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 form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사료자원으로서 Chufa (Gyperus esculentus L.)의 생장특성과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for Forage Resource)

  • 이성규;황의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02
  • Chufa(Cyperus esculentus L.)는 고온성 사초과 식물의 일종으로 여름기간에 잘 자란다. 지상부는 주로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부는 수염뿌리가 뭉쳐 나있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파종 당년에는 출수가 되지 않고 괴경을 많이 생산한다. 번식은 괴경에서 분얼이 많이 나오는 영양번식을 하며 이 분얼이 다발모양(bunch type)의 포기를 형성한다. 성숙기의 초고는 73~75cm 전후이며 7월 중순에 거의 성장이 완료된다. 포기당 분얼의 수는 7월말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8월 이후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생장이 빈약하였다. 지상부의 최종 생초수량은 40.3ton/ha, 건물수량은 12.2ton/ha이다. 재생력은 생장초기에는 강하지만 2회 예취후는 재생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무예취구에서 최종 수확기의 포기당 괴경의 수는 722개, 1$m^2$ 당 생체량은 4.2kg, 건물량은 1.9kg이었다. 예취구의 경우 괴경의 생산량은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8월 이후에는 이미 괴경생산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였다. chufa의 영양생장기 지상부 사료가치는 우수하였으나 생장이 진행될수록 낮아졌다. 최종 수확한 지상부의 조단백질, NDF, ADF, DMD, TDN 함량은 각각 6.1%, 81.5%, 39.8%, 33.2%39.40%, 괴경의 영양성분은 각각 6.0%, 68.3%, 15.5%, 50%, 51.8%였으며, 특히 지방 함량은 16.2%로 높았다.

열대산 도입마(Dioscorea alata L.)의 생육과 괴경비대 (Studies on the growth and enlargemet of tuber in tropical yams (Dioscorea alata L.))

  • 장광진;박종인;김선림;박주현;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5-292
    • /
    • 2002
  • 도입 마(Dioscorea alate L.)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 용 가치가 기대되는 열대산 마(D. alata)를 우리나라에서 재배 시 그 가능성과 제 기관의 생육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D. alata. 및 D. opposita의 생육패턴 및 수량성을 비교 도입 재배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1. 4월 하순에 정식한 마의 지상부는 70일까지는 완만한 생육을 보였으나, 그후에 급격히 생장하여, 200일 이후 지상부의 하부가 낙엽지며 감소하였다. 생육은 D. atara, 단마 순이였다. 2. 도입마(D. alate)의 형성은 정식 50일 정도에서 일어났으나, 그 후 비대생장이 늦어서 150일 이후에 급격 히 비대하였다. 3. D. alata(도입마)의 일반성분은 D. opposita(단가) 보다 단백질, 섬유, 지방의 함량이 낮았다. 4. D. alata의 경도를 보면 2696.2로 D. opposita 4946.9 보다 약 2배정도 낮고, 색도 중 명도(L)는 D. alata가 73.99으로 D. opposite 보다 높았다.

수종(數種)의 생약(生藥)에 대(對)한 항암효과(抗癌效果)의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II)-약물(藥物)에 대(對)한 암세포(癌細胞)의 감수성분석(感受性分析)- (Experimental Studies on Antitumor Activity of Herb Drugs (II)-Sensitivity Testing of Tumor Cell to Drugs-)

  • 임재훈;우홍정;김병운;하윤문;이승훈;남상윤;최용묵
    • 생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5
    • /
    • 1987
  • In vitro sensitivity testing was performed for 21 kinds putative anticancer drugs selected from references and information. Cellular damage of P815 mastocytoma cells following exposure to water extracts of drugs was evaluated by colony formation assay. Highly effective drugs with more than 50% inhibition of colony formation were seven (Houttuyniae Herba, Sanguisorbae Radix, Nepetae Herba, Manitis Squama, Lonicerae Flos, Amomi Semen, Polyporus), though not more effective than BCNU. According to the results of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for determination of selective cytotoxicity, 3 of these drugs (Houttuyniae Herba, Polyporus, Manitis Squama) were found to be low cytotoxic to normal mouse lymphoid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bove 3 drugs may be used for effective anticancer drugs in vivo.

  • PDF

배양액의 pH저하 처리에 의한 감자소괴경 형성 촉진 (Effects of Temporary pH Reductions of Solution on Tuberization of Potato(Solanum tuberosum L.) in Hydroponics)

  • 박용봉;금기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0-35
    • /
    • 1999
  • 감자 양액재배시 소괴경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감자 유식물체를 정식후 35일에 10시간 동안 배양액 pH를 3.0, 4.0, 5.0과 6.5로 각각 조절하였을 때 생육상황과 소괴경 수량을 조사한 결과, 소괴경 형성은 pH 3.0 처리구에서 빨랐으며 처리후 20일까지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배양액 pH가 낮을수록 복지수가 증가되어 괴경수가 많았으며 괴경 건물율도 높았고 정식후 90일째 소괴경 수량은 pH 3.0처리에서 72.1개, pH 4.0에서 69.8개, pH 5.0에서 65.2개, pH 6.5에서 60.3개였다. 3g이상크기의 소괴경의 분포비율은 pH 3.0에서57.9%로 가장 높았으며 pH 5.0과 6.5에서 50.8%로서 가장 낮았다.

  • PDF

Chemopreventive Effect of Amorphophallus campanulatus (Roxb.) blume tuber against aberrant crypt foci and cell proliferation in 1, 2-dimethylhydrazine induced colon carcinogenesis

  • Ansil, Puthuparampil Nazarudeen;Prabha, Santhibhavan Prabhakaran;Nitha, Anand;Latha, Mukalel Sankunn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331-5339
    • /
    • 2013
  •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cancer death, both in men an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morphophallus campanulatus tuber methanolic extract (ACME) on aberrant crypt foci (ACF) formation, colonic cell proliferation, lipid peroxidative damage and the antioxidant status in a long term preclinical model of 1, 2-dimethylhydrazine (DMH) 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rats. Male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viz., group I rats served as controls; group II rats treated as drug controls receiving 250 mg/kg body weight of ACME orally; group III rats received DMH (20 mg/kg body weight) subcutaneously once a week for the first 15 weeks; groups IV, V and VI rats received ACME along with DMH during the initiation, post-initiation stages and the entire period of the study, respectively. All the rats were sacrificed at the end of 30 weeks and the intestinal and colonic tissues from different groups were subjected to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Administration of DMH resulted in significant ($p{\leq}0.05$) intestinal and colonic lipid peroxidation (MDA) and reduction of antioxidants such as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Stransferase and reduced glutathione. Whereas the supplementation of ACME significantly ($p{\leq}0.05$) improved the intestinal and colonic MDA and reduced glutathione levels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DMH intoxicated rats. ACME administration also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formation and multiplicity of ACF. In addition, the DMH administered rats showed amplified expression of PCNA in the colon and decreased expression of this proliferative marker was clearly noted with initiation, post-initiation and entire period of ACME treatment regime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ME could exert a significant chemopreventive effect on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DMH.

감자 Lipoxygenase Isoenzymes 의 클로로필 탈색효과 (The Bleaching Effect of Potato Lipoxygenase Isoenzymes on Chlorophyll a)

  • 문정원;조순영;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54-958
    • /
    • 1994
  • The bleaching effect of chlorophyll a by two lipoxygenase isoenzymes (LOX-1, LOX-2) isolated from potato tuber(variety DEinma ) was studied. In the presence of LOX-1 or LOX0-2 with linoleic acid chlorophyll a bleaching occurred during two isoenzymes-mediated oxidation of linoleic acid. Chlorophyll a bleaching porceeded with decreasing in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form linoleic acidyb LOX-1 and LOX-2 . In the presence of chlorophyll a, LOX-2 showed a markable decrease inproduction of conjugated dienes from linoleic acid and a higher chlorophyll a bleaching activity. compared with LOX-1. These results suggest chlorophyll-bleaching reaction required intermediates formed during the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by lipoxygenase isoenzymes, thus preventing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 PDF

In vitro Formation of Tuberous Roots from Root Ends in the Rooted Tuberous stem without shoots in Cyclamen persicum MILL.

  • Lim, Jong-Gu;Junzo, Fujigaki
    • Plant Resources
    • /
    • 제7권3호
    • /
    • pp.222-225
    • /
    • 2004
  • In Japan, propagation of cyclamen is mainly from seedlings. However, seeds are expensive and germination is slow and non..uniform. Therefore, to achieve genetically uniform propagation, multiplication must be vegetative. The rooted tuberous stems without shoots as sources of explants were cultured on the media containing BA and sucrose. After 30 days cultivation, tuberous roots were produced from the root ends attached to a tuberous stem and its capability was dependent on the type of media. The highest percentage of tuberous root formation was observed in Culture on the medium of 1/3 MS containing 0.05mgL$^{-1}$ NAA, 0.5mg L$^{-1}$ BA and 5% sucrose. Growth rates of the tuberous roo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cutting positions of a root in explants. The highest growth of was observed if small amount of root end was cut at initiation of tissue culture.

  • PDF

기내(器內) 대량(大量) 생산(生産) 반하(半夏) 종구(種球)의 포장(圃場) 재배기술(裁培技術) 연구(硏究) I. 파종시기(播種詩期)가 생육(生育)과 괴경형성(塊莖形成)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Cultural Practices of In vitro Tuber of Pinellia ternata(Thunb.) Breit I. Effects of Planting Time on Growth, Tuber Formation and Yield)

  • 박호기;김태수;박문수;최인록;장영선;박근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9-114
    • /
    • 1993
  • 조직(組織) 배양(培養)을 통(通)하여 대량(大量) 생산(生産)된 반하(半夏) 종구(種球)의 포장재배(圃場裁培) 파종(播種) 적기(適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90년(年) 4월(月) 20일(日), 5월(月) 20일(日), 6월(月) 20일(日), 7월(月) 20일(日), 8월(月) 20일(日) 및 9월(月) 20일(日)에 파종(播種)하여 출아특성(出芽特性), 생육특성(生育特性), 괴경형성(傀莖形成) 및 수량(收量)에 관련된 몇 가지 형질(形質)에 대하여 2개년간(個年間)$('90{\sim}'91)$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별(播種期別) 출아소요기간(出芽所要期間)(파종(播種)${\sim}$출아(出芽))은 $9{\sim}26$일(日) 이었으며 파종기(播種期)가 빠른 4월(月) 20일(日)이 26일(日), 온도(溫度)가 높은 시기(時期)인 8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9일(日)로 가장 짧았으며 이 기간(期間)의 적산온도(積算溫度)는 $256{\sim}334^{\circ}C$이었다. 2. 파종기별(播種期別) 출아율(出芽率)은 $68{\sim}87%$로 대체로 좋았으나 7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고온(高溫) 및 한발(旱魃)의 영향(影響)으로 저조(低調) (55%)하였다. 3. 파종기별(播種期別) 재배기간중(栽培期間中)(2년(年)) 생육과정(生育過程)은 4월(月) 20일(日), 5월(月) 20일(日), 6월(月) 20일(日) 및 7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4회(回) 생육(生育)을, 8월(月) 20일(日)과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3회(回) 생육(生育)하였고, 총(總) 생육기간(生育期間)은 125일(日)${\sim}$239일(日)로 파종기(潘種期)가 빠를 수록 길었으며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125일(日)에 불과(不過)하였다. 4. 파종기별(潘種期別) 수확(收穫) 당시(當時)의 초장(草長), 괴경장(塊莖長) 및 괴경폭(塊莖幅)은 4월(月) 20일(日)${\sim}$6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큰 반면(反面) 7월(月) 20일(日) 이후(以後) 파종(播種)은 극히 적었으며 초장(草長)과 괴경장(塊莖長), 괴경폭(塊莖幅) 및 괴경수량(塊莖收量)과는 유의(有意)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5. 파종기별(播種期別) 수확당시(收穫當時)의 $m^2$당(當) 주수(株數)는 5월(月) 20일(日)과 6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다른 파종기(播種期)에 비해 유의적(有意的)으로 많았으며(P<0.05) 7월(月) 20일(日) 이후(以後) 파종(播種)은 급멸(急滅)하였다. 6. 파종기별(播種期別) 생체수량(生體收量)은 4월(月) 20일(日) 파종(播種)(352kg/10a)에 비해 5월(月) 20일(日)이 9%(P<0.05), 6월(月) 20일(日)이 3% 증수(增收)하였고, 7월(月) 20일(日) 이하(以後) 파종(播種)은 $59{\sim}81%$까지 크게 감수(減收)하였으며 건물수량(乾物收量)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7. 파종기별(播種期訓) 상품가치(商品價値)가 있는 7.1mm이상(以上)의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는 5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322kg/10a, 6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299kg/10a으로 훨씬 많은 반면 7월(月) 20일(日)${\sim}$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55{\sim}117kg/10a$으로 극히 적었다. 8. 수량(收量)과 $m^2$당(當) 주수(株數)와는 고도(高度)의 상관(相關)$(r=0.992^{**})$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다수확(多收獲)을 위해서는 기내(器內) 생육(生産) 반하(半夏) 종구(種球)를 5월(月) 20일(日)${\sim}$6월(月) 20일(日)에 파종(播種)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 PDF

가미자도환(加味慈桃丸) 구성약물(構成藥物)의 혈관신생(血管新生) 억제효과(抑制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Effects of Jiaweicitaowan (加味慈桃丸) Ingredients on Angiogenic Inhibition)

  • 왕덕중;강희;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5-93
    • /
    • 2006
  • Jiaweicitaowan (JWCTW) has been used to inhibit recurrence and metastasis of cancer in clinical practice. Further study has shown its anti-metastatic and anti-angiogenic effects. By applying in vitro and in vivo anti-angiogenic evaluation model, the author assayed the each ingredients of JWCTW. The author performed the following experiments and the results are listed as below: Cell viability assay showed that the viability was almost identical between that of the control and that of the ingredients extract 40 ${\mu}g/m{\ell}$ treated, except of hexane fraction of Curcumae Radix (40 ${\mu}g/m{\ell}$, 2.0% of control), ethylacetate fraction (40 ${\mu}g/m{\ell}$, 26.7%), butanol fraction (20 ${\mu}g/m{\ell}$, 87.2%; 40 ${\mu}g/m{\ell}$, 12.5%) of Cremastrae appendiculatae Tuber, water fraction of Persicae Semen (40 ${\mu}g/m{\ell}$, 82.7%), ethylacetate fraction of Hippocampus (40 ${\mu}g/m{\ell}$, 85.3%). The results of gelatin zymogram assay showed that the ingredients of JWCTW decreases the gelatinolytic activity of MMP-9 from ECV304, at the concentration of 10 ${\mu}g/m{\ell}$. In in vitro invasion assay, the ingredients of JWCTW effectively inhibited the invasion of cancer cell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MA) groups. In capillary-like tube formation assay, the hex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Curcumae Radix, Cremastrae appendiculatae Tuber and Persicae Semen showed the dramatic inhibition effects on tube formation of ECV304 at the concentration of 40 ${\mu}g/m{\ell}$. In ex vivo rat aortic ring assay, the hex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Curcumae Radix, Cremastrae appendiculatae Tuber and Persicae Semen showed the inhibition effects on angiogenesis of rat aorta at the concentration of 40 ${\mu}g/m{\ell}$.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the anti-angiogenic effects of the ingredients of JWCTW was proved and it suggested that the more effective prescription for anti angiogenesis could be developed.

  • PDF

올방개 괴경(塊莖) 형성(形成)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uberiz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Chestnut(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희동;박중수;박경열;최영진;유창재;심상우;노영덕;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23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최근(最近) 우점화(優占化)되어 방제(防除)가 어려운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방개의 방제체계(防除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한 일환으로 괴경의 분포(分布) 및 괴경 형성특성(形成特性)을 구명(究明)하여 1993~1994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이다. 1. 올방개는 조식(早植)할수록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가 증가(增加)하고 괴경중(塊莖重)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이들 괴경(塊莖)은 주로 표층(表層)에 분포(分布)하였다. 2. 괴경(塊莖)의 토중분포(土中分布)는 0~10cm의 표층(表層)에 가장 많았고, 20cm 이하(以下)의 심토(深土)에는 10---- 내외(內外)의 괴경(塊莖)이 분포(分布)하였는데, 후기(後期)에 형성(形成)된 괴경(塊莖)들은 주로 표토(表土)에 분포(分布)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경운(耕耘) 작업(作業)을 생략(省略)한 무경운(無耕耘) 정지(整地)및 무경운(無耕耘) 무정지구(無整地區)에서 괴경형성(塊莖形成)이 많아졌고, 무경운(無耕耘) 정지(整地)의 경우 0~10cm의 표층(表層)에서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다. 4. 지하관정(地下管井)으로부터의 냉수관개(冷水灌漑)에 의하여 형성괴경수(形成塊莖數)는 약간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괴경(塊莖)의 크기는 현저히 감소(減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색(着色) 셀로판 필름을 이용(利用)한 차광(遮光)은 괴경중(塊莖重)과 맹아율(萌芽率)의 감소(減少)로 나타났는데, 특히 녹색(綠色)의 경우 괴경수(塊莖數)의 감소(減少)도 현저하여 차광효과(遮光效果)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