzed. Additionally in person-based analysis, number of tuberculosis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mber of treatments per person, frequency and pattern of change in source of car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treatments with tuberculosis was 863,641 from 1 December 1995 to 30 November 1996. The number of patients was 313.964. 2. Most of tuberculosis patients in private sector were treated in general hospital (45.8%) and clinics(42.2%) 3. About 77.7% of tuberculosis patients who were treated more than two times did not change the source of care. 18,9% of tuberculosis patients changed source of care only once. Even when we limited tuberculosis patient to those who were treated more than five times and whose treatment period were longer than six months, 94.7% of patients did not change source of care at all, or changed treatment facility only once. 4. The probability of change in source of rare was higher in pulmonary tuberculosis, in twenties, and in rural area respectively than other tuberculosis. In conclusion, healer shopping of tuberculosis patients was not serious as expected. However special attention is needed to pulmonary tuberculosis in twenties and rural area.

  • PDF

국내 결핵환자 발생 현황 고찰(2010-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uberculosis Patients in Korea(2010-2018))

  • 김원순;박창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21-1030
    • /
    • 2021
  • 국내 결핵 환자 관리의 방안을 모색하고 결핵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통계청과 질병관리본부의 결핵 환자 통계 연보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GLOBAL Tuberculosis Report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결핵 환자 현황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결핵 환자 발생 현황 결과는, 2018년 33,796명(65.9%), 신환자는 2018년 26,433명(51.5%)으로 약 2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결핵 환자치료 현황은 과거 치료결과 불명확은 2018년 655명으로 2014년 대비 약 1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결핵환자 발생률은 10에서 14세는 2018년 1.8%, 15세에서 19세는 15.0%로 고등학생의 결핵 발생률이 높았다. 넷째, 나이별 결핵 환자 발생률을 보면 60대 이상의 대상자가 60% 이상의 결핵 유병률을 보였으며 특히 80세 이상의 노인결핵 환자가 증가하였다. 다섯째, 성별 결핵 환자발생률 현황은 2010년 대비 2018년에 남성이 여성보다 1.4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국적으로 결핵 유병률은 전남 1,419명(75.6%)이 가장 높았고, 세종 99명(33.4%)이 가장 낮았다. 일곱째, 국내 외국인 환자 수는 2012년 1,510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6년에는 2,569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결핵 재발자, 고등학생, 60세 이상의 연령층, 80세 이상의 노인, 군대 등의 남성 집단, 외국인 대상의 신속하고 정확한 결핵 조기 검진정책과 관리가 필요하다.

전국 결핵 신환자 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한 경쟁위험모형 적합 (Fitting competing risks models using medical big data from tuberculosis patients)

  • 김경대;노맹석;김창훈;하일도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4호
    • /
    • pp.529-538
    • /
    • 2018
  • 결핵은 높은 이환과 사망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현대의학의 발달에 따라 발생률과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까지 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다. 이에 따라 한국은 결핵의 예방 및 통제를 위해 여러 정책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민간협력(public-private mix) 결핵관리사업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결핵환자의 치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질병관리본부에서 관리하는 결핵환자 신고 자료를 이용하여 2012-2015년 전국 결핵 신환자 코호트 약 13만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누적 발생 함수(cumulative incidence function)를 이용하여 요인별로 누적 치료 성공률을 비교하였으며. 주 관심사건(치료성공) 및 경쟁사건(사망)을 고려한 두 가지 경쟁위험모형(cause-specific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subdistribution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핵환자의 재입원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affecting Rehospitalization of Tuberculosis Patients)

  • 이화선;이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59-2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핵환자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결핵병동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소재 1개 공공병원에서 2012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 사이 결핵병동에서 퇴원한 환자 총 3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간호정보조사지'에서 추출하거나 병원 의무기록부서의 '퇴원분석정보 DB'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이 없을 때, 의료급여가입자, 월 10일 이내로 술을 마실 때, 입원경로가 직접내원일 때, 주보호자가 환자의 배우자일 때, 자의퇴원일 때, 폐결핵이 아닌 다른 호흡기계 질환이 주진단인 경우에 재입원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처음 결핵환자가 입원했을 때부터 이 경우에 해당하는 환자에 대해 집중적으로 중재를 실시한다면 재입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ystematic review: agreement between the latent tuberculosis screening tests among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 Pyo, Junhee;Cho, Soo-Kyung;Kim, Dam;Sung, Yoon-Kyoung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3권6호
    • /
    • pp.1241-1251
    • /
    • 2018
  • Background/Aims: To estimate the level of agreement and positivity rates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tests prior to the use of tumor necrosis factor (TNF) inhibitors in relation to underlying rheumatic diseases and endemic tuberculosis levels. Methods: The Ovid-Medline, Embase, and Cochrane Librari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before October 2013 involving LTBI screening in rheumatic patients, including rheumatoid arthritis (RA), ankylosing spondylitis (AS),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 and psoriatic arthritis. Results: In pooled analyses, 5,224 rheumatic patients had undergone both a tuberculin skin test (TST) and an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 before TNF inhibitors use. The positivity of TST, QuantiFERON-TB Gold In Tube (QFT-GIT), and T-SPOT.TB (T-SPOT) tests were estimated to be 29%, 17%, and 18%, respectively. The agreement percentage between the TST and QFT-GIT, and between the TST and T-SPOT were 73% and 75%. Populations from low-to-moderate endemic TB presented with slightly less agreement (71% between TST and QFT-GIT, and 74% between TST and T-SPOT) than patients from high endemic countries (73% between TST and QFT-GIT, and 81% between TST and T-SPOT). By underlying disease stratification, a lower level of agreement between TST and QFT-GIT was found among AS (64%) than among JIA (77%) and RA patients (73%). Conclusions: We reaffirm the current evidence for accuracy of LTBI test done by TST and IGRA among rheumatic patients is inconsistent. Our stratified analysis suggests different screening strategies might be needed in clinical settings considering the endemic status in the patient's country of origin and the precise nature of underlying diseases.

결핵 진단에서 ICT Tuberculosis Test Kit의 효용성 (Evaluating the Usefulness of the ICT Tuberculosis Test Kit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 장철훈;손한철;류기찬;박순규;이선호;김성률;박기형;김우석;구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473-480
    • /
    • 1999
  • 배 경: 우리 나라는 결핵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간편하고 민감도가 높은 결핵 진단 방법이 필요하나, 결핵균의 특정한 균체 항원에 대한 항체 생성의 정도가 지역마다 다르고, 국가별로 BCG 예방 접종에 대한 정책이나 결핵의 유병률이 다르므로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외국에서 개발된 혈청 항체 검사 kit를 결핵 환자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그래서 38-kDa 단백을 포함한 5가지 항원을 nitrocellulose 막에 고착시킨 항체 검사 kit인 ICT가 최근 소개되었기에 이를 이용한 항체 검사가 결핵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결핵 환자군으로 진단 당시 과거력상 결핵 병력이 없는 초발 결핵 환자 37명, 과거의 결핵 병력이 있고 초치료에 실패했거나 완치 후 재발한 환자 31명과, 건강 대조군으로 건강 성인 25명, 병원의 결핵균 노출 지역 근무자 35명, 비결핵 호흡기 질환 환자 17명의 혈청으로 ICT 검사를 실시하여 결핵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였다. 결 과: 결핵 초발 환자 (37명), 재발 환자 (31명)는 각각 73, 87%의 민감도를 보였다. 진단 당시의 항산균 염색 음성인 환자 (15명) 중 73%, 염색 양성인 환자 (53명) 중 81%에서 ICT 항체 양성을 보였다. 결핵성 뇌막염, 결핵성 림프절염 등 폐외결핵 환자 2명은 모두 ICT 항체검사에서 양성이었다. 건강 성인 (25명), 결핵균 노출 지역 근무자 (35명), 비결핵 호흡기질환 환자 (17명)는 각각 88%, 94%, 94%의 특이도를 보여 전체적으로 특이도 92%였다. 결 론: ICT 항체 검사는 38-kDa 항원을 포함한 5가지 항원을 막에 부착시켜 항체를 검사함으로써 결핵을 진단하는 kit로,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이 간편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핵의 진단에 73%의 민감도, 92%의 특이도를 보여서 전통적으로 결핵을 진단하는데 사용하던 X-선, 항산균 염색, 배양과 함께 보조적인 도구로 사용하면 폐결핵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eyond Limitations: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Cancer Care in Nigeria

  • Eguzo, Kelechi;Camazine, Br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363-3368
    • /
    • 2013
  • Background: The burden due to cancers is an emerging public health concern especially in resource-limited countries like Nigeria. The WHO estimates that cancer kills more people than tuberculosis, HIV/AIDS and malaria combined. As people in Nigeri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are beginning to survive infectious diseases, there is an observed epidemiologic transition to chronic diseases, such as cancers. In 2008, 75 out of 1,000 Nigerians died of cancer. Despite the rising incidence and public health importance, Nigeria lacks an organized and comprehensive strategy to deal with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article reviewed 30 peer-reviewed manuscripts on cancer care in four countries. It highlights the limitations to cancer care in Nigeria; due to lack of awareness, low health literacy, absence of organized screening programs, inadequate manpower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as well as limited treatment options. Results: This review led to the formulation of a proposal for Nigerian National Cancer Policy, mainly drawn from effective strategies used in Canada, Brazil and Kenya. This is a vertical cancer program that is patient-centered with an emphasis on tobacco control and cancer disease screening (similar to Canada and Brazil). Additionally, it emphasizes primary cancer prevention (similar to Kenya). Its horizontal integration with other disease programs like HIV/AIDS will improve affordability in a poor resourced country like Nigeria. Capacity building for health professionals, hub-and-spoke implementation of screening services, as well as investment in effective treatment options and increased research in cancer care are essential. International 'twinning collaborations' between institutions in richer countries and Nigeria will enhance effective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Conclusions: A national cancer policy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Nigeria in order to overcome the present limitations which help contribute to the observed increases in cancer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Cancer control is feasible in Nigeria if the nation was to consider and employ some of the cost-effective strategies proposed here.

A contact investigation after exposure to a child with disseminated tuberculosis mimick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 Kim, Dongsub;Lee, Sodam;Kang, Sang-Hee;Park, Mi-Sun;Yoo, So-Young;Jeon, Tae Yeon;Choi, JoonSik;Kim, Bora;Choi, Jong Rim;Cho, Sun Young;Chung, Doo Ryeon;Choe, Yon Ho;Kim, Yae-Je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11호
    • /
    • pp.366-370
    • /
    • 2018
  • Purpose: Tuberculosis (TB)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that cause significant mortality and morbidity in young children. Data on TB transmission from an infected child are limited. Herein, we report a case of disseminated TB in a child and conducted a contact investigation among exposed individuals. Methods: A 4-year-old child without Bacille Calmette-$Gu{\acute{e}}rin$ vaccination was diagnosed as having culture-proven disseminated TB. The child initially presented with symptom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nosocomial and kindergarten exposures were reported. The exposed individuals to the index case were divided into 3 groups, namely household, nosocomial, or kindergarten contacts. Evaluation was performed following the Korean guidelines for TB. Kindergarten contacts were further divided into close or casual contacts. Chest radiography and tuberculin skin test or interferon-gamma-releasing assay were performed for the contacts. Results: We examined 327 individuals (3 household, 10 nosocomial, and 314 kindergarten contacts), of whom 18 (5.5%), the brother of the index patient, and 17 kindergarten children were diagnosed as having latent TB infection (LTBI). LTBI diagnosis was more frequent in the children who had close kindergarten contact with the index case (17.1% vs. 4.4%, P=0.007). None of the cases had active TB.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TB transmission among young children from a pediatric patient with disseminated TB in Korea. TB should be emphasized as a possible cause of chronic diarrhea and failure to thrive in children. A national TB control policy has been actively applied to identify Korean children with LTBI.

결핵입원환자의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reatment Result in Inpatients with Tuberculosis)

  • 이현숙;황슬기;김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96-2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2012년까지의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결핵환자의 환자 특성과 입원 및 질병관련 특성,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의료이용 현황과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제6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6)의 중분류상 퇴원시 주진단 코드와 부진단 코드가 결핵(A15.0~A19.9)인 환자를 추출하여 총 8,305건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cienc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환자 특성과 치료결과가 호전되었는지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연령그룹이 20-39세, 40-64세, 65세 이상과 의료급여의 결핵환자가 호전될 확률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0). 그 다음, 입원 및 질병관련 특성과 치료결과와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A16, A17, A19(p<0.000)와 A18(p<0.002) 모든 결핵코드와 재원일수가 31-90일(p<0.000)과 91-180일(p<0.041)인 경우에 호전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 특성과 치료결과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300-499(p<0.008), 500-999(p<0.011), 1,000병상 이상(p<0.015)과 도지역(p<0.041)의 경우 호전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5). 결과적으로 결핵환자 발생시 철저한 접촉자 조사 및 예방치료,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 방안 등 정부에서도 성공적인 결핵환자관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이를 적절하게 뒷받침 할 수 있는 단기적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연령표준화 결핵 사망률비와 관련 요인 (The Ratio of Medical Aid over Health Insurance of Age Adjusted Mortality Rate of Tuberculosis and Related Factors)

  • 나백주;강문영;홍지영;김은영;김건엽;이무식;양상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1호
    • /
    • pp.9-20
    • /
    • 2006
  • 본 연구는 전국 및 시도별로 결핵 사망률의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의료급여 대상자는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결핵 사망률이 5.6배가 높으며 남자에서는 6.3배, 여자에서는 3.8배 높아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사망률비는 남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연령군에서의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사망률비는 30대, 40대, 50대의 장년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남자와 여자 모두 비슷하였다. 시도별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사망률 차이는 광역자치단체마다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재정자립도, 인구밀도, 보건소당 관할 인구수, 백만명당 병원수, 의료급여 대상자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의료급여 대상 결핵 환자들의 결핵관리에 문제가 있으며 특히 의료급여 대상자의 중장년 계층 결핵관리가 취약하고 이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구밀도가 높고 의료급여 대상자가 적은 비율로 있으며 재정자립도가 높은 대도시지역 일수록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의료급여 대상자의 결핵 사망률의 격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결핵관리 실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정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